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만 명 일본에 취업…매년 10% 증가
한국 청년실업과 일본 구인난 맞아떨어져
“연봉·승진 차별 없고 사생활 존중”
일본 도쿄 시부야 전경 [동아DB]
9월 19일 한 취업 컨설팅 회사가 서울 마포구 서강대에서 개최한 일본 기업 취업설명회는 대학생들로 북적였다. 한국 대학생들은 물론이고 한국 내 일본·중국 출신 유학생들도 자리를 채웠다. 일본 기업 관계자들과 어엿한 일본 기업 사원이 된 한국 젊은이들이 취업준비생들에게 회사 소개 팸플릿을 건네면서 취업 성공담을 들려줬다.
“문송” “공송”
조모(여·23·고려대 일어일문학과 4학년) 씨는 “학과 홈페이지에 일본 기업들의 채용 공고가 여럿 올라와서 살펴보는 중”이라면서 “관련 취업설명회들을 둘러보니 관심이 더 간다”고 말했다. 이모(26·숭실대 전자정보공학부 4학년) 씨는 “최근 일본 기업들이 신입사원 확보 경쟁을 벌인다는 소식을 들은 적이 있다”면서 “일본 기업 취업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해볼까 생각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평소 일본 만화를 즐겨 보고 일본어를 익혀왔다고 했다.일본에서 일자리를 찾는 한국인 수는 2016년 이후 급증했다. 2017년 한국산업인력공단을 통한 해외 취업자는 5118명이었는데 나라별로는 일본 취업자가 1427명(28%)으로 가장 많았다. 이를 포함해 지난해 일본 기업에서 일자리를 찾은 한국인이 2만 명을 넘었다. 최근 수년간 매년 10%대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들 중 상당수는 젊은이다.
한국인의 일본 취업 열풍은 한국의 구직난과 일본의 구인난이 맞아떨어진 결과다. 한국은 청년실업난이 점점 심해지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국내 신규 대졸자의 체감실업률은 인문사회계가 40.2%에 달한다. 취업이 비교적 잘되던 공대마저 40.1%로 높았다. ‘문송(문과라서 죄송합니다)’이라는 자조적인 말에 이어 ‘공송(공대라서 죄송합니다)’ 말도 나온다.
반면 일본 기업들은 호황 속에 10년 가까이 채용을 늘리고 있다. 일본은 지난해 고령자 비중이 27.7%에 달해 유엔 기준으로 초고령사회가 됐다. 일본 젊은이들은 고된 일이나 해외 근무는 물론 승진조차 기피하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일손 부족이 심화됐다고 한다. 한 일본 재계 관계자는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일손을 구하지 못해 도산하는 기업까지 생겨나고 있다”고 말했다.
“더 고르지 말고 빨리 오라”
9월 서울 안암로 고려대에서 열린 일본 기업 채용 상담회. [마이나비코리아 제공]
일본의 구인난은 정보기술(IT) 분야와 건설업종에서 특히 심각하다. 2016년 10월 일본 IT기업에서 근무하는 외국인 수는 1년 전에 비해 20% 증가한 4만4000여 명에 달하며 2030년이면 외국인 80만 명을 채용해야 할 상황이다. 건설의 경우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전역에서 공사가 벌어지고 있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내진 보강 공사와 임시주택 건설도 활발하다. 일본 정부는 건설, 의료 등 5개 분야에서 2025년까지 단순 노동자를 포함해 50만 명의 외국인 노동자를 받아들이겠다는 계획이다.
“일본 직장에서 잘 적응하면서 살 수 있을까?” “의사소통이 잘될까?” 일본 기업 취업 설명회장에서 만난 한국 대학생들이 가장 걱정하는 대목이다. 해외 생활에 대한 불안감을 떨쳐내기 쉽지 않다. 이모(26·서울대 전기공학부 석사 2학년) 씨는 “일본 기업에 취업한다는 것은 일본에 오래 산다는 의미인데 해외 생활이 힘들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스펙 대신 자기 분석 중시”
9월 서울 백범로 서강대에서 열린 일본 기업 취업 설명회.
취업정보회사 마이나비코리아의 김보경 대표는 “한국 대기업은 지원자에게 10개가 넘는 스펙을 요구하지만 일본 기업은 그렇게 까다롭지 않다. 일본 대기업도 3~4개 스펙만 준비하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일본 기업들은 스펙 대신 무엇을 중시하나?
“마이나비의 2016년 조사(복수응답) 결과 일본 기업이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은 지원 동기(92%), 지원자의 주체성(79%), 기업문화와의 조화(76%), 유연한 사고방식(61%) 순이었다. 자격증(6%)이나 전문지식(0.4%)은 그리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다. 일본에선 자기 분석을 중시한다. 자기 분석이란 이력서에 써넣은 활동의 동기가 무엇인지, 목표와 추진 계획을 잘 세웠는지, 어떤 변화를 얻었는지 스스로 따져보는 것이다. 지원자는 면접 때 그것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 일본 기업에 지원할 때 특별히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
“일본은 주로 상반기에 채용한다. 기회를 놓치면 1년을 기다려야 한다. 일본은 지원자의 나이와 학부, 대학원 학업 기간을 견줘보기 때문에 적정한 시기를 놓치면 취업이 점점 어려워질 수 있다.”
“일본회사에서 느끼는 워라밸”
- 그러면 대학 졸업 전에 입사를 확정지어야 하는가?“일본 대학생들은 졸업 전에 입사가 내정되는 게 보통이다. 일본 기업들은 대학을 갓 졸업한 지원자를 선호한다. 군 복무, 유학 같은 특별한 이유가 아니면 휴학 없이 대학을 나온 학생을 성실한 사람으로 여기는 편이다. 일부 한국 학생들이 일본 기업 취업 준비를 위해 휴학을 하는데 이는 잘못된 선택이다. 미리미리 준비하라고 권하고 싶다.”
- 일본 기업 연봉은 한국 대기업 연봉보다 적은가?
“일본 기업은 채용 정보에 급여를 적어 넣는다. 그래서 한국 대기업에 비해 연봉이 낮아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일본 대기업은 상여금으로 7~10개월치 급여를 지급하므로 연봉 기준으로 한국 기업보다 적지 않다.”
한국무역협회 조사에서, 일본 회사에 취업한 한국인의 85%는 “주변에 일본 취업을 추천하겠다”고 답했다. 일본 회사에서 근무하는 3~6년차 한국인들은 “직장생활에 만족하고 있다. 공과 사가 구별되고 사생활이 존중된다.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일과 생활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이 기사는 연세대 글로벌인재학부 ‘미디어와 현대사회’ 과목 수강생이 홍권희 교수의 지도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