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호

정신과전문의 최명기의 남녀 본색

‘부부동맹’으로 고부·장서 장벽 넘자

시댁·처가 ‘명절 갈등’ 해결책

  • 최명기 | 청담하버드심리센터 연구소장, ‘작은 상처가 더 아프다’ 저자 artppper@hanmail.net

    입력2016-09-20 16:55:06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남자가 부모와 아내 사이를 중재하려는 순간 덫에 빠진다. 어머니와 둘만 있을 때는 어머니가 옳다고 하고, 아내에겐 아내가 옳다고 하면서 각기 위로해주자. 아내는 남편을 다그치지 말자. 서로가 서로를 같은 편으로 끌어들여야 한다.
    이번 추석에도 귀성·귀경하는 차 안에서 신경전을 펼친 부부가 적지 않았을 것이다. 아내는 시시콜콜 시부모 탓을 하면서 “내년 설에는 절대 시댁에 안 가겠다”며 쪼아대고, 남편은 남편대로 처가에서 동서와 비교당한 괴로움을 토로한다.

    결혼하기 전에는 남녀가 서로 사랑하면 끝이다. 그러나 결혼을 하면 아내는 시댁, 남편은 처가와 관계를 맺는다. ‘동거’까지는 상대방 가족에게 서로 ‘신경 끄기’가 가능하다. 하지만 결혼을 준비하면서 시부, 시모, 장인, 장모 얼굴을 보고 나면 그다음부터는 시댁, 처가와 얽혀든다.



    ‘도움’의 해석

    결혼하면서 남편이 아내에게 “절대 시부모와 둘이서 만나지 말라”고 신신당부를 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시부모가 다짜고짜 집에 찾아오면 어떻게 할 것인가. 아내는 남편에게 “장인, 장모가 돈타령을 해도 절대로 꿔주지 말라”고 신신당부한다. 하지만 사위의 회사에까지 찾아와 부탁하면 당해낼 재간이 없다.

    결혼 과정에서 아무것도 받은 게 없으면 마음이 편하다. 하지만 뭔가 도움을 받았다면 상황이 복잡해진다. 도움을 준 사람은 큰 도움을 줬다고 생각하고, 도움을 받은 사람은 받을 만해서 받았다고 생각한다. 시댁에서 집을 마련해준 경우 시어머니는 당연히 그 집을 자기 마음대로 드나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며느리는 시댁에서 얻어준 전셋집은 ‘집’으로 치지 않는다. 자신도 살림을 마련하는 데 웬만큼 돈을 썼기 때문이다. 살림 마련한 것은 당연하게 여기고, 비슷한 비용으로 전셋집 얻어준 것만 대단하게 여기는 시댁을 이해하기 어렵다. 그래서 요즘은 결혼 비용을 양가에서 똑같이 대고, 그 범위 안에서 전세도 얻고 살림도 장만하는 부부가 늘고 있다.

    이런 경우 전세는 5대 5로 등기를 한다. 예전에는 대개 남편 명의로 전세 계약을 했다가 이혼하면 남자는 자기 명의로 된 전세계약금을 가져가겠다 하고, 아내에겐 살림을 챙겨가라고 했다. 하지만 쓰던 가재도구를 팔면 샀을 때의 절반도 못 받지만 전세보증금은 그대로다. 그래서 요즘은 애초 결혼할 때 아내가 전세권 등기를 공동으로 설정하자고 한다. 여자가 살림을 마련하고 남자가 전세를 얻은 경우 시댁에서는 할 만큼 했다고 생각하지만 시부모와 며느리의 온도차는 크다.



    비교하고 짜증 나고

    집을 사준 경우에도 며느리는 “공동 등기가 아니라면 시댁에서 아들에게 집을 해준 것이지 내게 집을 해준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아내가 공동 등기를 주장하면 시댁과 갈등이 빚어진다. 나중에 집을 늘릴 때도 시댁과 며느리의 생각이 다르다. 아내는 자신이 알뜰히 살림하면서 모은 돈을 보태 집을 늘리기에 공동 등기가 당연하다고 본다. 시댁은 아들 앞으로 장만해준 집에 돈을 조금 보태 집을 늘렸다는 이유로 공동 등기를 주장하는 게 마뜩잖다. 이렇게 앙금이 쌓여가면 며느리는 시댁 식구를 마주하는 게 짜증스럽다.

    부모는 자식이 결혼할 때 사위나 며느리의 직업을 가장 먼저 보고, 그다음엔 졸업한 학교와 경제적 능력을 본다. 제일 낮게 평가하는 것은 외모다. 결혼 당사자인 자식들에겐 성적 매력이 제일 중요하다. 부모가 아무리 조건 좋은 사람, 참한 사람 소개해줘도 소용없다. 성적으로 끌리지 않으면 결혼은커녕 연애도 이뤄지지 않는다.

    아들이 예쁜 여자와 결혼하겠다고 하면, 딸이 잘생긴 남자와 결혼하겠다고 하면 부모는 오히려 긴장한다. 직장도 좋고, 좋은 대학 나오고, 집도 잘살고, 부모님도 점잖은데 잘생기기까지 하면 더할 나위가 없다. 다른 조건은 다 떨어지는데 얼굴만 잘나고 몸매만 좋다면 대부분의 부모는 어떻게든 결혼을 말리려든다. 하지만 부모가 반대한다고 자식이 결혼을 단념하고 헤어지는 건 한참 옛날 이야기다.

    이렇게 반대를 무릅쓰고 결혼한 경우 처가 혹은 시댁과의 갈등은 ‘2라운드’로 넘어간다. 가뜩이나 시댁 식구, 처가 식구 대하기가 편치 않은데, 특히 명절 때는 갈등이 더 심해진다.

    그나마 남편이 제 구실을 하면 다행이다. 남편이 말썽을 부리면 시댁 식구도 밉다. 남편이 바람을 피우건, 사업을 말아먹건, 만날 술에 취해 들어오건 시댁에선 그저 “네가 이해하라”며 남편을 감싸면 아내는 열불이 난다. 남편도 마찬가지다. 아내가 예쁘면 처갓집 말뚝을 보고도 절을 한다. 아내가 미우면 처갓집 기둥을 뽑아버리고 싶다.

    남편을 숨 막히게 하는 아내들이 있다. 일거수일투족 남편을 간섭하고 깎아내린다. 시부모가 간섭하는 것도 싫지만, 장모가 간섭하는 것을 질색하는 남자도 적지 않다. 간섭하는 시부모를 피하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며느리는 시부모가 마음에 좀 안 들어도 체념한다. 아직은 며느리가 시댁에 안 가면 난리가 나는 게 대한민국이다.

    그러나 남자들은 마음만 먹으면 장인, 장모를 거의 안 보고 지낼 수 있다. 명절만 피하면 1년 내내 안 볼 수도 있다. 아내는 명절 때 한 번이라도 남편과 함께 친정 부모님을 찾아뵙고 싶지만, 남편은 그 한 번도 피하고 싶다.

    명절에 형제들이 모이면 서로 사는 처지를 비교한다. 남편 형제들 중 잘나가는 이가 있으면 아내는 자신의 형편과 비교하면서 짜증이 난다. 나는 ‘요 모양 요 꼴’로 사는데 팔자 핀 동서를 보면 스스로가 한심스럽다. 잘사는 형제와 그 동서의 말 한 마디, 행동 하나가 모두 잘난 척하는 것처럼 보인다. 명절엔 자신이 제일 힘든 것 같다.


    통제와 탈출

    명절에 은근히 신경 쓰이는 게, 명절 비용을 나누는 문제다. 동서 중엔 일을 하는 이도 있고, 돈을 내는 이도 있다. 봉투만 내밀고는 여행을 가버리는 이도 있다. 일하는 며느리는 돈 내는 며느리가 뻔뻔한 것 같고, 돈 내는 며느리는 일하는 며느리가 유세를 떠는 것 같다. 시부모가 자신을 차별하는 것 같다는 피해의식에 사로잡히기도 한다. 남편도 다른 동서들과 자신을 비교한다. 다른 동서가 고급 외제차를 몰고 오면 기가 죽는다. 장인, 장모가 차별하지 않는데도 그렇게 느낀다.

    요즘은 부모 재산만 바라보고 사는 부부도 적지 않다. 다른 형제가 뭔가 도움을 받는 것을 보면 나도 도움받고 싶다. 과거에 내가 도움을 받았어도 지금 다른 형제가 도움받는 것을 보면 속이 뒤틀린다. 내가 도움을 받았을 때는 어쩔 수 없는 사정이 있었다고 자위한다. 다른 형제들은 시댁에서 굳이 안 해줘도 되는데 도움을 주는 것 같다. 특히 시댁에서 다른 형제에게 집을 해주거나 사업 자금을 대주면 신경이 잔뜩 곤두선다.

    형제들끼리, 혹은 처형이나 처남과 돈 문제가 얽혀 있을 경우 명절 때 마주치면 열불이 난다. 이들과 동업을 했다 깨지면 죽을 때까지 원수가 되기도 한다. 안 만나고 살면서 조금씩 잊어먹나 싶다가 명절 때 만나면 괴로운 감정이 되살아난다. 형제들은 자기들끼리의 일이라고 잊어버릴지 모르지만 그 돈이 없어서 너무 고생한 아내는 시숙이든 시동생이든 뻔뻔스러운 면상을 손톱으로 긁어버리고 싶다.  

    처가에 아예 발을 들이지 않는 남자도 있다. 낯을 많이 가려 처가에 가는 게 불편한 사위도 있다. 이런 경우 아내만이라도 가게 하면 된다. 아내에게 선물 살 돈이라도 넉넉히 쥐여줘서 보내면 아내는 “○○아빠는 너무 바빠서 못 왔어”라며 친정 부모가 서운해하지 않게 둘러댄다.

    아내를 통제하려고 처갓집에 못 가게 하는 남자도 있다. 아내가 처갓집에 가서 결혼 생활에 대해 안 좋은 얘기를 할지 모른다고 의심한다. 아내가 가고 싶어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부모와의 갈등에서 탈출하기 위해 결혼한 딸은 웬만하면 친정에 가고 싶지 않다. 그럴 때 남편을 핑계로 둘러대기도 한다. 애꿎은 남편만 장인·장모와 아내 사이에서 곤란해진다.

    아내 때문에 명절에 본가에 못(안) 가는 남편도 있다. 부모의 잔소리, 통제, 간섭이 지나치거나 만날 때마다 엉뚱한 걸 요구하면 아무리 자식이라도 피하고 싶다. 결혼은 어떤 면에서 ‘탈출수단’이다. 부모는 어떻게든 결혼한 자식을 통제하고 싶은데 자식은 그게 너무 싫다. 아내라고 그런 시부모가 편할 리 없다. 이럴 때 부모와 아내 사이에서 아내를 선택하는 남자들이 있다. 처음엔 아내를 놔두고 혼자서 본가에 간다. 아내는 그것도 싫어하는 눈치다. 아내는 남편 혼자 시댁에 가면 자신에 대해 좋은 얘기를 안 할 것 같다. 그러다 남편도 명절에 본가에 안 가게 된다.  



    위로하고 공감하라

    고부 간에 갈등이 있다면 남편은 어떻게 해야 할까. 시댁에 안 가는 방법이 있지만 쉽지 않다. 부모님에게 최소한의 도리를 하지 않으면 불편하다. 시댁에 안 간다고 했을 때 가만히 있을 부모라면 며느리도 그렇게 힘들어하지 않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남편이 부모와 아내 사이를 중재하려는 순간 덫에 빠진다. 어머니와 둘만 있을 때는 그냥 어머니가 옳다고 하고, 집에 돌아와서는 아내 편을 들며 아내가 옳다고 하면서 각자를 위로해주는 게 현명하다. 본가에 가면 되도록 일찍 일어나려고 노력하고, 최소한 처가에 들르는 척이라도 하자.

    아내는 어떻게 해야 할까. 가장 중요한 사람은 남편이다. 이혼할 생각이 아닌 이상 남편의 마음이 떠나면 끝이다. 남편을 몰아세우면 남편은 어린애가 된다. 그럴 때 아내는 남편이 중간에서 중재를 해줬으면 하는데, 그것이 가능할까.

    부모와 원수지간이 되는 것, 그리고 아내와 사이가 나빠지는 것 중에 전자를 택할 남자는 거의 없다. 남편이 어머니와 싸우기 싫은 것은 당연하다. 아내가 다그칠수록 남편은 어머니에게 의존한다. 그러면 남편과 시어머니가 동맹관계가 된다.

    어머니가 사납고 무서워서 위로 받기를 꿈꾸며 결혼했는데, 막상 아내가 어머니보다 더 혹독하게 몰아세우면 남자는 결혼을 끝장내고 싶어진다. 그러니 남편에게 빈말이라도 “나 때문에 힘들지?”라고 말해줘야 한다. 시어머니 성격이 괴팍하다면 “당신도 자라면서 쉽지 않았겠다”고 공감해줘야 한다. 어떻게든 남편을 내 편으로 끌어들어야 한다.



    배우자 지키기

    문제 발생 책임이 칼로 두부 자르듯 5대 5인 경우는 드물다. 문제를 일으키는 쪽은 대개 정해져 있다. 시아버지가 성격이 불같거나 술만 마시면 난리를 치는 경우 조용한 부모 밑에서 산 며느리는 시댁에 가는 게 공포다. 끊임없이 간섭하고 무시하고 깎아내리는 시어머니를 당해낼 며느리도 없다. 그런 장모를 당해낼 사위도 없다.

    인간은 자신이 비정상일수록 이를 인정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며느리만 나쁘다고 비난한다. 이럴 때는 남편이 어떻게 해서든 아내를 지켜야 한다. 만약 ‘문제 부모’로 인해 이혼을 한다면 같은 문제가 반복될 것이다. 그리고 친정 부모가 문제라면 아내는 어떻게 해서든 남편의 마음을 잡아야 한다. 만약 남편 혹은 아내가 정말로 이상한 성격이라면 지금이라도 확실하게 방향을 정해야 한다. 그런 남편, 그런 아내와 지금 상태로 결혼 생활을 이어가면 인생은 더 비참해진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