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3월호

제14회 한무숙문학상 받은 소설가 정지아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제14회 한무숙문학상 받은 소설가 정지아
“돌아가신 권정생 선생님이 그런 말씀을 하셨어요. 겨울에 생쥐가 몸속으로 파고들어 처음엔 기겁을 했다가 얼마나 추웠으면 그랬을까 하고 가슴에 품고 잤다고요. 제 소설도 그처럼 오갈 데 없는 이들의 사소한 쉼터라도 되면 좋겠습니다.”

제14회 한무숙문학상을 받은 소설가 정지아(44)씨는 과작(寡作)의 작가지만, 그의 작품들은 한 땀 한 땀 정성 들인 바느질처럼 단아하고 품위가 있다. 정씨는 이번에 11편의 작품이 들어 있는 작품집 ‘봄빛’으로 상을 받았다. 심사위원들은 이 작품집이 “전통적인 리얼리즘 기법으로 비극적 현대사와 그로 인해 뒤틀려버린 개개인의 운명, 아직도 내면 깊숙이에서 피 흘리고 있거나 상흔을 남긴 상처들을 소설로 형상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상금은 1000만원.

정씨는 무엇보다 실제 빨치산이었던 부모의 삶을 그린 장편소설 ‘빨치산의 딸’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의 이름은 빨치산들이 마지막으로 항전했던 지리산과 백아산에서 한 글자씩 따온 것이다. 한국 현대사의 비극이 그의 이름에 그대로 깃들여 있는 셈이다. 그럼에도 그는 그 이미지 안에 갇혀 있길 거부한다. 마치 ‘어디 한번 덤벼봐라, 얼마든지 상대해주마, 이길 수 없는 싸움이라 할지라도 고분고분 져주지는 않겠다’라며 결사 항전의 의지를 내보이는 그의 소설 ‘운명’의 주인공 같다.

중앙대 문예창작학과 강사로 일하고 있는 정씨는 2007년 이효석문학상, 2008년 문화예술위원회 선정 ‘올해의 소설’상을 받는 등 요즘 부쩍 문학성을 인정받고 있다.

“지난해 아버지 장례식 때 빨치산 전력의 수많은 노인이 다녀갔어요. 젊은 사람들은 그 장례식을 비디오로 일일이 찍기도 했고요.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문상을 와서 남겨놓은 그 3일간의 인상을 그린 장편소설을 쓰려고 해요.”



정씨는 또 자신에게 박힌 ‘빨치산의 딸’이미지와는 다른 소설도 구상 중이다. 그는 “원래 사람의 이미지는 삶의 총체적 결과물인데, 요즘엔 돈만 있으면 그와는 무관하게 이미지를 바꿀 수 있는 세태를 꼬집는 작품이다”고 말했다.



He & Sh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