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이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2024년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과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22일 한 위원장은 국회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제가 사퇴 요구를 거절했기 때문에 구체적인 내용은 말씀드리지 않겠다”고 밝혔다. 질의에 답변하는 형태로 자신에 대한 대통령실의 사퇴 요구가 있었다는 점을 확인한 셈이다. 한 위원장은 이어 “제 임기는 총선 이후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표면상으로는 공천에 대한 문제제기의 형식을 띠고 있다. 실제로는 김경율 비대위원이 김 여사의 사과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편 데 대해 대통령실이 불쾌감을 표시했다는 해석이 많다. 대통령실 사정에 밝은 여권 관계자는 “애초엔 (대통령실에서) 김 비대위원을 정리해달라고 요구했으나 한 위원장이 버티자 비대위원장 사퇴 요구로까지 나아간 것으로 안다”고 했다.
친윤계 내부의 기류도 두 쪽으로 갈라지고 있다. 수도권에 지역구를 둔 인사들은 대체로 한 위원장에게 우호적이다. 서울 지역의 한 당협위원장은 “과거 윤석열 검찰총장이 문재인 정권과 맞서며 서사가 쌓였듯 한동훈의 서사가 쌓이는 국면”이라면서 “조급한 윤핵관(윤 대통령 측 핵심관계자)들이 무리수를 뒀다”고 말했다.
TK(대구‧경북)와 PK(부산‧경남) 일부, 강원권, 경기 북부 접경지역에 지역 기반을 둔 인사들의 생각은 다르다. 해당 권역에 지역구를 둔 한 초선의원 측은 “여당은 대통령이 일을 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보루여야 한다”면서 “애초 한 위원장 취임을 환영했지만 대통령실과 결이 다른 메시지를 내니 비토하게 된 것”이라고 했다.
한 위원장이 사퇴 요구를 거절한 이후 대통령실도 구체적인 추가 입장을 내놓지는 않고 있다. 한 위원장은 이날 예정된 일정(비대위 회의, 인재영입 환영식)을 그대로 소화했다. 대통령실 사정에 밝은 여권 관계자는 “당정 갈등으로 계속 비치면 공멸이니 적정 수준에서 갈등이 조정될 것”이라면서도 “후유증은 남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