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1월호

웃음은 천국의 표정

[에세이]

  • 김희경 작가

    입력2023-11-18 09: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Gettyimage]

    [Gettyimage]

    한바탕 가을 축제를 준비하기 위한 한낮의 뜨거움이 절정을 찍었다. 가을은 뜨거운 태양으로 완성된다. 태양을 품어야 익어가는 대추와 밤이 추석이 다가왔음을 알린다.

    강렬한 태양은 과일의 속살과 과육을 만드는 원초적 에너지다. 생명의 결실에 감사하는 가을이 왔다. 내 나이도 가을일까 생각하는 시간대에 서 있다. 결국 나는 가을에 서 있다. 가을은 반짝이는 꿈보다 추억이 어울리는 계절이다.

    나는 누군가의 등불이 된 적이 있을까. 나는 누군가의 웃음으로 동기 감응되어 티 없이 맑고 활짝 웃어보았을까. 나는 누군가의 가슴에 활활 타오르는 용광로처럼 뜨거운 사람이었을까. 그저, 그곳에서, 그때는 그랬었지가 아닌 누군가의 기억에 살아 있는 존재로 남고 싶은 가을이다. 가을이 오면 감성이 더 짙어지는 건 내 잘못이 아니라 가을이 내게 시킨 일이다.

    나는 누구에게 한 번쯤 가시가 된 적이 있나 생각한다. 또한 가시 속에 꽉 찬 밤처럼 내면이 알차고 달콤한 밤 맛이던 적이 있는지 생각한다. 밤나무는 해마다 생명을 먹여 살릴 밤을 만든다. 나는 누구에게 일용할 양식을 선물했는지 마음 고픔을 채워주었는지 고민하는 가을 시간이다.

    밤송이와 뜨거운 전쟁

    [Gettyimage]

    [Gettyimage]

    가을이면 떠오르는 추억이 있다. 대롱대롱 매달려 있는 밤송이들의 초록은 싱그럽다. 뾰족한 가시는 인생의 굴곡과도 같고 자신을 지키려는 방어수단 같기도 하다. 그저 귀엽게 매달려 있는 수류탄 같기도 하다.



    중학교 때까지 가을마다 아버지랑 네 자매가 외곽으로 밤을 주우러 갔다. 밤송이 가시와 나의 전쟁도 어김없이 시작된다.

    아버지께선 이미 나무 위에 올라가셨다. 네 딸은 일제히 엎드려 ‘쑤구리’ 자세에 돌입했다. 밤송이에 맞아 다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한 대비 태세다. 언니는 소쿠리를 뒤집어쓰고 낮은 포복 자세를 취한다. 동생은 우산을 받치고 유유자적 여유를 부린다. 막내는 입던 외투를 뒤집어쓴다. 난 온몸으로 밤송이를 다 받을 기세다. 가시가 주는 고통을 실감하지 못해서다.

    실은 무엇으로라도 아버지가 떨어뜨릴 밤송이에 그저 감사하며 밤송이 받을 자세를 취한다. 밤나무는 소나기 오기 전 부는 세찬 바람을 맞고 서 있는 것처럼 마구 흔들리기 시작한다.

    밤송이들이 춤을 춘다. ‘늑대와 함께 춤을’이 아닌 밤송이와 한판 춤을 추어야 한다. 밤송이들이 아버지의 막대기 장단에 맞춰 투둑투둑 춤을 춘다. 한 곳이 아닌 사방팔방으로 툭, 툭, 튕기기도 한다. 방심한 내 엉덩이를 공격하기도 한다. 찌릿하다. 미치도록 따갑다. 한데 밤송이들이 장난을 치는 것인지 아버지가 장난을 하는 건지 내 엉덩이만 공격당한다. 밤송이가 살로 파고든다. 강렬한 고통이 찾아온다. 따갑고 아프고 자극적이다. 이보다 더 따가울 수는 없다. 공격당한 곳은 더는 버틸 힘이 없다.

    “밤 줍기 놀이는 천국일까. 지옥이면 어쩐담.”

    다리가 후들거린다. 몸이 사시나무 떨 듯 떨리고 소름 끼친다. 공격한 곳만 다시 공격하는 밤송이.

    나무 위에 선 아버지는 칭기즈칸 같았다. 밤송이를 털러 나무마다 올라가 흔들고, 막대기로 치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았다. 그러는 사이 세찬 눈보라가 와도 무너지지 않을 기세로 버티던 밤송이의 공격은 나를 쓰러뜨렸다. 지지 않을세라 언니와 동생들 몫까지 챙기려다 내 엉덩이는 불이 났다. 참기 힘들 정도로 화끈거렸다.

    고통 속에서 피어난 웃음의 힘

    아버지의 치료 시간이다. 내 엉덩이에 박힌 가시를 뽑아주는 시간이다. 무조건 엎드려 엉덩이를 하늘 높이 들게 하고 아버지는 핀셋과 손톱깎이로 밤송이 가시를 뽑았다. 가시 하나를 뽑을 때마다 산모의 고통을 느낄 수 있었다. 난 죽을 것처럼 아파 소리를 지르는데 그런 내 모습에 모두 즐거워한다. 언니와 동생들, 아버지까지 얼굴에 웃음이 가득하다.

    배를 잡고 웃고, 허리와 가슴까지 부여잡고 웃는다. 웃음을 참고 또 참다 한 번씩 펑 터뜨려 웃고 또 웃었다. 난 울면서 웃고, 웃다가 울었다. 울다가 웃으면 엉덩이 땡땡이라며 또 웃었다. 사소한 행복에 모두 전염돼 종일 행복감에 젖었다. 그날의 기억은 지금까지 살아오며 잊지 못할 추억이 됐다. 내 머릿 속의 지우개가 범접하지 못하는 소중한 추억이다.

    웃음은 천국의 표정이다. 웃는 순간 세상은 깨어난다. 살아서 빛난다. 웃음은 생명을 깨우는 천국으로 안내하는 열쇠다. 내 인생이 고비를 맞을 그날의 추억은 내게 힘을 주었다.

    엉덩이를 초토화한 밤송이 가시가 뽑힌 자리는 모기에게 물린 듯 빨갛고 도드라진 뾰루지 같은 자국이 생겨 울퉁불퉁해졌다. 멍게가 되어 바다에서 헤엄치는 기분이었다. 고통은 고통이고, 녹색의 가시 안에 숨겨진 달콤하고 하얀 생률의 유혹을 어찌 뿌리치랴. 신선하고 아삭거리는 생률의 맛 덕분에 아픔도 환희로 승화한다. 가끔 들르는 정안휴게소에서 파는 달고 맛있는 날밤을 오물거리다 보면 그때 그 맛이 되살아나는 듯하다.

    아버지는 돌아가셨다. 젊고 푸르던 아버지를 추억으로만 만날 수 있다.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만큼 시골의 밤나무도 훌쩍 커졌다. 꿈속에서 가끔 아버지를 만난다. 아버지는 운동회에서 분위기를 살리는 치어리더로 변신해 날 웃음 짓게 만드신다.

    “김희경 이겨라.”

    “우리 딸, 김희경 이겨라.”

    아버지는 숱 많은 총채를 흔들며 응원하신다. 아버지의 응원은 내게 큰 힘이 된다. 고마운 마음에 가슴이 벅차오른다. 이런 꿈을 꾼 날은 종일 행복하다. 아버지를 본 것만으로도 행복하다.

    둘째 딸인 나는 출판사를 차렸다.

    출판사 이름은 ‘느티나무가 있는 풍경’이다. 내 인생의 느티나무였던 아버지가 그립다. 가을은 추억도 익게 만든다. 밤나무 위에 올라가 가지를 연신 흔들어대던 아버지가 활짝 웃으신다. 밤송이들이 후드득후드득 떨어진다.

    무더웠던 더위도 지나가고 높은 하늘 자리에 떠 있는 다양한 모양의 흰 구름은 가을임을 강하게 알려준다. 추억이 돼버린 어릴 적 일들은 가끔 나를 성장시키고 돌아보게 만든다. 가을은 천국의 입구에 서 있다.

    김희경
    ● 1965년 출생.
    ● 방송통신대 국어국문학과 졸업.
    ● ‘시로 표현하는 삶의 여정’ ‘행복한 나들이’ 등에 시 기고하며 등단
    ● 저서: ‘아름다운 만남 새벽을 깨우다’ ‘내 인생의 위로’ ‘잊지 못할 내 삶의 한순간’ (공저)




    에세이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