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으로 떠오른 환경 경영은 환경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국제적 흐름을 감안할 때, 일시적 유행으로 잠시 나타났다가 사라질 성격의 것이 아니라 인류의 영속성이 담보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추구해나가야 할 필연적인 길이라 생각한다. -본문 중에서
<b>환경 경영</b><br>이병욱 지음 에코리브르
국제 환경법규와 정책은 1990년대 이후 큰 변화를 거쳤다. 행정규제 중심은 시장 메커니즘 중심으로, 사후 대응은 사전 규제로 바뀌었다. 또 환경오염의 매체별 정책은 통합적 관리정책으로, 일방적 규제는 환경오염 책임자와 피해자의 상호성 원칙에 입각한 자율적 규제로 대체됐다. 즉, 환경문제를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기업 경쟁력을 좌우하게 된 것이다. 경제와 환경의 공존을 위한 ‘환경 경영’은 이 시대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이자 기업 생존 전략으로 부상했다.
이런 시점에서 이 책은 환경 경영의 훌륭한 길잡이가 돼준다. 환경 경영 분야의 최근 연구 성과를 토대로 환경 경영과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환경 경영 조직체계 및 감사, 환경회계, 환경성과 평가, 친환경 제품 개발과 그린 마케팅, 친환경 공급망 관리, 이해관계자 파트너십 등 환경 경영의 핵심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루며 구체적 실천 방법까지 담아낸 점이 돋보인다. 이 책은 기업이 환경 경영 패러다임을 받아들이며 겪을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 분명 도움이 될 것이다.
▼ Abstract
실질적인 환경 개선은 대량생산, 대량소비, 대량폐기라는 경제의 악순환을 끊어야만 가능하다. ‘환경 경영’은 이를 위한 세부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제1부에서는 환경 경영의 개념과 탄생 배경을 다뤘다. 환경 문제가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과 산업계의 중요한 환경 이슈인 지구 온난화 및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경제적 수익성과 환경적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환경 경영 주요 개념도 함께 정리했다.
제2부에서는 환경 경영 전략을 논했다. 최근 빠르게 논의가 진전되고 있는 지속가능성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관점에서 다양한 환경 경영 전략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3부 ‘환경 경영의 실천’에서는 환경 경영체제, 친환경 제품 개발, 녹색구매, 청정생산 및 그린마케팅 등 기업 경영활동의 가치사슬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환경 경영 활동을 여러 기업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제4부는 환경 경영 활동 평가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환경 경영의 결과는 안팎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의사소통을 거쳐 도출된다. 환경회계, 환경보고서 등 최근 기업이 관심을 갖는 부분을 비중 있게 다뤘다.
▼ About the author
이 책의 저자는 현재 환경부 차관으로 재임하고 있다. 포스코경영연구소(POSRI) 연구조정위원, LG 환경연구원 원장,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연구원 원장, 환경 경영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KAIST 산업공학과에서 경영학 석사를 받고 영국 UMIST 경영대학에서 환경 경영으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포스코경영연구소 환경 경영연구센터장으로 재임 중이던 1990년대 초, ‘환경 경영’이라는 개념을 국내에 소개했다. 이후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이를 기업 경영에 접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환경 경영론’ 등 여러 책을 냈다. 논문으로는 ‘지속 가능한 산업발전 전략’(한국환경정책학회, 2002) 등이 있다.
1992년 6월 환경 관련 회의로는 사상 최대인 170여 개국 정상 및 정부 대표들이 참가한 가운데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환경회담이 열렸다. 이 회의는 지구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다시 일깨우며 기후협약 등을 성립시켰으나 선진국과 개도국 등 국가 간의 대응책에 이견도 드러냈다.
1987년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이 세상에 공개됐다. 그리고 1992년 6월 브라질 리우에서 이 개념을 실천하기 위한 회의가 열렸다. 리우 정상회의에서는 ‘환경적으로 건전한 지속가능 발전’(Environmental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을 선언하면서 ‘의제 21’(Agenda 21)이라는 실천 과제를 채택했다. 친환경 발전과 환경 경영 비전이 전세계적으로 현실화된 것이다.
리우 선언이 있던 그때, 우리 재계와 학계는 환경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었다. 하지만 이를 경영활동에서 체화하지는 못했다. 환경문제를 경제적 수익이나 성장과 배치되는 개념으로 여겼던 것이다. 그간 재계를 지배한 성장 중심의 경제 관점에서는 자연스러운 생각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이 책은 재계와 환경 경영에 관심을 갖고 있던 학자, 전문가, 학생에게 명쾌한 지침을 제시했다. 심각해진 환경문제로 국내외 정책규제가 강화되던 당시, 경영 관점에서 환경문제를 조망하는 계기를 준 것이다.
특히 기업들이 환경조직 및 체계, ISO 14000(국제환경규격, 기업의 환경 경영체제를 평가해 객관적으로 인증하는 제도) 시리즈, 청정생산, 환경회계 및 환경성과평가 등 주요 실천 과제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또 국내외 주요 기업의 환경 경영 사례를 들어 환경문제가 기업 경쟁력의 주요 이슈가 됐음을 생생하게 보여줬다.
현재 환경 경영 및 ISO 14000 인증, 환경성적표지제도 등에 종사하는 컨설턴트와 환경 경영 교과 과정을 운영하는 주요 대학 등에서 이 책을 교재로 활용하고 있다.
▼ Impression of the book
이 책은 전략적 환경 경영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돕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상세하고 풍부한 실천 방안도 눈길을 끈다.
이명박 대통령은 8월15일 광복절 기념사를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 비전을 제시했다. 환경문제가 국가 차원의 정책 과제가 된 것이다. 환경문제는 효과적으로 대응할 때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기회가 된다. 신성장 동력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환경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은 단기적으로 원가 상승 요인이 된다. 그래서 환경 개선에 대한 사회 평가는 여전히 냉소적이며 기업들의 움직임도 소극적이다. 이런 점에서 환경문제를 전략적 경영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이 책의 시도는 의미가 있다.
특히 환경회계와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제3자 검증을 전제로 환경 및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과 환경IR(기업설명회)의 필요성을 지적하는 등 금융시장과 연계를 강조한 점이 돋보인다. 다만, 환경 경영 전략과 실천과제에서 제시하는 주요 사례는 주기적으로 수정하고 개선해야 산업계의 지침서로서 가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녹색분칠’(green wash)이라는 용어가 등장했다. 환경 경영 활동을 잘하는 것처럼 가장해 소비자를 현혹하는 기업을 일컫는 말이다. 녹색분칠 기업 중에는 우리가 환경 경영 우수 사례로 알고 있는 글로벌 기업도 있다. 환경 경영의 확산과 녹색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녹색분칠 기업을 정확히 분석하는 일이 선행돼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