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스틱!</B><BR>칩 히스·댄 히스 지음 안진환·박슬라 옮김 웅진윙스 <BR>원제:Made to Stick
저자들의 의문은 바로 여기서부터 시작되었다. 이들은 말콤 글래드웰의 베스트셀러 ‘티핑 포인트’에서 빌려온 ‘고착성’, 다시 말해 ‘사람들의 뇌리에서 떨어지지 않는 아이디어’의 개념을 보다 심오한 수준까지 다듬고 개발했다.
모든 마케터의 꿈은 잠재 고객들의 머릿속에 오랫동안 남는 인상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스틱!’은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여러 전략과 기술을 제공한다. 스티커 아이디어의 여섯 가지 특성, 즉 단순성과 의외성, 구체성과 신뢰성, 감성, 스토리는 모든 작가나 이야기꾼, 작가들에게는 익숙한 개념이지만, 이를 구현하기란 늘 어려운 일이었다. 이 책은 마케터, CEO, 아니 핵심적인 메시지를 커뮤니케이션하길 원하는 모든 사람의 꿈을 실현하도록 도와주는 훌륭한 길잡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스틱!’의 가장 뛰어난 점은 이 책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스티커 아이디어의 모든 특성을 그 안에서 완벽하게 구현함으로써 스스로 모범 사례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저자들은 한번 읽으면 다시 절대로 잊히지 않을 이야기와 독특하지만 우리 주변에서 언제나 발견할 수 있는 일화를 들려주고, 다른 이들에게 메시지를 각인시키는 것이 결코 어려운 일이 아님을 스스로 입증하고 있다.
▼ Abstract
내 친구의 지인이 얼마 전 출장을 갔다가 술집에 들렀다. 바에서 만난 한 미녀가 그에게 술을 한잔 사고 싶다고 말을 걸었고, 그는 멋쩍어하면서도 기분 좋게 그녀가 권한 술을 받아 마셨다. 그리고 다음날 아침, 그는 얼음으로 가득 찬 욕조에서 눈을 떴다. 술집에서 만난 여자가 그에게 약을 탄 술을 먹인 다음, 그의 장기를 떼어갔던 것이다.
왠지 익숙한 느낌을 주는 이야기가 아닌가. 굳이 이 이야기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사람들 사이에 떠도는 많은 도시 전설을 알고 있다. 한번 들으면 쉽사리 잊히지 않고, 언제 어디서라도 문득 생각나면 옆 사람에게 들려줄 수 있는 이야기 말이다.
이러한 이야기가 대다수 사람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째서 우리가 그토록 공들여 닦은 메시지는 무시당하고 망각되는 반면 이런 이야기는 단시간 내에 영원히 대중에게 각인되는가.
만일 적절한 노력을 기울이고 마땅한 방법을 찾아낸다면 우리가 원하는 메시지도 이렇게 효과적으로 퍼뜨릴 수 있지 않을까. 대답은 ‘그럴 수 있다’이다. 이를 위해 천재가 될 필요는 없다. 뇌리에 달라붙는 스티커 메시지는 하나같이 공통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 여섯 가지 특성을 잘 버무리고 조합한다면 평범한 사람 역시 착 달라붙는 스티커 메시지를 만들 수 있다.
▲단순성: 단순하게 만들어라
‘단순하게 만들라’는 무조건 짧고 간결하게 하라는 의미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언제나 핵심이다. 핵심을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라. 이를 누구나 기억할 수 있는 간결한 표현으로 응축해서 전달하라. 이 같은 단순성을 가장 잘 구현한 스티커 메시지는 바로 속담이다.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나랴’와 같은 속담은 전 세계 모든 문화권에서 찾아볼 수 있는 간결하고도 의미심장한 메시지다.
▲의외성: 예상을 깨뜨려라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추측과 예상을 깨뜨리는 것이다. 노드스트롬 백화점에서는 타이어체인을 교환해준다. 심지어 그곳에서는 타이어체인을 팔지도 않으면서 말이다! 그러나 단순히 충격을 주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관심을 지속하고 싶다면 그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라. 그들이 모르고 있는 것을 인식시키고 그것의 공백을 메워나가도록 부추겨라.
▲구체성: 구체적으로 설명하라
만일 ‘이솝 우화’가 여우나 신포도, 호랑이가 나오는 이야기가 아니라 ‘정직하게 살라. 그렇지 않으면 후회하리라’와 같은 설교만을 지루하게 늘어놓는 교훈서였다면 과연 지금까지 전해 내려올 수 있었을까. 스티커 메시지는 ‘정의’나 ‘민주주의’가 아닌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단어와 이미지로 구성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