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프가니스탄의 수도 카불 중심가에 위치한 ‘카불 세레나 호텔’의 한 객실. 기타가와 마나부(北川學·38) 아사히신문 카불 특파원이 현지 취재보조원에게 지시한다. 아프가니스탄인인 취재보조원(조수)은 2001년부터 아사히신문에 고용된 인물. 현지어인 다리어와 영어를 구사한다.
아사히신문 카불 임시 사무실 격인 이곳 업무는 세 가지 언어를 거쳐 이뤄진다. 기타가와 특파원이 영어로 취재 지시를 하면 조수가 여기저기 전화를 걸어 다리어로 취재하고 그 내용을 영어로 설명한다. 그러면 기타가와 특파원은 이를 일본어 기사로 정리해 본사에 송고하는 식이다.
취재에 이 조수의 정보만 활용되는 것은 아니다. 아사히신문에 고용된 4명의 통신원이 각기 취재원들을 통해 확보한 정보를 전해오면 이를 종합해 정리한다. 파키스탄에 있는 통신원이 아프간 현지에 있는 이들보다 사건의 핵심에 더 근접한 정보를 전해오는 일도 적지 않다.
한국의 경우는 어떨까. ‘한국인 20여 명이 아프가니스탄 남부에서 이슬람 반군세력인 탈레반에게 납치됐다’는 1보가 전해진 것은 지난 7월20일. 첫날부터 주 아프가니스탄 한국대사관과 탈레반이 발표한 인질의 숫자와 성비(性比)조차 제각각일 정도로 혼선이 이어졌다.
기타가와 특파원은 아사히신문 본사의 지시에 따라 안전 확보를 위한 확인절차 등을 거쳐 7월25일 카불에 들어갔다. 평소 월 1회 정도는 아프간을 오가던 터라 비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바로 이날 23명의 인질 중 첫 번째 희생자가 나왔다. 탈레반이 배형규 목사를 살해했다고 발표한 게 바로 그날이다.
이후 그는 호텔에 갇힌 생활을 이어갔다. 탈레반측이 “전략적 차원에서 외국인을 납치하겠다”고 발표한 마당이라 신변안전에 유의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어쩔 수 없이 모든 취재는 휴대전화로 이뤄졌다. 그는 한시도 전화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탈레반에 의한 한국인 23명 납치소식이 전해진 뒤 온 국민의 눈과 귀는 아프간에 쏠렸다. 갑작스럽게 닥친 일이라 처음엔 외신을 통하는 게 당연했다. 간간이 한국 정부의 발표도 나왔지만 만족스러운 정보는 별로 없었다.
막강한 현지 취재력
그러나 이후로도 한국 언론은 당사국임에도 외신에만 의존하는 답답한 시간이 이어졌다. 한국 정부가 아프간 입국 금지령을 내려 현지 접근이 아예 차단됐기 때문이다. 외교통상부는 피랍사건 발생 이후 주한 아프가니스탄 대사관측에 요청해 한국민에 대한 비자 발급을 전면 중단시키는 한편, 아프가니스탄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의 철수를 강력히 권유했다. 반면 로이터, AP, AFP 등 외신들은 물론 NHK를 비롯해 아사히신문, 마이니치신문, 요미우리신문 등 일본 언론들은 오히려 생생한 현지발(發) 기사들을 쏟아내 우리를 놀라게 했다.
일본 특파원들이 카불에 들어간 것은 사건이 터진 며칠 뒤다. 주로 파키스탄과 인도 주재 특파원들이 현지로 달려갔다. 일본은 위험지역이라 해도 ‘취재보도’가 목적이고 본인과 소속사가 책임진다는 전제만 있으면 정부가 취재기자의 해당지역 입국을 가로막는 일은 없다.
8월13일 현재 아프간에 들어가 있는 일본 언론은 공영방송 NHK와 아사히신문, 요미우리신문, 마이니치신문, 교도통신 등 5개사. 나머지 언론사는 이슬라마바드, 뉴델리 등에서 관련기사를 송고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과 교도통신은 한때 카불에 일본인 특파원을 두 명이나 두기도 했다.
이들의 취재 방식은 앞서 소개한 아사히신문과 유사하다. 언어의 장벽은 현지에서 고용한 통신원과 취재보조원을 통해 뛰어넘는다. 평소 정비해놓은 취재망이기 때문에 즉각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오노 히로히토 아사히신문 외보 에디터는 “이웃나라인 한국이 관련된 사건이니 당연히 큰 관심을 갖고 취재하고 있다. 게다가 한국 기자들이 현지에 못 들어가고 있다니 더욱 사명감을 갖고 일한다”고 했다. 이웃국가 언론으로서 일종의 동료의식이 작동한다는 설명이다. 다만 그는 “현지에 가면 훨씬 나은 취재환경을 누릴 수 있는데, 한국 정부가 취재를 막는 것은 매우 이상한 일”이라는 지적을 빠뜨리지 않았다. 한국 언론은 그 뒤로도 각기 외국 아프가니스탄 대사관을 통해 카불 입성의 길을 모색했지만 비자 발급 단계에서 모두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