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호

부자와 미술관

덴마크 예술 황금기와 프랑스 인상파를 만나다

오드럽가드 미술관

  • 입력2017-02-03 10:53:16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남편은 예술품을 수집하고 아내는 정원을 가꿨다.
    • 덴마크 코펜하겐 북쪽 외곽에 있는 오드럽가드 미술관은 재벌이자 컬렉터였던 빌헬름 한센이 저택을 짓고 소장한 미술품을 전시하면서 시작됐다.
    • 한센은 1918년 개관 연설에서 자신의 컬렉션을 국가에 기증하겠다고 선언했고 그 약속을 지켰다.
    미술관을 찾아다니는 일은 즐거움이면서 고행이기도 하다. 도시에 있는 미술관은 쉽게 찾아갈 수 있지만 시골 오지의 미술관은 찾아가는 일부터 결코 만만치 않다. 영어권이 아닌 나라에다 날씨라도 궂으면 수고로움이 더해질 수밖에 없다.  

    오드럽가드 미술관(Ordrupgaard Museum of Art)에 가는 날은 비가 억수같이 퍼부었다.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기차를 탔는데 20여 분 만에 조그마한 시골 도시에 도착했다. 그런데 역무원도 없고 영어 안내판도 없었다. 여기서 다시 버스를 타야 하는데 물어볼 데도 없었다. 비를 맞고 이리저리 허둥대는 우리 모습이 측은했던지 지켜보고 있던 인근 잡화 가게 할아버지가 친절하게 길을 안내해주었다.

    빗속을 뚫고 길을 건너 버스 정류소에서 한참을 기다리니 388번 버스가 왔다. 덴마크는 시골버스도 참 세련되고 예술적으로 디자인되어 있었다. 기사 아저씨도 친절했다. 시골길을 달려 푸른 숲 이외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한 정류소에 우리를 내려주었다.  

    이리저리 두리번거리다 조그맣게 쓰인 미술관 표지판이 눈에 들어왔다. 화살표를 따라 걸어가니 미술관 입구가 나타났다. 건물은 보이지 않고 입구 안쪽도 온통 아름드리나무만 가득했다. 그 속을 뚫고 한참 걸어들어가면 대저택이 눈앞에 우뚝 서 있다. 담쟁이덩굴로 뒤덮인 고성 같은 집이다.

    이 저택이 바로 오드럽가드 미술관이다. 너무 이른 시간이라 아직 문을 열지 않아 먼저 저택 주위 정원을 둘러보았다. 규모로 보나 그 아름다움으로 보나 대부호의 집이 틀림없었다. 작은 왕궁 규모의 저택과 정원이었다. 정원에는 다양한 조각이 배치돼 있었다.



    컬렉터의 꿈, 저택 미술관 

    오드럽가드 미술관은 재벌이면서 유명한 컬렉터였던 빌헬름 한센(Wilhelm Hansen·1868~1936)이 저택을 짓고 미술품을 전시하면서 시작됐다. 돈을 많이 벌면 이것저것 해보고 싶은 것이 많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집 짓는 것과 예술품 수집이다. 한센도 그런 유혹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먼저 예술품을 수집하고, 이를 전시하기 위해 큰 저택을 지었다.

    한센은 부인(Henny Hansen)과 함께 코펜하겐에서 북쪽으로 20여km 떨어진 이곳에 부지를 마련하고 건축가 트베데(Gotfred Tvede·1863~1947)에게 의뢰해 1916년부터 2년에 걸쳐 저택을 완공했다. 그리고 그 지역 명칭을 따서 오드럽가드라고 명명했다.

    또 한센은 전문 정원사(Valdemar Fabricius Hansen·1866~1953)를 고용해 집 주위에 크고 아름다운 정원을 조성했다. 1918년 개관 연설에서 한센은 자기가 수집한 예술품은 모두 국가에 기증하겠다고 선언했다. 오드럽가드는 한센 부부가 함께 만들고 다듬어온 개인 미술관이지만 지금은 국가 미술관이다. 이 미술관은 19세기에서 20세기 초까지의 덴마크 작품과 프랑스 작품을 주요 소장품으로 하고 있다.



    전쟁 중 프랑스 작품 집중적으로 수집

    어느 나라나 새로운 산업이 일어나면 큰 재벌이 생겨난다. 미국은 석유가 나오면서 록펠러 재벌이, 자동차가 나오면서 포드 재벌이 만들어졌다. 한센은 덴마크에 보험업이 들어오면서 재벌이 됐다. 보험회사 두 개를 일구어 덴마크의 대표적 보험회사로 키워낸 한센의 족적은 매우 두드러진다.  

    보험업은 현금 유동성이 가장 높은 사업이다. 보험료는 계속 들어오는데 보험금은 미래에 지불하는 것이기 때문에 돈이 계속 쌓인다. 그래서인지 보험업으로 성공하면 재벌로 등극하고, 다른 사업으로 재벌이 돼도 보험업을 시작한다. 우리나라도 삼성 재벌은 ‘삼성생명보험’과 ‘삼성화재보험’을 가지고 있다.

    한센은 매우 부지런하고 독립적이며 미래를 내다보는 안목을 가진 사업가였다. 이런 성격은 사업뿐만 아니라 미술품 수집에도 안성맞춤이다. 그는 사업가로도 성공했고 컬렉터로도 성공해 훌륭한 컬렉션을 후세에 남기고 있다.

    나중에 화가가 된 어릴 적 친구로 인해 한센은 어렸을 때부터 그림을 좋아했다. 그리고 그 친구의 소개로 많은 화가와 친하게 지내면서 그들의 작품을 수집했다. 처음에는 덴마크 작품에만 관심을 가졌지만 나중에는 프랑스 작품에도 매료됐다. 덴마크 작품은 1892~1916년 사이에 주로 사 모았는데 19세기 초 덴마크 예술의 황금기(Golden Age of Denmark) 작품과 한센 시대 컨템퍼러리 작품들이 주 대상이었다. 부부가 함께 평생 그림을 수집했다.

    한센은 파리 출장을 계기로 인상파 그림을 접하고 매료됐다. 프랑스 작품은 제1차 세계대전 중인 1916년에서 18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수집했다. 덴마크인들에게 프랑스 아방가르드 작품을 소개하는 것이 주목적이었다. 거기에다 전쟁 와중에 좋은 그림들이 헐값에 쏟아져 나왔다. 그는 먼저 시슬리, 피사로, 모네, 르누아르 등 인상파 화가의 작품을 사 모았다. 북유럽에서는 프랑스 미술의 첫 컬렉션이었고 최고의 컬렉션이었다.


    여성의 시선으로 여성을 그린 모리조

    오드럽가드가 소장한 19세기 프랑스 작품 가운데 특히 인상파 작가들의 그림은 한센이 심혈을 기울여 수집한 것들이다. 여성화가 모리조(Berthe Morisot·1841~1895)의 ‘The Red Jacket, Portrait of Mlle Isabelle Lambert’라는 제목이 달린 어린 소녀의 초상화는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작품이다. 이 그림은 1886년 여덟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개최된 인상파전에 출품됐다. 이 무렵은 모리조가 스승 마네의 그늘에서 벗어나 자신의 화풍을 구축한 시기였다. 모리조가 남성 주도적 화단에서 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 충만한 자신감을 과시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언뜻 보기에 르누아르 스타일 같지만 자세히 보면 확연히 구분되는 화풍이다.

    모리조는 프랑스의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그림 교육을 받았고 화가로서도 대성했다. 1864년 처음 파리 살롱에 작품이 전시된 후 1874년까지 6번이나 살롱에 작품이 전시됐다. 살롱은 국가가 주관하는 가장 권위 있는 전시회다. 하지만 인상파에 참여하면서부터는 살롱과 멀어졌다.

    초상화의 모델은 이사벨라 람버트라는 17세 소녀다. 이 시기에 모리조는 이 소녀를 모델로 여러 점의 그림을 그렸다. 모리조는 자신이 여성이기에 남성과는 다른 관점에서 여성을 그린다는 확신이 있었다. 즉 성적 매력을 가진 여성이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의 여성, 즉 여성도 개성이 뚜렷한 인간이라는 점을 부각했다. 이 초상화에서 모리조의 의도는 매우 강렬하게 표현되고 있다. 여자는 새장에 갇힌 새가 아니라 새장 밖에서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의지의 인간임을 표현하기 위해 새장도 그려 넣었다.

    모리조는 마네의 제자 겸 동료였으며 나중에 마네의 동생과 결혼했다. 딸이 하나 있었는데 딸은 엄마는 물론 르누아르, 마네 등 인상파 화가들의 모델이 됐다. 오늘날 모리조는 인상파 여류화가 가운데 최고의 대접을 받고 있다. 2013년 크리스티 경매에서는 모리조의 작품이 120억 원에 팔렸다. 그때까지 여류 화가로서는 최고의 작품 가격이었다.



    아름다운 숲 속 정원과 초현대식 신관

    남편이 아무리 미술 애호가라 해도 부인이 동조하지 않으면 컬렉션은 쉽지 않다. 컬렉션에는 막대한 돈이 들어가는데 부인 몰래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재벌이 아닌 아마추어 컬렉터에게는 더욱 그렇다. 그림을 좋아하는 친구가 부인이 무서워 구매한 그림을 집에 가져가지 못하고 내게 맡겨 놓을 때 나는 오랫동안 못 가져가기를 바란다. 그 그림을 내 것처럼 걸어놓고 감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행히 한센 부인은 그림을 아주 좋아했다. 그 덕분에 오드럽가드가 존재할 수 있었다. 한센은 열아홉 살 때 두 살 아래인 부인 헤니를 극장에서 만나 곧 약혼했다. 두 사람은 4년 후(1891) 결혼해 오드럽가드를 짓고 헤니는 정원 가꾸는 일에 몰두했다. 그 정원이 지금은 울창한 숲이지만 처음에는 장미정원, 채소밭, 과수원, 소풍 장소 등으로 사용됐다. 풀밭과 연못도 조성됐다. 헤니의 손길이 가야 할 수밖에 없었다.

    1936년 한센이 죽자 헤니는 오드럽가드에 혼자 남아 오드럽가드를 가꾸는 일에 더욱 더 정성을 쏟았다. 1951년 부인까지 죽자 소장품, 저택, 정원 등은 한센의 유언대로 모두 덴마크 정부에 기증됐다. 1953년부터 오드럽가드는 국가미술관으로 새 출발했다.

    2005년 오드럽가드는 저택 옆에 새 건물을 준공했다. 세계적 명성을 가진 이란 출신의 영국 건축가 자하 하디드(Zaha Hadid·1950~2016)의 작품이다. 한국의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를 설계한 바로 그 건축가다. 새 건물은 초현대식 건물로 통유리와 검은 콘크리트를 많이 사용했다. 담쟁이로 둘러싸인 본관 건물과는 전혀 다른 스타일이다. 비유하자면 양복에 갓 쓴 격인데, 의외로 두 건물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런 데서 건축가의 실력이 드러나는 모양이다.

    새 건물은 미술관의 공간 문제와 안전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했을 뿐만 아니라 미술관 분위기도 현대식으로 바꾸어놓았다. 이제 국제 수준의 기획전도 마음 놓고 개최할 수 있게 됐다. 새 건물에는 로비, 전시실, 카페, 기념품 가게 등이 있고 통로로 기존 저택의 전시실과 연결돼 있다.



    최 정 표
    ● 1953년 경남 하동 출생
    ● 미국 뉴욕주립대 박사(경제학)
    ● 공정거래위원회 비상임위원, 건국대 상경대학장
    ● 저서 : ‘경제민주화, 정치인에게 맡길 수 있을까’ ‘재벌들의 특별한 외도’ ‘한국 재벌사 연구’ ‘공정거래정책 허와 실’ ‘한국의 그림가격지수’ 등
    ● 現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 경실련 공동대표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