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아시아 욕망코드에 대한 적나라한 보고서 ‘럭스플로전’

아시아 욕망코드에 대한 적나라한 보고서 ‘럭스플로전’

1/2
아시아 욕망코드에 대한 적나라한 보고서 ‘럭스플로전’

‘럭스플로전’ 라다 차다·폴 허즈번드 지음, 김지애 옮김, 가야북스 448쪽, 2만원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 그 시절 가장 좋고 귀한 것은 유럽 밖에서 셈 빠른 상인의 손을 거쳐 유럽으로 흘러들었다. 동남아시아산 고급 문방구, 푸켓의 실크와 향료, 극동아시아의 아편과 금괴…. 그러나 2007년 오늘, 100년 전 유럽인의 로망과 향락과 운치와 풍요가 시작된 바로 그 동양에선, ‘명품의 왕족’ 에르메스의 켈리 백, ‘왕들의 보석상’ 까르띠에의 시계, ‘패션의 시작이요 끝’인 샤넬의 트위드 재킷, ‘악마도 반한’ 프라다 수트가 시대를 읽는 키워드로 통용된다. 일본과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소비자를 참으로 ‘오지랖 넓게’ 조사한 이 책이 그런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소문처럼 떠도는 견해에 끼워 맞춘 것에 불과하다는 호전적 반론에도 불구하고, ‘럭스플로전’은 수치와 도표를 활용해 아시아의 현실을 그렇게 정의한다.

‘럭스플로전’은 가장 좋고 진귀한 것이 유럽을 떠나 아시아로 몰려오고 있는 2007년 현재에 주목한다. 홍콩에 기반을 둔 브랜드 컨설팅 회사의 라다 차다와 아시아에 정통한 마케팅 매니저 폴 허즈번드는 유독 아시아에서 가속화한 새로운 소비 형태를 책의 전제로 삼았다. 명품 브랜드에 관한 마케팅 보고서가 이렇게까지 아시아를 콕 집어 운운하는 건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는 아시아의 경제력과 그로 인해 어느 때보다 풍요로워진 자금력 때문이다. “부(富)를 이루는 것은 명예로운 일”이라고 주창한 덩샤오핑의 말을 끌어들이지 않더라도 동양에서 부란 물질적 성공을 향한 지극히 인간적인 욕망을 신의 축복으로 승화시키는 묘한 문화적 페이소스를 지니고 있지 않은가.

‘동조화’ 단계에 접어든 한국

흥미로운 건, 바로 이 부분에서 저자들의 뛰어난 관찰력이 돋보인다는 사실이다. ‘경제 침체기에도 개인의 경제적 능력을 상징하기 때문에 명품 소비를 포기할 수 없는 일본’이라든가 ‘서로 뛰어나 보이기를 원하는 경쟁 심리 때문에 점점 더 높은 명품 소비를 유발하는 한국’ 등의 절묘한 관찰기가 그렇다. 각 브랜드가 내놓은 통계 수치를 제시하기에 앞서 저자들은 문화에 대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배경을 살펴본다. 이러한 대목은 동양권 독자에게 자기 문화에 대해 이해 내지 공감할 수 있게 하고, 파리 샹제리제 거리의 루이비통 매장과 로마 비아 콘도티의 불가리 매장에서 무시무시한 ‘지름신(신이 내린 듯 겁 없이 쇼핑하는 것을 빗댄 은어)’ 파워를 보이는 동양인을 보면서 놀라움과 질시와 경멸의 카오스에 빠지곤 하는 서양인 독자에겐 속성 정리된 아시아문화 입문서와 같다.

친절하게도 한 장(章)이 끝날 때마다 아시아에서 명품 브랜드가 성장한 과정을 핵심적으로 훑은 패션 연대기나 일본, 중국, 한국 등의 명품 쇼퍼와 나눈 진솔한 대담이 단순한 마케팅 보고서 이상의 감성적 신뢰를 불러일으킨다. 하지만 아마도 한국의 꽤 많은 이가 동양에 대한 이들의 탐구 정신에 대해 보드랍고 통통한 살 속에 날카로운 손톱을 감춘 이중성을 느낄지 모른다. 저자들이 입을 모았듯, 이러한 거부반응은 유독 한국 소비자에게 두드러지는 게 사실이다.



세계 마케팅 분야에서 한국을 명품 유행의 5단계 중 네 번째 ‘동조화’에 접어들었다고 분류할 만큼 한국의 명품 소비는 빠르게 성장했다. 필자가 얼마 전 프랑스 론 알프스 지방 관광청 초청 미디어 투어에 참석했을 때도 이를 실감했다. 한국 기자만을 대상으로 한 투어의 목적은 에비앙(Evian) 같은 고급 온천 휴양지와 고가의 멤버십 골프 투어, 미식가의 천국 프랑스에서도 유달리 뛰어난 스타 쉐프(Chief)를 많이 배출한 고급 식도락 등의 관광 상품을 소개하는 것이었다. 선진국형 관광 아이템이니만큼 관광청에서는 수많은 데이터를 비교 분석 후 대상국을 심사숙고해 선정했는데, 올해 한국이 처음으로 명단에 들었단다. 10년째 아시아 지역을 맡고 있는 홍보 담당자는 “이미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이 삶의 질을 높이고 고급스러움을 적극적으로 향유하는 쪽으로 바뀐 지 오래”라고 확신했다. 그뿐 아니라 아시아 지역에서도 한국인의 여행 취향에 대해 “신흥 부자들의 과시적 여행이 주도적인 중국이나 쇼핑 외에 문화적 호기심이 크지 않은 홍콩이나 싱가포르 사람들과는 또 다른 독자적 범주를 형성한다”고 말한다.

소비는 욕망의 방향 읽어야

‘럭스플로전’은 분명히 개인의 사적인 옷장 사연을 둘러싼 다분히 선정적인 폭로전이다. 아시아 명품의 막강한 주 소비층을 나라별로 적나라하게 조사해, 조목조목 분석한 부분은 애초부터 페미니스트들의 맹비난을 감수하기로 작정한 느낌이 들 정도다. 이를테면 명품 구매력의 규모와 패턴에 따라 최상층을 유명 인사로, 바로 그 다음을 중국과 대만 등지에서 이른바 ‘첩’을 뜻하는 ‘타이-타이’로, 그리고 비즈니스 피플, 일반 직장 여성, ‘통 큰’ 십대 순으로 구분한 것이 대표적이다. 저자들은 한국의 호스티스를 별도의 부류로 본다. 그런데 아시아의 명품 파워와 ‘첩’이 대체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이 책은 이들을 ‘남자의 부를 택해 결혼한 교만한 영혼들’이라고 규정한다. 지성을 겸비한 타이-타이도 있는데 ‘자신의 부티크나 스파 혹은 클럽’을 운영하며, 선호하는 브랜드도 단연 샤넬과 에르메스, 까르띠에란다.

서울의 명품 애호가들을 관찰한 내용 또한 매우 흥미롭다. 국내에 진출한 첫 라이선스 패션 매거진인 ‘엘르(Elle)’의 편집상무를 비롯해 ‘하퍼스 바자(Harper´s Bazaar)’의 발행인이자 CEO인 김영철 회장 등과의 인터뷰를 살펴보면, 이미 오래전부터 한국적 명품 소비의 특수성에 대한 리서치가 완료된 듯한 인상마저 풍긴다. IMF 이후 서로 맞붙은 채 가파르게 치솟고 있는 미에 대한 갈망과 명품 열풍과 성형 수술 시장의 상승 곡선, 이것은 분명 아시아 특유의 ‘욕망의 코드’인 것이다.

1/2
김정원 ‘애비뉴엘’ 수석 피처 에디터 jwmail@avenue-L.co.kr
목록 닫기

아시아 욕망코드에 대한 적나라한 보고서 ‘럭스플로전’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