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양에서 주로 당 간부들에게 점을 봐줬다는 탈북 무속인 장애순씨.
북한에서 교도관 생활을 했다는 김정희(34)씨는 “감옥에서 만난 점쟁이로부터 ‘몇 년 후 남쪽으로 가게 될 것’이라는 예언을 들은 바 있다”면서 “1995년 이후 북한 주민들 사이에선 점쟁이를 찾아가 미래를 점치는 일이 유행처럼 번졌다”고 했다.
“10리마다 점쟁이 집이 있어요. ‘용하다’고 입소문이 퍼지면 쉬쉬하면서 점 보러 가요. 북한의 점쟁이들은 한국처럼 간판을 내걸진 못합니다. 점을 본 사람도 봐준 사람도 주변 사람이 밀고하거나 인민보안성 단속에 걸리면 감옥에 갈 수 있거든요. 그래도 위험을 무릅쓰고 찾아가요. 결혼날짜도 길일을 택하고 싶어 해요. 북한 주민들은 음력으로 9일과 19일, 29일이 길일이라고 믿습니다.”
“정말 용하더라”
지난해 12월 미국의 국제종교자유위원회(USCIRF)는 북한에서 무속과 점성술이 유행해 이를 단속해야 할 관리들까지 무당과 점쟁이를 찾고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북한 내 종교자유 현황을 분석한 보고서 ‘김일성 아버지 감사합니다(Thank You, Father Kim Il Sung)’에 따르면 1990년의 대기근을 계기로 북한에 무속 신앙과 점술이 크게 유행해 이제는 정부 관리와 군 보위부 관리까지 점을 보고 있어 당국이 점성술을 묵인하기에 이르렀다고 한다. 인민보안성에서 중좌로 근무하다가 탈북한 강철민(39)씨는 이렇게 얘기했다.
“2003년만 하더라도 평양시에만 점쟁이가 300여 명 살고 있었어요. 그들 중에는 주역 같은 철학이 아니라 영적 계시로 득감(得感)했다는 사람이 많아요. 고려의학(한의학)을 앞세워 체질분석을 하면서 사주팔자를 봐주는 사람도 있고요.
한번은 평양시 만경대 구역 태평에 유명한 점쟁이가 있다고 소문이 났어요. 일흔의 노파였는데 구역보안원이 이 노파를 단속하려고 사주팔자를 보러온 사람처럼 위장하고 찾아갔어요. 그런데 곧 질겁을 하고 나왔더라고요. 노파 점쟁이가 단속원을 한눈에 알아보고선 지난날의 불행을 줄줄 얘기하면서 장차 일어날 불행에 대해 예언했던 겁니다. 단속원이 뺑소니치듯이 돌아 나와서는 인민보안성 직원들에게 ‘정말 용하더라’고 귀띔해줬대요.”
누구나 자신의 앞날을 알고 싶어 하고 미래에 도사리고 있는 불행이 무엇인지 궁금하게 마련이다. 미신행위가 금지되는 북한에서 주민들이 목숨을 내놓으면서까지 무속인을 찾아가 알고 싶어하는 것은 무엇일까.
마침 통일부 소속 ‘북한이탈주민 후원회’ 담당직원으로부터 탈북한 여성 무속인을 추천받았다. 평양시내에서 주로 당 간부를 상대로 점을 봐줬다는 장애순씨. 현재 서울 양천구에 살고 있다.
“당 간부들이 점을 보러 많이 찾아왔어요. 대체로 가진 것이 있거나 높은 직위에 있는 사람이 점을 보거든요. 여기처럼 승진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요. 오로지 자리 지키는 게 큰 걱정입니다. 김정일 위원장 말 한마디면 하루아침에 자리가 날아갈 수 있거든요. 신을 받은 점쟁이라도 ‘관(官)’으로 풀어 해석해줍니다. ‘관’이 약하면 ‘이번 주에 조심하라’고 일러줘요. 주로 일주일치 신수를 보러 와요. ‘말조심하라’고 일러주는 주간에는 입도 벙긋하지 않고 조용하게 보내겠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