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3월호

벗지 않아 더 자극적인 검은 스타킹

  • 입력2009-03-06 16:5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벗지 않아 더 자극적인 검은 스타킹

    ‘검은 스타킹을 신은 여인’, 1913년, 과슈·수채·연필, 98×31cm, 개인 소장

    섹스의 시작은 스타킹이다. 절정에 도달하는 시간은 짧지만, 섹스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스타킹은 직접적 성행위보다 더 자극적인 환상을 심어준다. 남자는 여인의 스타킹을 벗기면서 여인의 육체를 소유한다는 환상과 죽음보다 깊은 섹스의 쾌락을 상상한다. 포르노영화의 여주인공이 벌거벗은 채 달랑 검은색 스타킹 하나만 신고 남자를 유혹하는 것도 스타킹이 남자에게 성적 판타지를 열어주기 때문이다.

    스타킹을 신은 여인을 통해 성적 환상을 증폭시킨 작품이 에곤 실레의 ‘검은 스타킹을 신은 여인’이다. 스커트를 걷어 자신의 음부를 적나라하게 드러내 보이는 여인을 묘사한 이 작품에서 음부와 젖꼭지, 그리고 검은색 스타킹에 달린 리본의 붉은색은 성행위를 의미한다. 검은색 스타킹이 여인의 성기를 강조하지만, 에곤 실레는 남성의 관음증을 자극하기보다 여인 육체의 실체를 드러내고자 했다.

    에곤 실레(1890~1918)는 원근법을 무시한 채, 현실에서는 실현하기 어려운 성적 충동을 충족하기 위해 모델에게 기이한 포즈를 요구했다. 그는 변태적 성적 충동을 드러내기 좋아해 모델들에게 강압적으로 포즈를 취하게 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춘부에게 검은색 스타킹은 육감적인 몸매를 부각시키면서 동시에 남성의 욕망을 부추기는 데 유용한 도구다. 스타킹을 신고 생활하는 매춘부들의 일상을 그린 작품이 알베르 마르케의 ‘두 친구’다. 스타킹을 신고 다리를 벌린 채 침대에 나른하게 누워 있는 매춘부와 침대에 기대에 휴식을 취하고 있는 또 다른 매춘부의 자세가 도발적이지만 둘의 표정은 우울하다. 침대 뒤에 드리워진 커튼은 자연을 연상시키지만 현실과 동떨어져 있어 매춘부들의 암울한 세계가 더 강조된다.

    벗지 않아 더 자극적인 검은 스타킹

    ‘두 친구’, 1911년, 캔버스에 유채, 60×92cm, 프랑스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매춘부들의 벌거벗은 몸은 검은색 스타킹으로 인해 에로티시즘을 더한다. 알베르 마르케(1875~1947)의 이 작품은 그가 자주 드나들었던 사창가의 매춘부들을 모델로 그린 것으로 동성애를 표현하고 있다.



    스타킹은 부부 사이에도 성적 환상을 자극한다. 자신의 자극적인 성생활을 공개한 작품이 제프 쿤스의 ‘일로나가 위에서’다. 이 작품은 쿤스의 ‘메이드 인 헤븐’ 연작 중 하나로, 쿤스는 자신을 모델로 섹스 장면을 연출해 미술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 작품에서 스타킹은 음부를 가리는 속옷의 기능보다 쾌락을 배가시키기 위한 섹스 도구에 가깝다. 포르노그래피에 가까운 묘사로 섹스 숍이나 포르노잡지를 연상시킨다. 제프 쿤스(1955~)의 이 작품에서 스타킹을 신고 자극적인 체위를 취한 치치올리나는 1987년 가슴을 드러내놓고 선거 유세를 해 세계적으로 이름을 떨친 포르노배우 출신 이탈리아 국회의원이다. 쿤스와 치치올리나는 1991년 결혼했다. 이 작품은 엘리트 예술의 개념을 무너뜨리고자 한 쿤스의 의도를 확실하게 보여준다.

    벗지 않아 더 자극적인 검은 스타킹

    ‘일로나가 위에서’, 1991년, 사진과 혼합재료, 작가가 이혼하면서 작품을 폐기해 크기 확인 불가

    벗지 않아 더 자극적인 검은 스타킹

    ‘젊은 미망인’, 1922년, 캔버스에 유채, 102×61cm, 개인 소장

    성적 욕망을 숨기지 못하는 여인을 그린 작품이 리하르트 치글러의 ‘젊은 미망인’이다. 검은색 베일

    장식의 모자를 쓴 여자는 검은색 스타킹만 신은 채 거울 앞에 서서 검은색 숄로 자신의 가슴을 애무하고 있다. 검은 모자와 십자가 목걸이는 그녀가 막 남편의 장례식에서 돌아왔음을 암시한다. 그럼에도 주체할 수 없는 성욕이 검은색 스타킹과 가슴을 움켜쥔 손을 통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벗지 않아 더 자극적인 검은 스타킹
    박희숙

    동덕여대 미술학부 졸업

    성신여대 조형대학원 졸업

    강릉대학교 강사 역임

    개인전 8회

    저서 ‘그림은 욕망을 숨기지 않는다’ ‘클림트’‘명화 속의 삶과 욕망’ 등


    의자에 걸쳐져 있는 흰색 드레스는 순결을 상징하지만, 여인이 그것을 벗어놓음으로써 미망인의 삶을 벗어던지고 싶은 욕구를 암시한다. 거울 속의 붉은색 육체는 현실의 육체와 강한 대비를 이룬다. 리하르트 치글러(1891~1992)는 이 작품에서 현실과 욕망의 갈등을 나타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