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쿄대 약과대 면역학연구팀이 꽃송이버섯의 면역증강 효과를 실험하고 있다.
그런데 면역요법을 제외한 치료법들은 여러 후유증과 부작용을 동반해 환자에게 심한 고통을 안겨준다. 특히 항암제인 사이클로포스파미드(CY)를 투여하면 암 세포에 대항하는 백혈구 수까지 급격히 감소해 오히려 암이 악화될 수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가장 안전한 치료법은 사람이 본래 지니고 있는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자기면역력을 높이는 연구가 여러 형태로 진행되고 있는데, 면역력을 높이는 물질로 가장 주목받는 것이 베타글루칸이다.
버섯에 항암효과가 있다는 것은 과거부터 잘 알려져왔다. 다만 버섯의 어떤 성분이 항암작용을 하는지가 규명된 것은 20세기 중반에 들어서다. 그 열쇠가 바로 베타글루칸, 정확하게는 ‘베타(1,3)D글루칸’에 있었다. 베타(1,3)D글루칸이 대식세포, T세포, 자연살해세포(NK) 등에 대해 면역증강 작용을 한다는 사실이 연구에 의해 밝혀진 것.
베타(1,3)D글루칸은 천연물질이어서 부작용이 없고, 분해속도가 느려 체내에 오랫동안 남아 다양한 작용을 하며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기능을 한다. 현재 항암치료제로 개발된 치마버섯의 소니필란(SPG), 잎새버섯의 클레스틴(PSK), 표고버섯의 렌티난(LNT) 같은 중요 성분이 바로 베타(1,3)D글루칸이다.
‘신비의 버섯’
베타(1,3)D글루칸의 효과에 매혹된 의학자들은 이 성분이 더 많이 들어있는 버섯을 찾기 시작했고, 특히 꽃송이버섯에 주목했다. 지금까지는 자연에서 자라는 양이 적어 일반인에게 알려지지 않아 이른바 ‘신비의 버섯’으로 불렸는데, 최근 일본과 한국에서 인공재배를 하는 곳이 늘고 있다.
일본명 ‘하나비라다케’인 꽃송이버섯은 주로 여름과 가을에 걸쳐 일본에서 야생한다. 빛깔은 담황색 또는 흰색이고 두께는 1mm 정도로 편평하다. 여러 개의 가지로 나뉘어 있는데, 가지 끝이 꽃잎처럼 꼬불꼬불한 것이 특징이다. 자실체(균류의 균사가 빽빽히 모여서 된 영양체)는 산호나 모란채 모양을 하고 있다. 송이버섯 같은 향이 은은하게 나는데 먹으면 씹는 맛이 좋다.
꽃송이버섯을 연구하는 대표적인 기관인 일본 도쿄대 약과대학 면역학연구팀을 찾아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확인해보았다. 도쿄대 약과대학 면역학연구팀은 20년 넘게 베타글루칸(면역증강제)을 연구해온 이 분야의 세계적인 연구기관이다.
연구팀을 이끄는 오노 나오히토 교수에 따르면 꽃송이버섯이 본격적으로 주목받은 것은 1997년 일본 건강식품회사인 (주)미나헬스에서 인공재배에 성공하면서부터라고 한다.
“(주)미나헬스에서 자신들이 인공재배한 꽃송이버섯 ‘MH-3’에 베타글루칸이 많이 들어 있다며 공동연구를 제안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1998년 초에 일본식품분석센터에 MH-3의 성분분석을 의뢰했죠. 그런데 검사결과를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베타(1,3)D글루칸 함유량이 100g 중 43.6g에 달했거든요. 말 그대로 글루칸 덩어리였던 셈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