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연 여성 의원들’이라는 하나의 집합체 개념이 성립할 수 있을까. 당연히 그럴 수 있다. 새정연이라는 제2의 정당이 있고 그 안에 여러 여성 의원이 있다. 일단 실체가 있다. 또 이들 여성 의원 사이에서 공유되는 어떤 배타적 특성도 엿보인다.
새정연 여성 의원들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을까. 당연히 그래야 한다. 이들 여성 의원은 이미 권력기관이 돼 있다. 야당이 반대하면 입법 기능이 정지되는 국회선진화법으로 인해 여의도 정치에서 새정연의 권능은 다수 여당인 새누리당에 필적한다. 그런 새정연 내에서도 여성 의원들의 목소리는 의사결정에 지배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처럼 비친다.
“가장 시장(市場) 적대적”
현재 새정연 전체 의원은 130명. 이 중 여성 의원은 25명으로 19.2%를 차지한다. 새누리당은 전체 의원 158명 중 여성 의원이 20명(12.7%)에 그친다. 새정연 여성 의원들이 새누리당 여성 의원들에 비해 당내에서의 양적 비중이 더 높다. 지역구 의원을 보더라도 새누리당 여성 의원은 6명인 반면 새정연 여성 의원은 그 두 배가 넘는 14명이다. 새정연 여성 의원은 ‘출신 성분’이나 ‘성향’에서도 새누리당 여성 의원과는 현저한 차이를 드러낸다.
먼저 새누리당 여성 의원들의 경우 대체로 ‘커리어 우먼’ 즉, ‘일하는 여성’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공부 잘하고 용모 단정한 명문대 여대생이 사회에서 출세해 국회의원이 된 경우다. 구체적으로 새누리당 여성 의원은 전문직 그룹과 경제인 그룹으로 나뉜다.
전문직 그룹으로는 나경원(판사), 정미경(검사), 박인숙(의사), 신의진(의사), 문정림(의사·교수), 민병주(과학자), 김현숙(교수), 민현주(교수), 신경림(교수) 등이 있다. ‘부자 정당’ 이미지를 강화하는 경제인 그룹으로는 윤명희(한국라이스텍 대표), 류지영(유아림 대표), 손인춘(인성내추럴 사장), 권은희(헤리트 대표) 등이 있다. 이념적 성향에서 새누리당 여성 의원들은 뚜렷하게 중도보수 성향을 띤다.
새누리당 여성 의원들과는 대조적으로, 새정연 여성 의원들은 ‘투쟁하는 여성’ 이미지를 가진 진보 일색이다. 새누리당 여성 의원들 중에 골수 운동권 출신은 찾기 힘들다. 마찬가지로, 새정연 여성 의원들 중엔 광의의 운동권에 포함되지 않는 이가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새정연 여성 의원들은 대체로 과거에 어떤 분야에서든, 어떤 조직에서든, ‘운동’을 했다. 학생운동, 민주화운동, 노동운동, 여성운동에 투신했거나, 아니면 권은희 의원처럼 국정원 댓글 사건 같은 시국사건에서 진보 편에 선 전력이 있다.
새정연 여성 의원들 중 가장 큰 세를 형성하는 부류는 여성운동(페미니즘) 그룹과 학생운동 그룹이다. 한명숙(한국여성단체연합 공동대표·국무총리), 이미경(한국여성단체연합 공동대표), 김상희(한국여성민우회 상임대표), 남인순(한국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 등은 여성운동 그룹에 해당한다. 이들 상당수는 김대중 정부 때 정치권에 입성했다.
연령대는 486(민주화 세대인 386이 40~50대 초반이 되면서 붙여진 말) 정치인보다 높지만 이력은 비슷하며 북한에 온건·유화적 태도를 보인다. 이들은 이후 페미니스트들과 운동권 여성들이 야권 공천을 통해 국회에 진출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김현, 임수경, 서영교 등은 학생운동 그룹으로 꼽힌다. 김영주, 전순옥, 한정애 등은 노동운동을 했고 최민희(언론개혁국민행동 위원장) 등은 언론민주화운동을 했다.
전문가 그룹은 박영선(방송기자), 추미애(판사), 이언주(변호사), 진선미(변호사), 은수미(연구원) 정도이고 경제인 그룹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장하나 등은 청년 대표로 발탁된 경우다. 전문가 그룹과 영입 여성 의원도 운동권 출신 여성 의원 못지않게 이념적 선명성을 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