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계종 ‘전계대화상’ ‘원로의원’
- 불교TV 136억 원 부채 해결…총 300억 사옥 마련도
- “풀숲에 가려진 작은 바위처럼 살고 싶었다”
- 부모 영혼 맑아야 좋은 인연의 자식 얻어
- 經은 진리 안내 지도, 禪은 그 길을 걷는 수행
인터뷰 요청에 스님은 “별거 아닌 이야기로 ‘신동아’의 권위를 망가뜨릴까 걱정된다”며 완곡하게 사양했다. 몇 번 간청한 끝에 우격다짐하듯 불교TV 회장실에서 만날 수 있었다.
스님은 직원들이 출근한 후인 9시 20분쯤 출근한다. 직원과 같은 엘리베이터를 타도 할아버지 같은 미소만 지을 뿐 먼저 말을 거는 일이 드물다. 그렇다고 사람을 기피하는 성격은 아니다. 아무래도 회장이란 지위는 직원들에게 어렵고 불편한 존재다. 직원들이 불편하지 않게 하려는 스님의 배려다. 길을 걸을 때도 행여 작은 미물이 밟히지 않을까 조심스레 걷는 수도승의 마음이 이런 것이리라.
부채 136억 원
1995년 케이블TV방송으로 개국한 불교TV는 경영 부실 등으로 5년 만인 2000년, 빚이 136억 원에 달했고 임차료를 내지 못해 쫓겨날 상황이었다. 150명이던 직원도 대부분 나가고 30여 명만 남았다. 그해 말에 문을 닫을 것이란 소문이 파다했다.▼어떤 연유로 난파선 같던 불교TV를 맡으신 건가요.
“경상도 말로 ‘우짜다’ 그렇게 됐어요(웃음). 당시 불교TV에서 태교 강의를 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담당 PD가 ‘이제 더는 못 찍게 됐다’는 거예요. ‘왜 그러냐’고 했더니 방송국이 문을 닫게 됐다고 하더군요. 안타까운 일이라고 생각하며 제가 주지로 있는 대구 파계사에 돌아갔는데, 아는 분에게서 전화가 왔어요. 자기가 땅이 있는데 그 땅을 팔아 30억 원을 불교TV에 보시하고 싶다고요. 그래서 불교TV 부사장과 함께, 당시 사장도 없었어요, 인천에 있는 그분을 만나러 갔어요. 그리고 돌아오는데 문득 안양에 있는 한마음선원이 떠올랐어요. 부사장과 함께 무작정 찾아갔죠.”
▼한마음선원 주지이던 혜원 스님과는 친분이 있었나요.
“전혀 모르는 사이였죠. 사실, 비구가 비구니에게, 그것도 처음 보는 비구니 스님에게 부탁한다는 게 제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는 일이에요. 하지만 불교TV가 없어지면 안 된다는 생각에 용기를 냈죠. 혜원 스님에게 불교TV는 꼭 있어야 한다, 과학의 힘을 빌려 부처님 말씀을 세상에 전해야 한다고 10분 정도 설명을 드렸어요. 그러자 스님께서 흔쾌히 5억 원을 보시하겠다고 하는 거예요. 처음엔 귀를 의심했죠. 500만 원, 5000만 원도 아니고 5억 원은 상상도 못 했거든요.”
처음엔 단순히 ‘도와야 한다’는 마음으로 탁발(托鉢)을 한 게 점점 더 깊이 관여하게 됐다고 한다. 부사장을 비롯한 임원들의 간청을 뿌리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해서 사규에도 없는 회장이란 감투를 쓰게 됐고, 2만 명이 넘는 주주들도 스님을 믿고 주주총회에서 80% 감자(減資)를 의결하며 고통을 분담하기로 했다.
집집마다 법당을
▼주주들이 80% 감자에 쉽게 동의하던가요.“회사가 망해 소유 주식이 휴지 조각이 되는 것보다는 나으니까요. 실제 일각에선 불교TV를 폐업한 후 다시 만들자는 이야기도 나왔어요. 그러면 부채 136억 원을 안 갚아도 되니까요. 하지만 그럴 수는 없죠. 인과가 있는 거니까 갚을 것은 다 갚고, 불교TV에 투자한 주주들의 불심도 보호해야 한다고 제가 못을 박았죠.”
▼회사를 맡으실 때 구체적인 경영 청사진이 있었나요.
“그런 거 없었어요. 전 돈도 없고, 경영이 뭔지도 몰라요. 대차대조표를 볼 줄도 모르고, 방송에 대해선 더더욱 몰라요. 하지만 좌고우면할 일이 아니고 앞만 봐야 한다고 믿었어요. 원력(願力·부처에게 빌어 원을 이루려는 의지)으로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했죠. 제가 생각한 건 하나였어요. 사람들 마음을 모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 전국 사찰을 돌아다니며 법회를 열고 원불(願佛) 모시는 일을 시작했죠.”
▼경영하시며 어려웠던 점은.
“당시만 해도 스님들이 방송을 이해하지 못했어요. 언론에 오르내리고 방송에 나가는 것을 ‘상을 낸다’고 해서 터부시했어요. 법정 스님도 법문 모습을 촬영하려니까 ‘카메라 나가라’고 소리치셨죠. PD가 그래서 못 찍고 돌아왔다고 하기에 제가 ‘스님이 법회하다 말고 카메라 뺏으러 뛰어 내려오지는 않을 것 아니냐. 끝까지 찍어라’고 다시 보냈어요. 그렇게 해서 법정 스님 법문을 28시간 녹화해 방영했는데, 그게 불교TV에 큰 도움이 됐죠. 해인사 주지스님에게도 그랬어요. 해인사 불사에 신도가 가장 많이 모여도 2000~3000명입니다. 하지만 스님의 법문을 방송으로 내보내면 최소 50만 명에서 100만 명이 봅니다. 집집마다 법당을 만드는 것이라고 설득했죠.”
불교의 리더십
▼직원들이 잘 따르던가요.“처음엔 못미더워했죠. 한 몇 달 있다 나갈 거라고 생각했을 거예요. 제가 회사 수입과 지출 내역을 매달 사원들에게 공개했어요. 그리고 월급 한 푼 안 받고, 법인카드도 안 썼어요. 운전기사가 휴가를 가 택시를 탈 때만 썼죠. 2년을 그렇게 하니까 노조에서 먼저 경영진을 믿으니까 그만 공개하라고 하더군요. 윗물이 맑으면 아래는 저절로 맑아져요.”
▼방송은 광고가 중요한데, 그러려면 스님께서 직접 영업도 뛰어야 하잖아요.
“방송을 만들고, 광고를 수주하는 일은 다 담당자들이 있으니 그들을 믿고 맡겨야죠. 믿고 맡기면 그걸로 끝이에요. 사람을 못 믿으면 부모형제도 못 믿게 되고, 모든 게 불안할 수밖에 없어요. 아무것도 안 돼요. 제가 직원을 믿으니 직원들도 저를 믿게 되고, 그러니까 함께 불교TV를 살리기 위해 힘을 합하게 되더라고요.”
▼경영이 믿음만으로 되는 건 아닐 텐데.
“그게 세상과 절간의 차이에요. 속세는 돈을 벌 계획을 잘 세우는 게 경영리더십이라지만 불교는 완전히 달라요. 절은 믿음이 형성되면 저절로 돈이 들어오게 돼 있어요. 그 절의 스님이 수행이 깨끗하고 신행이 바르면 저절로 신도가 늘어나요.”
▼불교TV 발전을 위한 앞으로 구상이 있다면.
“그런 것 없어요. 그저 부처님 말씀만 따라 하면 돼요. 부처님 말씀을 충실히 따르면 현실에 다 적응이 돼요. 시청률? 그런 건 신경 안 써요. 우리가 잘 만들면 많은 사람이 보고, 시원찮게 만들면 불자도 안 보는 법이니까요.”
文人 스님
성우 스님은 고송 스님을 은사로 출가해 1963년 파계사에서 사미계, 1967년 해인사에서 구족계를 수지했다. 범어사 불교전문강원을 졸업하고 해인총림 율원을 수료, 조계종의 대표적 학승으로 손꼽힌다. 파계사 주지, 홍콩 홍법원 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동화사 율주로 있다. 조계종 전계대화상이자 원로의원으로 종단의 큰 어른이기도 하다. 문학에도 조예가 깊어 월간문학 신인상과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됐으며 여러 권의 시집과 ‘다와 선’ 등 불교 저서를 펴냈다. 정운시조문학상과 다촌문학상을 수상했다.스님에게 불가에 귀의하게 된 계기를 묻자 “정말 오랜만에 듣는 질문”이라며 웃었다. 사실, 스님에게 출가 전 이야기를 묻는 것은 예가 아니다.
“1963년,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귀의했죠. 절에 온 이유는 한 세상을 태어나지 않은 듯 살고 싶었어요. 풀숲에 가려진 작은 바위처럼 살고 싶었어요. 그런 방법으로 절에 사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든 거죠.”
▼전부터 절에 다니셨나요.
“그렇지 않아요. 참 이상한 게, 어느 날인가부터 꿈에 스님이 나타났어요. 제가 활발한 성격인데, 그런 날은 하루 종일 마음이 시무룩해져요. 교실에 앉아 있어도 선생님 말씀이 귀에 들어오지 않고 멀리 창밖만 멍하니 보게 되고…. 그런데 처음엔 스님이 멀리 지나가듯 보였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가까워지는 거예요. 졸업할 때쯤 되니까 스님 얼굴이 보일 정도로 가까워졌어요. 귀의 전 불교와의 인연은 그게 다예요.”
▼출가하겠다고 했을 때 부모님 반응은.
“어느 부모님이 자식이 출가하겠다는데 ‘그래라’ 하겠어요. 당연히 말 안 하고 몰래 도망 나왔죠. 당시만 해도 출가한 사람 대부분이 그랬어요. 지금은 부모에게 허락을 받았는지 확인해서 허락을 못 받았으면 돌려보내요.”
고뇌의 시간
“먹고살기 힘든 시절이라 찾아다닐 엄두를 못 냈겠죠. 저 말고도 먹여 살려야 할 자식이 많았고, 경남 밀양읍에서도 40리는 떨어진 산내면의 작은 마을에 살았으니 찾을 엄두를 못 냈을 거예요. 출가한 지 한참 후에 어머니가 찾아오셨어요. 승려 생활을 못 하게 하려고 온 건 아니고 동생이 결혼하는데 알고는 있으라며 알리러 온 것이었죠.”
▼어머니는 어떤 분이셨나요.
“어머니는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르시는 분이었어요. 하지만 마음이 맑은 분이었죠. 출가 전 일인데, 하루는 형수와 누나가 아침을 하다가 다퉜어요. 그러니까 어머니가 둘을 방으로 불러 앉아 있으라고 하시고는 당신이 부엌에 들어가 밥을 지으시는 거예요. 제가 ‘왜 어머니가 밥을 짓느냐’고 물으니까 ‘화내는 마음으로 밥을 지으면 그 밥을 먹는 사람이 일할 때 제대로 일할 수 있겠느냐’고 하시는 거예요. 출가한 저를 찾아오셨을 때도 곧바로 저를 찾지를 않으셨어요. 당신 혼자 경내를 다 밟아보며 도량의 기운을 느껴봤다고 하시더군요. 중간에 저를 보시고서도 부르지 않고 제가 일을 마치고 올 때까지 제 방에서 기다리셨더라고요. 그렇게 생각이 깊고 마음이 맑은 분이셨어요.”
▼출가를 후회한 적은 없나요.
“솔직히 처음엔 번민이 많았죠. 한번은 아프다는 핑계를 대고 공양 가는 것도 빠지고 일주일 넘게 울기만 했어요. 막연하게 이건 아니다 싶으면서도 다른 대안이 있는 것도 아니고…. 한 열흘 정도 그런 고뇌의 시간을 보내고 나니까 마음이 평온해지더군요. 그 후로는 그런 생각을 한 번도 한 적이 없어요.”
▼그러면서 깨달음을 얻은 건가요.
“그 나이에 무슨 깨달음을 얻었겠어요. 단지 ‘아, 불경 공부를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공부를 시작했죠.”
학승과 선승
▼학승의 길에 들어선 건가요.“처음 절에 들어가면 3년 동안 경전을 공부해요. 저는 통도사에서 시작해 1967년 범어사에서 졸업을 했죠. 그리고 해인사로 갔어요. 막연하게 일타 스님이 계율의 대가라는 이야기를 듣고 거기서 공부하자 해서 찾아간 거죠. 성철 스님도 거기 계셨고요. 때마침 해인사에서 총림을 만들었어요. 총림이 구성되려면 ‘강원’ ‘선원’ ‘율원’ ‘염불원’이 있어야 하는데, 율원이 없던 차에 저를 포함해 4명이 율장을 공부하겠다며 왔으니 흔쾌히 받아주었죠. 그런데 공부할 책이 없다고 하니까, 율사인 자운 스님이 해인사 대적광전에서 3000배를 올린 후 성철 스님에게 책을 빌리라고 하더군요. 당신이 성철 스님에게 말을 해놓겠다고 하면서. 4명이 모두 3000배를 하고 성철 스님에게 갔더니 책을 빌려주시더군요.”
▼성철 스님이 책을 많이 소장하고 계셨나봅니다.
“성철 스님은 백련암에 서고를 만들어 5000권 이상 보관하고 계셨어요. 대부분이 진귀본이었죠. 저희에게 속장경(續藏經)을 빌려주셨는데, 당시 우리나라에 2권밖에 없는 책이었어요. 한 권은 국립도서관에 있고 나머지 한 권을 성철 스님이 갖고 계신 거죠. 그걸 하루 종일 사경(寫經·불교경전을 베껴 쓰는 일)하며 공부했죠. 모르는 글자가 있으면 옥편을 찾아보고, 뜻을 모르면 일타 스님에게 여쭈어보면서 2년간 계율만 공부했어요.”
▼계율을 공부한 뒤에는 뭘 하셨나요.
“율원을 마치고 선방 생활을 시작했어요. 어느 정도 배움이 닦이면 선(禪)으로 가게 돼 있어요. 경(經)이 진리의 길을 안내하는 지도라면, 선은 그 길을 직접 걷는 수행이죠. 길을 아는 것과 직접 가는 것은 다른 것이니까요.”
당시 스님이 도를 깨치기 위해 얼마나 치열하게 정진했는지 스님의 손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스님은 왼쪽 검지손가락을 연지(燃指)공양한 것으로 유명하다. 연유를 물었지만 “한창 젊었을 때 철없을 때 한 일”이라며 염화미소만 지었다.
‘밥 먹으러 가자’
스님은 천생 학승의 길을 걸어야 할 운명이었던 모양이다. 1979년 최초의 불교전문교육기관인 중앙승가대학을 만든 것.“당시 불교계가 젊은 스님들의 지적 욕구를 충족시킬 여건이 안 되어 있었어요. 큰 절에 강원이 있지만 그걸 졸업하면 더 이상 배울 기회가 없어요. 동국대에 불교학과가 있긴 하지만 돈이 없는 스님, 학력이 안 되는 스님에겐 그림의 떡일 뿐이었죠. 그래서 강원을 마친 스님들이 좀 더 공부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자고 몇몇 스님이 의기투합해 학원을 열었죠. 장소를 내주는 절이 없어 헐리기 직전의 비구니 사찰을 빌려 시작했죠.”
학원으로 등록해 시작한 중앙승가대학은 젊은 스님들끼리 꾸려가기엔 너무 벅찼다.
“당시 조계종 총무원장이 성수 스님이었어요. 범어사에 있으면서 인연을 맺어 잘 아는 사이였는데, 어느 날 같이 점심을 먹자고 해요. 그래서 찾아가 ‘내 원을 들어주면 같이 점심을 먹고 아니면 점심을 먹을 필요도 없다’고 어깃장을 놓았죠. 스님께서 ‘뭔데’ 그러시기에 사정을 말씀드리고 중앙승가대학을 조계종에서 맡아달라고 했어요. 그러자 웃으시며 ‘밥 먹으러 가자’고 하시더군요(웃음).”
▼다른 스님들은 관심도 없는 일에 왜 그렇게까지 한 건가요.
“사명감이죠. 전 이건 꼭 해야 한다고 하면 하는 소신이 있거든요. 공부하려는 젊은 스님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불교가 발전하니까요.”
중앙승가대학은 지금 대학교육기관이 되었을 뿐 아니라 석·박사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원까지 두고 있다. 동국대 불교학과보다 더 많은 스님을 배출해 조계종을 이끌고 있다.
業報所生 願力所生
▼결혼하지 않은 스님과 태교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저도 그런 제가 어이없어 웃을 때가 있어요. 비구가 웬 태교냐고. 어느 날 대만의 서점에 갔는데, 책 한 권이 눈에 들어왔어요. ‘태교와 위생학’이란 책인데, ‘태교’란 글자를 보는 순간 온몸이 감전된 듯 찌릿한 전율이 느껴졌어요. 지금부터 내가 할 것은 저거다, 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 세상에 제일 중요한 게 사람이 태어나는 일이잖아요.”
▼연구하는 게 쉽지는 않았을 것 같네요.
“태교라는 화두는 잡았는데, 아무리 정진을 해도 해답이 안 나왔어요. 대만에 있는 태교에 관한 책과 방송을 다 보고 일본까지 가서 태교에 관한 것을 공부했지만 마음이 시원하지가 않았어요. 세상 지식이 옳고 그름을 떠나 마음에 차지 않은 거죠. 그러던 어느 날 새벽예불을 하고 좌선을 하는데, ‘아, 이거다’ 싶은 게 떠올랐어요. 윤회업보를 바탕으로 태교를 보니까 확 풀리는 거예요.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죠.”
▼스님의 태교학을 요약한다면.
“태교라는 게 IQ와 EQ가 높은 아이가 태어나게 하는 일이잖아요. 사람이 태어나는 것은 두 가지가 있어요. 하나는 자기 업으로 태어나는 것이고(업보소생), 또 하나는 다른 사람의 원(願)으로 태어나는 것이죠(원력소생). 자식은 자신 업의 힘으로 부모를 선택해요. 업은 서로 당기는 힘이 있거든요. 그렇게 맺어지는 부모와 자식의 연은 크게 4가지가 있어요. 전생에 서로 은혜로운 인연으로 태어난 경우, 빚을 갚기 위해 자식으로 태어난 경우, 반대로 빚을 받기 위해 태어난 경우, 마지막으로 전생의 악연으로 태어난 경우죠. 따라서 임신 후에 하는 태교는 늦어요. 업으로 태어난 아이는 이미 전생의 업이 정해져 있거든요.”
맑은 마음
▼부모가 원력소생으로 좋은 인연의 자녀를 얻게끔 해야 한다는 말씀인가요.“내 영혼이 맑으면 과거 인연에서 맑은 영혼이 자식으로 오게 되어 있어요. 맑은 마음을 갖게 하는 게 명상이에요. 그렇게 하면 불교로 말하면 업이 적은 사람이 많이 태어나는 것이고, 그게 범죄가 적은 좋은 사회를 만드는 것이죠.”
▼임신 중 태교도 필요하지 않나요.
“중요하지요. 부모의 맑은 마음이 아이의 마음을 맑게 하니까요. 산모가 물을 한 잔 마시면 5분 정도 지나서 태아에게 전달돼요. 마찬가지로 산모가 먹은 마음도 태아에게 즉시 전달돼요. 그러니 좋은 것을 먹고 좋은 생각을 해야 태아도 건강하고 좋은 마음을 갖게 되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