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립스 컬렉션은 미국 워싱턴DC 듀퐁서클 인근에 있다.
필립스 컬렉션은 당대 최고의 미술 비평가이자 미술품 수집가 던컨 필립스(Duncan Phillips·1886~1966)가 세웠다. 그는 백만장자 집안의 후손이면서도 사업을 이어받는 대신 조상이 번 돈을 지혜롭게 쓰는 일에 매진했다. 그의 외할아버지 제임스 라플린(James H. Laughlin·1806~1882)은 피츠버그에서 철강업과 은행업으로 큰 부(富)를 일군 사업가다. 당시 피츠버그는 철강업의 메카였는데, 라플린은 ‘철강왕’ 카네기 이전에 피츠버그에서 철강산업을 개척했다. 대재벌의 사위가 된 그의 아버지(Major Duncan Clinch Phillips· 1838~1917)도 유리 제조업에 뛰어들어 큰돈을 벌었다.
MoMA보다 8년 앞서
던컨 필립스는 피츠버그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냈고, 1895년 가족과 함께 워싱턴DC로 이주했다. 그는 예술과 문화에 관심이 많았고, 인문학에도 조예가 깊었다. 예일대 시절 학보지 편집장을 지내며 예술에 대한 논문을 쓰기도 했다. 피츠버그보다 워싱턴DC에서 이런 그의 취향을 충족시키기가 더 유리했음은 당연한 일이다.
필립스는 1917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고 이듬해 형까지 갑자기 사망하자 크게 충격을 받았고, 이들을 기념하기 위해 필립스 메모리얼 갤러리(Phillips Memorial Gallery)라는 미술관을 만들었다. 처음에는 자택 내 일부 공간에 많지 않은 소장품을 전시했는데, 1921년 화가 마조리 애커(Marjorie Acker)와 결혼하면서 이 갤러리를 일반에게 개방했다. 이것을 필립스 컬렉션의 공식적인 시작으로 본다. 이때까지 소장품은 200여 점에 불과했지만, 이 미술관은 미국의 첫 번째 현대미술관이 됐다.
마조리는 1923년 뉴욕에서 전시회를 열 정도의 수준급 화가였다. 필립스는 아내의 조언을 받아가며 작품 수집을 더 활발히 해나갔다. 아내도 미술관의 공동 설립자라고 할 정도로 미술관 운영에 정성을 쏟았다. 작품 수는 계속 늘어나 곧 600점을 넘어섰고, 관람 수요도 급증했다. 이에 1930년 필립스 가족은 살림집을 아예 다른 곳으로 옮기고 자택 전부를 미술관으로 사용했다. 이 건물은 이후 몇 번의 증축과 개축을 거치며 오늘날에 이르렀다. 1989년 증축할 때는 일본인 사업가 야스히로 고(Goh)가 거금 150만 달러(약 16억 원)를 기증했다. 이때 만들어진 전시관은 고 아넥스(Goh Annex)라고 불린다. 미술관 이름을 ‘필립스 컬렉션’이라고 한 것은 1961년부터다.
세계 미술사는 19세기 후반 인상파 이전과 이후로 크게 구분된다. 던컨 필립스가 살던 시대는 인상파 이후 아방가르드 그림에 대한 이해가 아주 부족하던 시절이다. 여전히 전통적인 아카데미즘 그림이 주류였고, 부자 수집가들은 이런 전통 그림에 몰두했다. 유럽보다 ‘후진국’이던 미국 역시 아방가르드 현대미술을 잘 이해하지 못했다. 오히려 인상파 이후의 현대미술은 과거 전통을 파괴하는 것으로 간주됐다.
하지만 필립스는 ‘변화’에 대해 확실한 철학을 가진 사람이었다. 모든 것이 그렇듯 예술 역시 시대에 따라 계속 변화해나갈 것이라고 믿었다. 당시 평가받지 못한 현대미술이 훗날 다음 세대의 원조가 될 것이라고, 즉 ‘아름다운 전통’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여겼다. 이런 그의 생각은 당시로서는 가히 혁명적인 것이었다. 미국 지식인들이 유럽 현대미술을 미치광이들의 덧없는 푸닥거리 정도로 치부하는 와중에도 그는 고집스럽게 현대미술 수집에 집중했다. 결과적으로 그의 수집품은 현재 세계 미술사의 주요 작품 반열에 올라 있다.

르누아르가 마흔 살에 그린 ‘뱃놀이 점심(Luncheon of the Boating Pa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