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6월호

아낌없이 주고 떠나는 마지막 잎새

  • 채병률 | (사)실향민중앙협의회 회장

    입력2015-05-21 17:15: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1945년 8월 15일 광복은 내게는 또 다른 비극의 시작이었다. 평양이 고향인 나는 38선 이북을 접수한 소련군을 피해 16세의 나이에 고향을 떠나 38선 이남으로 탈출했다. 둘째누님과 서울로 온 나는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 타향에서 담배팔이, 껌팔이 등 돈을 벌 수 있는 일이면 뭐든 하면서 선린중학교를 졸업했다. 그런데 미군이 통치하던 이남에도 소련과 김일성에 동조하는 자들이 우글거렸다. 나는 어렵게 고학을 하면서도 서북학련(西北學聯)의 일원으로 목숨 걸고 좌익과 맞서 싸웠다.

    6·25전쟁이 발발하자 고향땅을 밟기 위해 군에 자원입대했고, 미군 극동사령부 정보처 소속 8240부대에 배속됐다. 적 후방에 침투해 첩보수집과 교란작전을 하는 부대였다. 낙동강 전선이 형성됐을 때에도 적 후방인 평양지역에 침투해 비밀공작업무를 수행했고, 1·4후퇴 이후에도 적 후방인 개성과 토성 지역 작전에 참여했다. 평양작전 때 평양에 남아 있던 큰누이와 매부를 남으로 탈출시킨 건 지금 생각해도 잘한 일이다. 누님 가족을 탈출시키던 당시가 내가 고향을 본 마지막 순간이 되리라고는 그땐 미처 상상하지 못했다.

    올해로 고향 땅을 떠난 지 70년이 흘렀고, 나는 부지불식간에 86세 노인이 됐다. 나와 함께 공산주의와 맞서 싸운 동지들은 하나둘 세상을 떠났고, 살아 있는 동지들 대부분도 이런저런 병마와 싸우며 여생을 보내고 있다. 가끔씩 그들을 만날 때면 나는 아직도 가슴이 뜨거워짐을 느낀다. 그들도 나도 좌익과 투쟁하면서 또 6·25전쟁을 겪으면서 매 순간 죽을 수 있다는 두려움을 느꼈다. 그럼에도 그 싸움을 피할 수 없었던 것은 내 목숨보다 소중한 ‘자유’라는 가치를 잃지 않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우리는 그 ‘자유’를 지킨 것에 자부심을 갖고 80 평생을 살아왔다.

    할배들의 주책?

    아낌없이 주고 떠나는 마지막 잎새

    현대사의 굴곡을 온몸으로 겪은 세대를 그린 영화 ‘국제시장’.

    얼마 전 ‘국제시장’이라는 영화에 1000만이 넘는 관객이 들었다고 한다. 그런데 어이없게도 영화 내용을 두고 난데없이 이념논쟁으로 몰아가는 좌파세력을 보면서, 가슴속에서 피눈물이 흘렀다. 물론 영화라는 매체는 흥행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감동과 눈물을 강요하는 경향이 있다. 영화 ‘국제시장’에도 그런 장면이 있다는 것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런 게 이 나라의 ‘국제시장 세대’에게 감사해야 한다는 생각을 눈물로 강요하는 것 같아서 불편한 구석도 있다.



    하지만 설령 그런 부분이 있다 하더라도 만약 이 땅에서 다시 전쟁이 발발한다면, 노구를 이끌고라도 총을 들고 싸우겠다는 청년정신을 가진 우리 세대의 국가사랑, 가족사랑이 소모적인 이념논쟁 속에 그저 ‘할배들의 주책’쯤으로 매도되는 것은 가슴 아픈 일이다.

    우리 세대는 한 사람 한 사람이 영화의 주인공처럼 파란만장한 인생을 살아왔다. 어려서는 태평양전쟁을 간접 경험했고, 학창 시절에는 광복을, 성인이 돼서는 6·25전쟁을, 그리고 장년이 돼서는 베트남전쟁을 경험했다. 또한 4·19와 5·16, 3차에 걸친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그리고 10·26사태와 민주화운동을 정신없이 거쳐왔다. 나 개인적으로도 기자 생활과 공직 생활을 하면서 현대사를 직접 목격했고, 개인적으로 부침 많은 인생을 걸었다.

    문득 노인이 되어 돌이켜 보니, 그 과정이 정말로 한순간에 지나간 것 같다. 하지만 우리 세대는 청년 시절에 함께 목숨을 걸고 자유 대한민국을 사수하기 위해 싸웠고, 산업화 시대에는 저마다의 위치에서 대한민국을 부강한 나라로 만들기 위해 희생과 노력을 다한 현대사의 산증인들이라고 자부한다.

    내 짧은 필력으로는 우리 세대의 경험과 눈물을 제대로 담아낼 수 없다. 다만 우리 세대가 목숨보다 소중하게 여긴 ‘자유’나 ‘가족’에 대한 열정과 책임감을 후세들이 있는 그대로만이라도 알았으면 좋겠다. 과장된 포장도, 강요된 감사도 아닌 있는 그대로 우리 인생을 바라봐주었으면 한다.

    그늘 속의 노병들

    현재 6·25 참전용사 18만여 명이 생존해 있다. 대한민국을 지켜내고 발전시킨 주인공들이 이 사회에서 ‘폐품’이 되어 존경은커녕 무시의 대상이 되어버린 현실에 비애감을 감출 수 없다. 대한민국 발전에 기여했지만 이제는 방전된 배터리 신세가 되어 쓰레기 취급을 당하는 동지들과 나 자신을 보면서, 대한민국 사회에 대해 배신감마저 든다.

    다 늙은 노병의 푸념이라 해도 좋다. 하지만 대한민국 사회는 국가와 민족을 위해 일생을 바친 노병들에 대한 예우에 대해 지금이라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미국의 알링턴 국립묘지에서는 해마다 6·25 참전 기념행사를 하고, 미국 정부는 참전 노병들을 초대해 최대의 예를 갖춘다. 그런데 정작 당사국인 우리의 역대 정부는 무엇을 했는가. 정부가 무시하니까 국민도 무시하는 것이다.

    지금 병상에 누워 있는 나의 동지들 중에는 6·25전쟁 중에 부상을 당하고도 이를 숨기고 전장으로 뛰어나간 이가 많다. 공산군을 몰아내기 위해서였다. 그렇다보니 ‘상이용사등록’을 거부한 이도 많다. 그런데 지금 그걸 후회하는 이가 적지 않다. 나이 들어 병원 치료가 필요한 시기에 의료지원 혜택이 너무나 부족해 경제적 부담이 크다 보니 참전수당으로 받는 18만 원 안팎의 돈으로 감당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MRI(자기공명영상장치) 같은 값비싼 검사나 진료는 하나도 지원되지 않는다.

    심지어는 6·25전쟁 기념사업회조차 참전용사 중심이 아니라 엉뚱한 인사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고 한다. 그렇다보니 참전 용사들이 자신의 어려움을 호소할 수 없는 조직이 되어버린 듯하다.

    또한 정부가 4대강 사업, 무분별한 지자체 사업, 무상급식, 보편적 복지 등에는 막대한 예산을 퍼부으면서 노병들의 진료비 지원 예산을 아낀다는 것은 정말 부끄러운 일이다. 18만여 명의 생존 참전용사들이 모두 떠나고 나면, 6·25라는 전쟁을 기억하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대한민국은 이들의 마지막을 서글프게 하지 말았으면 한다.

    아낌없이 주고 떠나는 마지막 잎새
    채병률

    1930년 평양 출생

    단국대 법정과 졸업, 서울대 신문대학원 이수

    국가재건최고회의 내무분과위원회 민정보좌역

    새마음봉사단 총재보좌역

    現(사)실향민중앙협의회 회장


    정부는 지금이라도 보훈정책을 개선해 잊힌 그늘에서 고통 받고 신음하는 대한민국의 노병들을 따뜻하게 위로해야 한다. 그들은 비록 노쇠해 한국 사회라는 잘 자란 나무에서 마지막 잎새처럼 살고 있지만, 그들이 대한민국이라는 나무에 모든 것을 아낌없이 바치고 아무 말 없이 떠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에세이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