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후원’이라더니 ‘상품 판매’!

‘기부 모금’ 사칭 주의보

‘후원’이라더니 ‘상품 판매’!

1/4
  • ● ‘교육 후원’ 권유 급증…“소득공제 기부영수증 발급”
  • ● 서울·수도권 8개 지점, 통신판매원 200~300명 영업
  • ● “월 7억~8억 수익, 지점 60~65% 주고 나머지로 본점 운영”
  • ● ‘S사’ 등 유사 업체 3~4개 생겨… 확산일로
  • ● 업체들 “후원 모금 아니다”, 서울시 “사기·횡령 여부 수사해야”
‘후원’이라더니 ‘상품 판매’!

통신판매회사 H사가 입주한 건물, 원 안은 H사 텔레마케터.

“선생님, H사라는 교육후원단체에서 후원 안내를 해드리고자 연락을 드렸습니다. 한 달에 한 번 선생님 지역의 어려운 아이 한 명에게 도움을 주는 거예요. 후원 방법은 다른 기부단체들처럼 은행 계좌이체도 가능하고, 신용카드도 가능하고, 체크카드도 가능합니다. 인터넷으로도 온라인 참여가 가능합니다….”

전형적인 통신판매원으로 추정되는 여성이 빠른 말로 쉼 없이 설명을 이어간다.

“후원이다보니까 도와주신 금액만큼 연말에 소득공제 혜택 받아보시라고 기부영수증도 나갑니다.”

‘H사’라는 곳이 도대체 어떤 곳인지 물으니 이런 답변이 돌아온다.

“공인된 기관이에요. 본사가 서울에 있는데 제주도에서 연평도까지 전국에 걸쳐 지자체와 다 연결이 돼 어디든 후원이 가능해요.”



대표이사 7차례나 교체

최근 후원을 권유하는 안내 전화가 크게 늘었다. 인터넷에도 후원 안내 전화를 받고 올린 문의 글이 점점 많아진다. ‘후원해주고 싶은 마음은 있는데 어떤 곳인지 의구심이 든다’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포도송이(ssj8****)

H사 나눔교육이라면서 소외계층 친구들을 우선순위로 교육콘텐츠 등의 사회복지 사업을 하는데 후원해달라고 전화가 왔네요. 혹 이런 업체 아시는 분 있는지 알고 싶어서 글을 올려봐요. 요즘 이런저런 이상한 업체들이 많아서요.

#고베로니(kove****)

핸드폰으로 H사 후원담당 사회복지사라고 전화가 왔는데요. 뭔가 어설픈 듯한 말투가 사회복지사 같은 느낌이 일단 안 들고, 1대 1 연결 후원이라는데 제 전화번호를 어떻게 구했냐고 하니까 데이터베이스를 받았다고 하네요. 근데 저는 이런 쪽에 (개인정보를) 준다고동의한 적 없거든요.

H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들어가봤다. H사밥차를 운영하고 재능나눔에 기부금 영수증도 발행한다니 언뜻 보기엔 장애인과 저소득층을 위한 사회복지기관이나 단체인 것 같았다. 더욱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문화예술후원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는 사실을 내세우면서 정부가 공인한 기관처럼 홍보했다. 그런데 홈페이지 하단에는 ‘주식회사 H사’라고 돼 있다. 단체나 기관이 아니라 기업이라는 의미다.

법인 등기부등본을 확인해보니, 사회복지기관이나 단체와는 거리가 먼 주식회사로, 주 사업목적은 통신판매업·전화권유판매업이다. 2009년 설립해 두 차례 사명 변경을 거쳐 지난해 10월 지금의 ‘H사’로 사명을 바꾼 것으로 돼 있다. 그사이 어떤 사정이 있었는지는 모르지만 대표이사만 7차례 바뀌었다. 이 회사가 대대적으로 선전하는 ‘무료밥차’ 운영은 지난해 12월부터 시작한 것으로 등록돼 있다.

주식회사도 후원금 모금을 할 수 있다. 저소득층이나 장애아동 등 소외계층 학생들에게 교육콘텐츠를 제공하고, 무료밥차를 운영하는 등 후원자들이 ‘십시일반’ 모은 성의를 의미 있는 일에 쓰는 건 좋은 일이다. 하지만 만에 하나 이런 일이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수익사업이라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현재 H사는 서울 구로구 구로동에 본점을 두고, 구로동 일대와 송파구 방이동, 광진구 구의동, 안산시 단원구, 부천시 원미구, 고양시 일산 등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8개 지점을 뒀다. 많을 때는 10여 개까지 활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과연 어떻게 운영되는지 직접 찾아가봤다.

‘후원’이라더니 ‘상품 판매’!


1/4
엄상현 기자 | gangpen@donga.com
목록 닫기

‘후원’이라더니 ‘상품 판매’!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