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생활스포츠

‘미생(未生)’의 샐러리맨 아이언 맨으로 거듭나다

트라이애슬론에 빠진 중년 男들

  • 김유림 기자 │rim@donga.com

‘미생(未生)’의 샐러리맨 아이언 맨으로 거듭나다

1/3
  • ● 무리하지 말고 경험자 도움 받아야
  • ● 기록보다 중요한 건 내 몸의 균형
  • ● 러너스 하이? 그런 건 없다
‘미생(未生)’의 샐러리맨 아이언 맨으로 거듭나다

2010년 8월 인천 송도신도시에서 열린 인천컵 국제트라이애슬론대회

위대한 자연을 온몸으로 느끼는 스포츠.

거친 파도를 헤엄쳐 넘고 자전거로 높은 언덕을 오르며 지글지글 타오르는 아스팔트를 뛰어 마침내 결승선을 통과하는 순간. 그에게는 철인(鐵人)의 칭호가 주어진다. 모든 고통을 감내한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사치. 그것이 바로 트라이애슬론이다.

국내 트라이애슬론 동호인이 점차 늘어난다. 특기할 점은 동호인 대부분이 40대 이상이라는 것. 70세 이상 고령 도전자도 많다. 20~30대와 40대 이상 선수의 기록 차이는 크지 않다. “트라이애슬론에서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은 수사(修辭)가 아니다.

40대 이상 중년 남성이 그 거친 트라이애슬론에 도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경험자들은 “순발력보다 지구력이 필요한 스포츠” “꾸준한 노력이 기록으로 반영된다” “수영, 마라톤, 사이클이 몸의 균형(balance)을 맞추기 때문에 오히려 부상 위험이 적다” “트라이애슬론 중 ‘철인 3종 경기’라고 불리는 ‘아이언 맨 코스(수영 3.9km, 사이클 180.2km, 마라톤 42.195km)’도 있지만 이보다 짧은 올림픽 코스나 연습 코스도 있다. 누구나 수준에 맞춰 도전할 수 있다”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

트라이애슬론에 푹 빠진 40~50대 남성 3명의 목소리를 들어보기로 했다. 대한트라이애슬론경기연맹에 “일도 열심히 하면서 트라이애슬론을 즐기는 동호인 3명을 추천해달라”고 요청했다. 세 사람의 휴대전화 번호를 기자의 휴대전화에 등록했더니, 그와 연동된 기자의 ‘카카오톡’에 세 사람 프로필이 떴다. 세 사람 모두 트라이애슬론 경기에 참여하는 자신의 모습을 프로필 사진으로 올려놓았다. 검게 탄 피부, 얼굴 절반을 가린 고글, 그리고 해맑은 웃음…. 직업, 나이, 사는 곳 모두 다르지만 그들은 같은 꿈을 꾼다.



◆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다

이름 : 김동욱

나이 : 48세

직업 : 델(Dell) 솔루션사업본부 상무

첫 출전 : 2009년 통영ITU트라이애슬론대회

‘미생(未生)’의 샐러리맨 아이언 맨으로 거듭나다
2007년 1월 5일. 그는 아직도 그날을 기억한다.

“첫 수영 강습을 가기로 한 날이었어요. 아침 5시 반에 알람이 울렸는데, 여전히 창밖은 깜깜했고 이불 안에 온기가 감돌았죠. 몸을 일으키려 하는데 갑자기 눈물이 나더라고요. ‘기특하다. 내가 정말 약속을 지키는구나’ 하는 마음과 ‘야, 애쓰지 말고 그냥 자’ 하는 마음이 동시에 드는데…. 결국 천사가 이겼어요. 그 덕에 지금 철인이 됐습니다.”

델의 솔루션사업본부를 지휘하는 김동욱 상무. 지금은 ‘IT업계의 트라이애슬론 전도사’로 인정받는 그지만, 그 역시 철인의 길에 들어서기까지 쉽지 않았다. 마흔둘. 그는 IT업계 근로자들이 그렇듯 ‘아침 없는 인생’을 살았다. 아침에 눈뜨면 쫓기듯 출근하기 바빴고, 연이은 야근으로 눈도 침침했다. ‘이렇게 살아선 직장인으로서 미래가 안 보인다’는 생각이 들었다. 무작정 운동을 시작하기로 결심했다.

그해 겨울, 그는 매주 월·수·금 오전 6시부터 7시까지 수영 초급반 강습을 받았다. 한 달이 지나도 숨쉬기, 발차기 등 기본기 연습만 이어졌다. 강습은 즐겁기보다는 고통스러웠다. 하지만 3개월 이후, 변화는 습관이 됐고 하루는 길어졌다.

수영에 자신감이 붙었을 때 함께 강습 받던 동료가 승부욕을 자극했다. “아, 어제 마라톤 풀코스를 뛰었더니 아침 수영이 힘드네?”라고 한 것. 그는 “저 친구가 할 수 있으면 나도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마라톤 클럽에 가입했다. 마라톤 입문 6개월 만에 그는 동아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했고, 이후 “사이클만 하면 철인이 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사이클에 도전했다.

수영 강습부터 첫 철인 완주까지, 꼬박 2년이 걸렸다. 이토록 빠르게 ‘철인을 향한 길’에 도전할 수 있었던 비결로 그는 ‘동호회’를 꼽았다. 수영을 배운 지 석 달 만에 수영 동호회에 가입해 9개월 후 경기 안양시에서 열린 ‘단수로수영대회’에 참가했는데, 성적은 꼴찌였지만 함께 도전한다는 즐거움이 있었다고 한다. 마라톤에 도전할 때도 분당마라톤클럽에 가입해 함께 훈련했다. 경험, 거리감이 없는 그를 동료들이 이끌어줘서 빠른 시간 내에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가 “철인에 도전하겠다”고 결심한 후 가장 먼저 한 일이 인터넷 검색창에 ‘분당철인클럽’을 검색한 것이다.

“새로운 것에 도전할 때는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처음에는 경험이 없으니까 무리해서 운동을 하다가 일을 그르칠 수 있는데 경험 있는 선배들과 함께 운동하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어요. 저 역시 ‘철인’이라고 소문이 나면서 도와달라는 요청을 많이 받는데 그때마다 친절하게 응대합니다. 제가 받은 도움을 돌려드리기 위해섭니다.”

1/3
김유림 기자 │rim@donga.com
목록 닫기

‘미생(未生)’의 샐러리맨 아이언 맨으로 거듭나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