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개발 40년 맞는 ‘대한민국 최초 신도시’ 여의도

‘너나 가져라’던 섬… 정치 ·경제 ·주거 1번지, 1960∼70년대생‘파워엘리트’ 산실로

  • 조인직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cij1999@donga.com

개발 40년 맞는 ‘대한민국 최초 신도시’ 여의도

1/6
  • 1967년부터 본격 개발…‘대한민국 개발’의 시발점
  • 서울국제금융센터, 파크원 빌딩 완공되면 ‘국제금융도시’ 변신
  • 지하철 9호선, 한강 쾌속정 시대 열리면 김포 15분, 잠실 10분
  • ‘30층, 40평형 이상’ 대규모 주상복합타운으로 간다
  • 36년 역사 시범아파트, 재건축 사업도 ‘시범’ 보일까?
  • 가회동, 평창동과 함께 서울에서 고령인구 가장 많은 곳
  • 여의도초·중·고 단일학군의 힘
개발 40년 맞는 ‘대한민국 최초 신도시’ 여의도
지난 9월 서울시는 2010년까지 5년간 2533억원을 투입해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 내용의 많은 부분은 여의도 주변 개발에 집중됐다. 한강을 가로질러 잠실까지 10분대에 주파하는 쾌속정과 수륙양용 버스 정류장이 여의도 선착장에 들어선다는 것, 여의도 샛강을 조각배를 타고 둘러볼 수 있는 가족형 생태관광명소로 탈바꿈시킨다는 것 등이 대표적이다.

‘한강의 변신’을 가져온 현대사에는 늘 여의도가 함께했다. 20년 전인 1986년 9월에는 올림픽대로와 강변북로 건설이 완료되면서 여의도 한강시민공원에 유람선 선착장이 생겼다. 40년 전인 1966년 9월에는 여의도 개발을 골자로 하는 한강개발 3개년 계획안이 처음 발표됐다. 이에 따라 1967년 12월부터 지금의 여의도 구획을 마련한 윤중제 사업(제방 쌓기)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여의도 개발이 이뤄졌다.

당시 1인당 국민소득이 지금의 10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150달러 수준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여의도 개발은 단순한 도시 개발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본격적인 한국경제 개발의 시작과 궤를 같이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의도 면적의 몇 배’라는 수식어는 향후 한국에서 개발된 모든 지역의 규모를 가늠하는 ‘척도’로 자리잡았다. 여의도가 한국식 기법을 적용해 성공한 첫 도시개발 사례라는 점이 국가적 자부심으로 승화된 듯한 인상을 준다.

한강변에서 얼마 떨어져 있지 않은 여의도공원 맞은편 공터에는 지난 6월부터 서울국제금융센터빌딩 공사가 벌어지고 있다. 내년초에는 고급 오피스, 호텔과 쇼핑시설을 갖춘 ‘파크원’ 빌딩도 착공된다. 두 빌딩 모두 63빌딩(264m)보다 높게 지어질 예정. 2년 뒤면 강남까지 10분대에 도착하는 급행전철 9호선이 완공된다. 여의도를 한 바퀴 도는 모노레일 설치와 ‘고령’ 아파트의 재건축도 가시권에 들어와 있다.

불혹(不惑)의 나이에 접어든 ‘대한민국 최초의 신도시’ 여의도는 이렇듯 다시 용틀임할 채비를 갖추고 있다. 상업 중심지와 첨단 주거도시라는 두 가지 테마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 ‘영등포구 여의도동’을 뛰어넘는, ‘여의도 특구(特區)’로의 변신은 가능할까.

1/6
조인직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cij1999@donga.com
목록 닫기

개발 40년 맞는 ‘대한민국 최초 신도시’ 여의도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