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음식물 처리기 전문업체 (주)루펜리 이희자 대표

“살림만 20년 했으니 ‘주부 눈높이’야 꿰고 있죠”

  • 백경선 자유기고가 sudaqueen@hanmail.net

음식물 처리기 전문업체 (주)루펜리 이희자 대표

1/2
음식물 처리기 전문업체 (주)루펜리 이희자 대표
“회사 이름 ‘루펜리’에서 저의 성(姓) Lee를 뺀 루펜(LOOFEN)은 100% 깨끗한 환경(100% Fresh Environment)이라는 뜻으로, 우리 제품 이름이기도 합니다. 친환경 기업으로 키워 나가고자 하는 뜻을 회사 이름과 제품 이름에 모두 담아봤어요.”

국내 음식물 처리기 업계의 선두주자로 떠오른 (주)루펜리 이희자(李熙子·53) 대표는 20년 동안 평범한 주부로 살아왔다. 아내와 어머니로만 살아오던 그의 인생이 전환기를 맞은 것은 1997년. 대기오염 측정기 등 친환경 제품을 제조하던 남편의 사업이 외환위기를 맞아 난관에 처한 것. 집안 곳곳에 경매 딱지가 붙고 사채업자들이 쳐들어와 난동을 부렸다. 그는 앞으로의 삶이 암담하기만 했다.

하지만 곧 정신을 차렸다. 아이들(2남1녀)을 위해 집안을 다시 일으켜야 한다고 마음을 다잡은 그는 사채업자들을 찾아갔다. 지금 생각하면 어디서 그런 용기가 나왔는지 모르겠다고 한다. 험악한 사채업자들 앞에서 그는 당당하게 말했다.

“지금 당장은 돈을 못 갚는다. 나눠서 갚을 테니 지금 우리집에 죽치고 있는 사람들을 내보내달라. 저들이 집에서 나가야 남편과 내가 밖에 나가 돈을 벌어올 것 아니냐.”

다행히 사채업자들은 그의 제안을 받아들였고, 덕분에 그와 남편은 재기를 꿈꿀 수 있었다.



생활 속 아이디어에서 힌트

그는 여직원들을 내보내면서 일손이 부족해진 남편 회사에 나가 일을 했다. 그러면서 그는 남편의 일이 아닌 자신의 일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어려서부터 그의 꿈은 사업가가 되는 것이었다. 그래서 일종의 ‘대리만족’으로 사업가 남편을 만났다고 한다. ‘다시 태어난다는 보장이 없으니 죽기 전에 하고 싶은 일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던 중 우연한 기회에 사업 아이템이 떠올랐다.

“1999년, 우연히 뉴스를 보다가 제 인생을 모두 걸 만한 것을 발견했어요. 2005년부터 음식물 쓰레기 직매립을 금지하는 법률이 시행된다는 소식이었죠. 음식물 쓰레기 버리는 일이 얼마나 고역인지, 살림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거예요. 물이 뚝뚝 떨어지는 쓰레기 봉지를 들고 나가 냄새나는 수거함에 집어넣는 게 얼마나 괴로운 일이에요? 게다가 일반주택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전용봉투가 다 찰 때까지 악취를 참아야 하잖아요. 그래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해주는 사업이야말로 앞으로 블루오션 시장이 될 것이라 확신했어요.”

사업을 하겠다고 하자 남편은 극력 반대했다. 주부로서 집안일에만 전념하기를 바랐던 것이다. 하지만 그는 뜻을 굽히지 않았다. 남편 몰래 친구들로부터 돈을 빌려 자본금을 마련하고 전기기술자 한 명을 고용해 전화기와 컴퓨터 한 대를 들여놓고 제품개발에 나섰다. 그것도 남편 회사 한구석에 숨어 시작했다. 그것이 사업가로서의 첫걸음이었다.

“꼬리가 길면 잡히는 법이라고, 남편이 결국 눈치를 채고 말았어요. 남편은 ‘이혼서류에 도장 찍자’며 으름장을 놓았죠. 하지만 그런 협박(?)도 제겐 통하지 않았어요. 제가 사업계획서를 들이대며 사업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니까 결국 체념하고 허락하더군요.”

처음 해보는 사업이라 힘들기는 했지만,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이라 재미있고 행복했다. 하지만 자본금도 충분히 확보하지 않고 마이너스 상태에서 시작한 일이라 여기저기 빚도 많이 지고, 제품을 개발하는 동안 마음고생도 많이 했다. 더구나 대학에서 응용미술을 전공하고 결혼 이후 살림만 하던 그였기에 기계에 대해서는 아는 게 없었다.

“더 이상 사업을 미룰 수 없겠다 싶어 음식물 처리기 업계의 성공모델인 일본 마루이치사의 기술을 받아들이기로 했어요. 무작정 혼자 일본으로 갔죠. 수십 번을 찾아간 끝에 마루이치사 회장을 만날 수 있었어요. 그리고 거듭된 설득 끝에 어렵게 기술을 도입하게 됐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물기가 적은 일본 음식문화에 맞게 만들어진 마루이치사의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는 국물이 많은 우리의 음식문화와는 맞지 않았던 것이다. 그래도 그는 포기하지 않았다. 다시 몇 년을 연구에 연구를 거듭하고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공기순환 건조방식’을 개발해 특허까지 냈다. 이 방식은 무를 말려 무말랭이를 만들고, 나물을 말려 보관하는 생활 속 아이디어에서 힌트를 얻었다.

“어렵사리 건조 기술을 개발했지만, 거기서 끝난 게 아니었어요. 악취가 더 큰 문제였죠. 국내는 물론 해외에까지 수소문해 방법을 찾아봤지만 해결책이 보이지 않았어요. ‘여기서 포기해야 하나’ 하고 한숨을 내쉬고 있을 때 일본의 한 회사가 냄새제거 기술을 갖고 있다는 소식을 듣게 됐어요. ‘살았다’ 하면서 또다시 혼자 일본으로 건너갔죠. 몇 번이고 계속된 협상 끝에 겨우 냄새제거 기술을 가져올 수 있었습니다.”

1/2
백경선 자유기고가 sudaqueen@hanmail.net
목록 닫기

음식물 처리기 전문업체 (주)루펜리 이희자 대표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