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7월 2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광복 70주년을 맞아 열린 ‘2015평화통일대회’에서 김동길 연세대 명예교수가 대회사를 하고 있다. [뉴스1]
고인의 일생은 파란만장했다. 일제강점기인 1928년 평안남도 맹산군에서 태어난 그는 1945년 교원 자격시험에 통과해 교사 생활을 하다가 이듬해 부모와 함께 월남했다. 서울에 터전을 마련한 고인은 연희대(현 연세대) 영문과를 졸업한 후 미국 인디애나 주 에반스빌대 역사학과에서 석사, 보스턴대에서 링컨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귀국 후 연세대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사회풍자 글을 발표해 이름을 알렸다. 1972년 10월 유신 이후에는 사회운동가 함석헌이 발행하던 ‘씨알의 소리’에 체제를 비판하는 글을 게재했다. 이를 계기로 운동권 학생들의 배후 조종자로 몰려 1974년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 사건 후 기소됐고, 징역 15년을 선고받아 해직됐다. 형집행정지로 풀려난 후 수필과 신문 칼럼을 쓰며 칩거하던 고인은 1984년 정권의 유화 정책으로 대학에 복직했다.
고인은 1991년 학생운동을 하던 중 경찰에 구타당해 숨진 명지대생 강경대 군을 폄하하는 듯한 발언을 해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서양문화사 강의 도중 “그를 열사라 부르지 말라”고 말했는데, 학생들이 교내 대자보를 통해 그를 비판하고 나섰다. 이에 김 교수는 사표를 내고 학교를 떠났다.
이후 고인은 정치권에 발을 담갔다. 1992년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이 창당한 통일국민당에 최고위원으로 합류했다. 그해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 강남구갑에 출마해 당선했다. 정주영 회장이 대선에서 패배하고 물러난 이후인 1994년 박찬종 전 의원과 함께 신민당을 창당했고, 이듬해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창당한 자유민주연합에 합류했다. 그러나 제15대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하자 탈당하며 정계은퇴를 선언했다.
야인으로 돌아온 그는 2000년대부터 보수논객으로 활약했다. 콧수염과 나비넥타이가 트레이드마크인 정치평론가로 방송에 출연했고, ‘이게 뭡니까’라는 유행어를 남기기도 했다. 2008년부터는 자신의 홈페이지에 ‘자유의 파수꾼’이라는 제목으로 10년 동안 매일같이 칼럼을 썼다. 2018년부터는 ‘석양에 홀로 서서’라는 제목 아래 종교와 인생에 관한 글을 썼는데 지난해 12월 “자유는 결코 값없이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라는 글을 마지막으로 건강상의 이유로 글쓰기를 중단했다.
1월 20일 서울 서대문구 자택에서 김동길 연세대 명예교수가 새해 인사차 방문한 안철수 당시 국민의당 대선후보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고인은 결혼하지 않고 평생 독신으로 지냈다. 생전 서약에 따라 유족은 그의 시신을 연세대 의과대학에 기증했다. 세브란스병원 측에 따르면 고인의 시신은 방부처리 이후 해부학 교실에서 교육용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고인이 작고하기 전까지 살던 서울 서대문구 자택은 누나인 김옥길 여사가 총장을 지낸 이화여대에 기부한다. 장례는 고인이 누나를 기리기 위해 자택 마당에 건립한 김옥길기념관에서 가족장으로 치러진다.
정혜연 차장
grape06@donga.com
2007년 동아일보 출판국에 입사. 여성동아, 주간동아, 채널A 국제부 등을 거쳐 2022년부터 신동아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금융, 부동산, 재태크, 유통 분야에 관심이 많습니다. 의미있는 기사를 생산하는 기자가 되기를 꿈꿉니다.
롯데, ESG 경영으로 환경‧사회에 선한 영향력 확대
“‘협치 실종’ 尹, ‘전투 정치’ 野… 현대 정치 심각한 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