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영화, 그곳에 가고 싶다

자유와 구속 두 가지 욕망의 변주

전주 한옥마을에서 임권택을 만나다

  • 글 · 오동진 | 영화평론가 사진 · 김성룡 | 포토그래퍼

자유와 구속 두 가지 욕망의 변주

1/3
  • 전주의 한 호텔에서 한옥마을을 내려다보면 인생이란 것에 대해 새삼 생각하게 된다. 마치 임권택을 멀리서, 가만히 쳐다보는 듯한 느낌이다. 그는 한국적 한(恨)의 정서를 영화에 누구보다 잘 풀어내왔다. 사람들 마음속 응어리가 풀리지 않고 맺혀 있는 한 임권택의 영화는 계속돼야 한다.
자유와 구속 두 가지 욕망의 변주
임권택은 임권택이다. 그의 영화는 뭐니뭐니 해도 ‘임권택표’라는 것만으로 촉각이 집중된다. 한마디로 임권택 영화는 임 감독 스스로가 브랜드라는 얘기다. 그 이름의 인지도는 어떤 톱스타만큼이나 높다. 사람들은 임권택의 영화를 ‘존중’한다. 그의 영화를 ‘봐야 할’ 목록에 올려놓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영상미가 탁월하다는 것 또한 그의 영화에 대한 기대치를 높이는 데 큰 몫을 한다.

임권택 감독은 100편의 작품을 넘기면서 101편째와 102편째 영화부터는 디지털 카메라로 작업하고 있다. 그럼에도 그가 만드는 영상의 깊이는 늘 남다르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101편째 작품, 그러니까 최근 개봉작 ‘화장’의 전작인 ‘달빛 길어올리기’에서 한지(韓紙)를 만들어 가는 과정에 대한 꼼꼼하고 정교한 영상 서술은, 사람들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평단의 반응도 ‘적어도 사람들이 갖고 있는 한지에 대한 단순하고 표피적인 지식을 확장시키고, 그럼으로써 그 관심을 보다 증폭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한 영화’라는 것으로 모아졌다. 하지만 흥행 면에서는 그다지 성적이 좋지 못했다. 영화는 지나치게 ‘문예영화’ 취급을 받았다.

‘대가의 영화’와 ‘즐기는 영화’

자유와 구속 두 가지 욕망의 변주

한지를 소재로 한 임권택 감독의 101편째 영화 ‘달빛 길어올리기’

‘달빛 길어올리기’는 한지를 만드는 장인에 대한 얘기다. 여기에다 한지에 미친 한 하급 공무원(박중훈)과 이를 기록하려는 다큐멘터리스트(강수연)의 얘기가 얽힌다. 두 사람의 러브 라인은 없지만 이들은 한지라는 전통예술로 교감하는 사이가 된다. 영화는 극영화인 척 다큐멘터리의 특징을 보인다. 또 다큐멘터리인 척 드라마의 촘촘한 이야기 그물을 던져놓는다. 영화는 장르의 경계를 기이하게 뛰어넘으며 사람들로 하여금 한지 공방에 관심을 집중하게 만든다.

한지에 대한 관심을 의도적으로 집중시키려는 생각이 다소 읽히는 듯한 이 영화는 사실 그 같은 목적성이 다분히 개입된 작품이다. 전주시와 전주국제영화제로부터 13억 원을 지원받아 제작됐다. 한지는 전주의 특산물이다. 전주는 임권택 감독을 통해 한지를 전국에, 가능하면 세계적으로 알리고 싶었을 것이다.



‘달빛 길어올리기’는 임권택 감독이 ‘천년학’ 이후 5년 만에 내놓은 작품이고, 무엇보다 지난 몇 년 사이에 흔히 볼 수 있던, 시류에 영합하는 유의 영화가 아니었지만 관객은 이제 서서히 임권택의 품을 떠나려 한다. 그의 영화는 대가와 장인의 영화임에는 틀림없지만 안타깝게도 ‘즐기는 영화’는 아니라는 것이다. 다소 교훈적이고 성찰적인, 그럼으로 해서 중장년층에게 소구(訴求)될 작품이라는 인식이 각인되고 있었다.

어쨌든 전주와 임권택의 관계는 이처럼 끈끈하다. 그건 임권택이 호남 출신, 전라남도 장성 출신이라는 점과도 깊은 관계가 있다. 호남 출신답게, 사람들은 잘 모르지만, 임권택 감독은 종종 그 지방 특유의 걸쭉한 농지거리를 하곤 한다. 임 감독은 사실 은근히 재미있고 유머러스한 사람이다. 단지 그걸 사람들과 나눌 시간이 부족할 뿐이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그와 줄곧 영화 얘기만 하려 하니까. 영화와 시대, 영화와 사회, 영화와 역사에 대한 얘기만 물어보려 하니까.

그런데 사실 그와 좀 더 짙게 얘기했어야 할 부분은 바로 영화와 인생이라는 섹션일 것이다. 그는 1936년생이다. 우리 나이로 여든이다. 영화 얘기 말고, 인생 얘기를 물어보면 아마도 진한 농담으로 사람들을 웃겨가며 동시에 생각하게 만들 것이다.

한옥마을 풀샷 같은 임권택

자유와 구속 두 가지 욕망의 변주

‘달빛 길어올리기’는 한지를 만드는 장인에 대한 얘기다.

전주의 한 호텔에서 한옥마을을 내려다보면(특히 어스름한 새벽녘이 가장 그럴듯하게 보이는 시간이다) 그런 느낌, 곧 인생이란 것에 대해 새삼 생각하게 되는 계기, 계시 같은 것을 느끼게 된다. 마치 임권택을 멀리서, 가만히 쳐다보는 듯한 느낌이다. 한옥마을의 풀샷 느낌을 어찌 그렇게 닮았을까 하는 생각을 갖게 한다.

한옥마을을 내려다보면 여기엔 역사의 에피소드가 도도히 흘러 다니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럼으로 해서 이런 곳에서는 그리 어려운 담론(談論) 같은 것은 쉽게 내놓지 않는 것이 좋겠구나 하는 느낌마저 준다. 공연히 젠체하지 말 것, 입 다물고 주변을 즐길 것, 과거의 향기를 가만히 몸 안으로 받아들일 것 등등 마음의 자세가 자연스럽게 가다듬어진다.

전주에서 찍은 수많은 영화의 수많은 촬영 장소가 되는 전주 한옥마을은 그러나, 위에서 내려다보다 아래로 내려가 아이드샷(eyed shot)으로 마주하면 한편으로는 지나치게 팬시(fancy)화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한옥마을은 점점 더 커머셜(commcial)해지고 있다. 도처에 프랜차이즈형 편의점이 들어서고 음식점도 한결같이 깔끔해졌다. 어딜 가나 화장실도 깨끗하고, 그릇이며 집기들에서 플라스틱이 사라졌다. 철저하게 관광지가 돼가는 중이다.

그런데 꼭 그게 다 좋은 것만은 아니다. 연휴 기간에는 발걸음을 떼기 힘들 만큼 사람이 많다. 한옥마을에서 고즈넉한 느낌을 얻기란 이제 힘든 일이 되어버린 것이다. 무엇보다 젊은이가 너무 많아졌다. 한옥은 청년보다는 중년에게 어울리는 곳이었다. 그런데 이제는 어디를 가나 참새들이 짹짹거리는 듯한 소리만이 들려온다.

그럼에도 전주에는 위안거리가 많다. 일단 먹을거리가 안심하게 만든다. 공간이 좀 현대화하고 있다 한들, 그래서 좀 불만이 생긴다 한들, 사람들의 입맛을 만족시켜준다는 건 그만큼 대신의 위로를 해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주에선 먹을 것이 곧 얘깃거리가 된다.

1/3
글 · 오동진 | 영화평론가 사진 · 김성룡 | 포토그래퍼
목록 닫기

자유와 구속 두 가지 욕망의 변주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