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신발 벗고 배에서 멀리 뛰어내려야

선박·항공기

신발 벗고 배에서 멀리 뛰어내려야

신발 벗고 배에서 멀리 뛰어내려야

9월 12일 해경이 경남 거제시 해금강 앞바다에서 전복된 57t급 어선 주변에서 실종자가 있는지 수색했다.

몇 해 전 미국에서 항공기가 강에 불시착했을 때 조종사와 승무원들의 헌신적이고 신속한 조치로 300여 명의 승객이 전원 구조된 사례가 있다. 이른바 ‘허드슨 강의 기적’이라 불린 사건이다. 이 사건은 여러모로 세월호 사건과 비교된다.

두 사례를 비교해볼 때 우리의 후진적인 안전 의식에 심각한 위기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선박과 항공기 이용 시 안전수칙을 알아본다.

■ 선박 침수

-탑승할 때 구명조끼나 구명환 등 구조 장비의 위치를 미리 파악하고, 선실에서 구명정이 있는 갑판에 이르는 길을 숙지해야 한다.

-선박 사고가 발생하면 큰소리로 외치거나 비상벨을 눌러 사고 발생 사실을 알린다.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 의자 밑 또는 선실 내 보관된 구명조끼를 입고 물속에서 행동하기 쉽도록 되도록 신발을 벗는다.

-선장·인명구조요원의 지시에 따라 침착하게 출입문을 통해 외부로 탈출한다.

-출입문 또는 비상구 등이 열리지 않을 때 선내에 비치된 도끼를 사용해 창문을 깨고 탈출한다.

-구명정에 탈 수 없는 경우 다리를 모아 쭉 펴서 한 손은 몸 옆에 붙이고 다른 손으로는 입과 코를 막고 배에서 되도록 멀리 뛰어내린다.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물속에 뛰어든 사람은 신속하게 육지 쪽으로 이동하고, 안전한 장소에서 체온이 떨어지지 않도록 보온을 유지한다.

■ 항공기 내 위급 상황

-기내에 탑승하면 모든 비상구의 위치를 확인하고 승무원이 알려주는 안전 지침을 주의 깊게 듣는다.

-기내 기압이 떨어질 경우 산소마스크를 신속히 착용한다. 부모가 먼저 쓰고 난 뒤 아이가 산소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비행기 추락이 의심된다면 기체 충격으로 상반신이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발 끈을 묶는다는 느낌으로 의자에 웅크린 자세로 사지 골절과 머리의 충격을 최소화한다.

-비상 탈출 슬라이드를 이용할 때는 양손을 가슴 앞에 교차하고 팔꿈치가 몸 안쪽으로 오게 해 다리와 발을 나란히 뻗는다.

■ 항공기 추락

-먼저 안전벨트를 조이고 양옆의 사람들과 팔짱을 낀 다음 턱을 가슴 쪽으로 끌어당기고 쿠션이나 담요, 코트 등에 기댄다. 충격 시 엄청난 속도로 튕겨 나올 수 있는 가방은 화물로 싣고, 볼펜이나 안경 등의 소지품도 미리 빼두어야 한다.

-비행기가 있는 곳에서 재빨리 벗어나야 화재나 폭발에 따른 피해를 입지 않는다.

-비행기가 물 위에 불시착한 경우 비행기에 장착된 작은 구조선이 자동으로 부풀어 날개에 고정된다. 물에 뛰어들기 직전 토글을 잡아당겨 구명조끼를 부풀리고 구조선에 올라탄다. 탈출 후에는 여러 사람이 함께 모여 있어야 눈에 더 잘 띄어 구조될 가능성이 높다.

신동아 2014년 12월호

허억 가천대 도시계획학과 교수

관련기사

목록 닫기

신발 벗고 배에서 멀리 뛰어내려야

댓글 창 닫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