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호남 참패’ 파열음… 合黨이냐 自强이냐

위기의 국민의당·안철수 생존법

  • 배수강 기자|bsk@donga.com

‘호남 참패’ 파열음… 合黨이냐 自强이냐

1/3
  • ● 바른정당-한국당 통합하면 ‘양당체제’…“우리가 나서야”
  • ● 햇볕정책 계승黨 vs 사드 추가 구입黨…“결합 되겠나”
  • ● 지방선거는 ‘안철수 생존’ 시험대…“차별화 보여줘야”
  • ● 정치개혁 목소리 내면서 여야 공조·비판 ‘오묘한 줄타기’
‘우리 당 국회의원과 원외 지역위원장들의 단체 대화방에서 대선 패배 원인과 당의 미래를 놓고 ‘합당파’와 ‘자강파’가 강하게 부딪치고 있다. 상당수 의원·지역위원장들은 암중모색하면서 토론 과정을 지켜보고 있다.” 

5월 14일 ‘신동아’와 만난 국민의당 핵심 관계자는 “대선 패배 후유증은 파열음을 낳기 마련이다. 어디로 튈지는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을 거 같다”며 너털웃음을 지었다. 그의 말처럼, 대선 패배. 그것도 ‘믿었던’ 호남에서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참패하면서 국민의당은 격랑 속으로 빠져들었다. 중진 의원들도 “바른정당과의 통합도 검토해야 한다”(주승용), “지금은 자강할 때”(박지원)라며 처방이 엇갈린다. ‘선장’ 없는 국민의당은 짙은 바다안개 속을 지난다.



  1. "합당해야 ..."

국민의당 안팎에서는 민주당 복귀를 타진하는 의원들이 있다거나, 새 정부로부터 입각 제의를 받은 의원이 있다는 얘기가 나돈다. 그만큼 위기의식이 크다. 특히 이번 대선에서 ‘호남 참패’는 뼈아프다. 내년 전국동시지방선거마저 참패할 경우 당 존립이 흔들릴 가능성이 크다. 합당론이 고개를 드는 이유다.
정치권에선 이낙연 전남도지사를 새 정부 초대 국무총리 후보로 내세운 것도 호남을 기반으로 하는 국민의당 흔들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바른정당 대선 후보 유승민 의원의 경제부총리설이 거론되는 것도 연대를 위한 사전 포석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민주당 싫어 탈당했는데…”



그러나 국민의당 의원 상당수는 민주당과의 합당설에 대해 부정적이다. “민주당이 싫어서 나왔는데, 그건 번지수가 틀렸다. 입각 제의를 수락하려면 개인적으로 탈당하고 민주당으로 가면 된다”는 반응이다. 외연 확장을 명분으로 바른정당과의 연대·합당론이 불거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주승용 국민의당 의원은 5월 12일 “바른정당과의 통합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안철수 전 대표도 공감하는 부분”이라고 했다. 호남을 놓고 자웅을 겨루는 민주당보다는, 대선 과정에서 물밑 연대를 논의했던 바른정당과의 통합이 낫다는 것.

실제 주 의원과 주호영 바른정당 의원은 5월 12일 각각 대표 권한대행으로 만나 양당 통합을 논의했다. 합당이 성사되면 두 당은 각각 민주당과 한국당으로의 흡수통합 우려에서 벗어날 수 있고, 명실공히 국회 3당 체제를 갖출 수 있다는 기대가 크다.

5월 현재 국회 의석수는 △민주당 120석 △자유한국당 107석 △국민의당 40석 △바른정당 20석 △정의당 6석 △새누리당 1석 △무소속 5석. 따라서 과반 의석수(150석)에 30석 모자란 여당과 제1야당 사이에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깔려 있다. 통합 협상은 지도부 교체 과정인 두 당에서 혹시라도 있을 ‘이탈자’를 막기 위한 내부 결집 효과도 크다. 국민의당 핵심 관계자는 합당 필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현실적으로 40석 가지고 뭔가를 할 방법이 없다. 한국당 대선후보를 지낸 홍준표 전 경남도지사는 ‘바른정당 분들이 좀 더 돌아왔으면 한다. 귀국하면 신 보수주의 이념을 중심으로 당을 새롭게 하겠다’고 외치는 마당에 만약 국민의당이 ‘닭 쫓던 개’가 되고 한국당이 바른정당과 합당하면 127석의 원내 제1당이 된다. 그렇게 되면 국회의장 자리도 가져가고, 국회는 다시 자유한국당과 민주당 양당 체제로 운영될 공산이 크다. 그럼 국민의당 존재감은 사라진다. 주승용 의원 등 합당파도 곧바로 합당하자는 게 아니라 정책연대도 하면서 ‘성격’을 맞춰보고 어느 시점이 되면 합당하자는 얘기다. 현실적이다.”



 2. "자강해야..."

박지원 전 대표는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지금은 자강할 때로 국회에서 연합과 연대는 필요하더라도 통합은 아니다”라며 자강론에 힘을 실었다. 당의 핵심 인사들도 “대선 전 바른정당과 연대, 연합 주장이 나왔는데 대선이 끝나고 상황이 바뀌었다(유성엽)” “우리 당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깃발을 높이 들어야 한다(손학규)”며 합당론에 대해 선을 그었다.

자강론의 바탕에는 “대선에서는 졌지만 전국에서 고른 득표를 했고, 3당으로 입지도 굳혔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깔려 있다. 전국적 지지층을 확인한 만큼 호남을 중심으로 신진 정치 세력과 조직을 만들어 내년 지방선거에 대비하자는 것이다.


“전국 고른 지지 받았는데…”

영남지역 한 원외 지역위원장은 ‘신동아’와의 전화통화에서 “현재 정당 의석수대로라면 안철수 전 후보는 득표율 13.33%(전체 300석 중 40석)를 받아야 하는데 이번에 21.41%를 받았다. 기본 지지층을 확인한 만큼 흔들릴 필요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합당을 하려면 의원뿐 아니라 원외 지역위원장들의 의견을 수렴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굉장히 어렵다”고 부연했다.

자강파 사이에는 호남을 기반으로 한 정당이 보수정당과 합당하면 자칫 역풍이 불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햇볕정책을 계승하는 당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추가 구입을 공언하는 보수정당 간 화학적 결합이 불가능하다는 주장이다. 국민의당 초선 의원의 설명은 이렇다.

“합당파는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와 ‘경제는 진보, 안보는 보수’라는 철학이 비슷하고 중도 지지층도 겹친다고 주장하지만, 내가 볼 땐 ‘아니올시다’다. 햇볕정책을 계승한다는 호남 의원들이 우리 당 ‘주력’인데, 이들이 남북 정상회담에 대해 ‘지금은 제재 국면’이라는 보수정당과 화학적 결합이 가능하겠나. 대선에서 안 전 대표에게 표를 준 700만 명(안 전 대표는 699만8342표를 받았다. 득표율 21.41%)에게 어떻게 설명할 건가. 보수정당과 통합하면 자칫하다가는 당 근거지인 호남에서 역풍이 불 수도 있다.”



 3. “初心으로 돌아가야…”

안철수 전 대표는 5월 14일 자신의 싱크탱크였던 ‘전문가광장’ 관계자들과 저녁식사를 하는 자리에서 “5년 뒤 제대로 시대정신을 구현하는 사람으로 인정받고 결선투표 없이도 50% 이상 지지받을 수 있도록 혼신의 힘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대선 ‘호남 참패’(광주 문재인 61.14% vs 안철수 30.08%, 전남 59.87% vs 30.68%, 전북 64.84% vs 23.76%)에 대해선 “홍준표 전 후보가 당선될까봐 문재인 대통령을 찍었다는 분들이 있었다”며 ‘전략 투표’ 결과로 해석하며 사실상 20대 대선 재도전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안 전 대표의 ‘대권 재수의 길’은 만만치 않아 보인다. 당장 1년 앞으로 다가온 내년 지방선거는 안철수의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가늠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중적 인지도를 바탕으로 선거를 진두지휘하거나, 자신이 직접 뛰어들어 만족할 만한 성적을 내야 한다. 특히 수도권과 호남에서 광역단체장을 배출하고 기초·광역의원을 대거 당선시키면 ‘차기 대선 풀뿌리 조직’도 갖추게 된다. 그러나 ‘두 번째 심판’에서도 민주당에 패한다면, 차기를 장담하기 어려운 처지가 될 공산이 크다.

따라서 안 전 후보로서는 향후 1년간 ‘새정치’와 정치개혁을 외치던 초심으로 돌아가 다른 당과 차별화를 꾀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당과 각을 세우면서 강력한 캐스팅보터로서 역할을 할지, 정책적 협의를 하거나 사실상 연정체제를 꾸려 실리를 찾을지 등 관계 설정도 고민해야 한다. 국민의당 의원은 ‘초심(初心)’을 강조한다.

다시 ‘새정치’와 개혁

“이번 대선은 ‘미래’보다는 ‘적폐 청산’이 유권자에게 더 강렬하게 다가갔고, 우리의 역량도 많이 부족했다. 그런데 지역에서 인사하다 보면 ‘내년 지방선거는 국민의당에 표를 주겠다’는 분이 많은 만큼, 이제는 ‘새정치’라는 뚝심으로 3당 체제를 만들 때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 정치개혁에 나서면서도 여야와의 정책 공조와 협력, 때로는 야당으로서 선명성을 보여줘야 한다. ‘오묘한 줄타기’도 해야 한다. 그래야 안철수도, 당도 살 수 있다."




1/3
배수강 기자|bsk@donga.com
목록 닫기

‘호남 참패’ 파열음… 合黨이냐 自强이냐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