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이 사람!

“놀 줄 모르는 한국인, 유전자를 바꿔주마”

오지 캠핑 즐기는 87세 ‘진짜 자연인’ 박상설

  • 김지은 │객원기자 likepoolggot@empal.com

“놀 줄 모르는 한국인, 유전자를 바꿔주마”

1/4
  • 87세 노인이 홀로 오지에서 비박을 하고, 배낭 하나 달랑 메고 해외로 캠핑을 다닌다니 고개가 갸우뚱해졌다. 우리나라 오토캠핑 창시자이자 모험가에다 칼럼니스트, 카운슬러라니, 나이와는 잘 어울리지 않는 타이틀 아닌가.
  • 최근 ‘잘 산다는 것에 대하여(부제 : 백 년의 삶이 나에게 가르쳐준 것들)’를 펴낸 박상설 씨의 독특한 행복론 강의.
“놀 줄 모르는 한국인, 유전자를 바꿔주마”
“노인들이 바뀌어야 해요. 효도를 바랄 게 아니라 부모가 자식한테 효도해야지. 자식들이 언제 낳아달라고 했나? 자기들이 좋아서 사랑을 나누고 그러다 보니 애가 태어난 것 아닌가. 그런데 그 책임을 왜 자식한테 지라고 하느냔 말이지.”

거침없는 언변에 슬그머니 진땀이 흘렀다. 괴짜 같은 인생을 사는 사람일 거라고 어느 정도 예상하긴 했지만 수화기 너머로 들려오는 또랑또랑 힘 있는 목소리까진 미처 생각지 못했던 탓이다. 노인 중에서도 고참인 그가 펼치는 노인 비판론에 아직 그 인생의 절반도 살지 못한 경험치로 감히 맞장구치거나 “무슨 소리를 하는 거냐?”고 도발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하지만 그의 독특한 인생관과 철학적 담론은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한편으론 대충 숲 속 어디에선가 움막 생활을 하며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비논리적인 이야기들을 소신으로 여기며 살아가는 기인의 모습도 떠올랐다. 적어도 전문 캠핑 장비와 여행 관련 자료가 종류별로 갖춰진, 소박한 전시실 같은 그의 집을 방문하기 전까지는 그랬다.

가족 독립선언

“차는 갖고 오지 말아요. 서울서 전철 타면 20분인 거리를 왜 차를 타고 와?”



이른 아침, 그를 만나려고 인천으로 향했다. 이름은 박상설. 올해로 87세다.

우리네 노인의 삶은 대부분 외롭고 쓸쓸하다. 딱히 할 일도 없고, 일을 할 만한 체력도 되지 않는다. 선뜻 알맞은 일자리를 주겠노라 나서는 곳도 없다. 누군가와 더불어 살고 싶지만 본인 의지와 상관없이 외면당하고 밀려나니 결국 선택이 아닌 강요에 의한 홀로 서기가 시작된다. 홀로 사는 노인의 삶이 점차 꺼져가는 촛불 모양으로 곤궁해지고 빛이 바래는 이유다.

그런데 박상설 씨는 정반대다. 30여 년 전, 그는 가족에게 일찌감치 독립을 선언했다. “우리 모두 각자의 삶을 잘 살아보자”는 게 이유였다.

“잘 살아가자는 게 아무렇게나 마구잡이로 살자는 얘기는 아녜요. 생각해보세요. 장성하고 나서까지 제 부모 밑에서 독립하지 못하는 짐승은 없거든요. 어느 정도 홀로 서기가 가능해지면 각자 삶을 개척하며 살아가는데, 유독 사람만 효도한다 어쩐다 하면서 서로에게 얽매이고 간섭하며 살아갑니다. 그런데 효도라는 게 노인을 할 일 없게 만드는 거예요. 효도해라, 효도해라 하면서 자신이 할 일을 자꾸 자식한테 미루게 되거든요.”

자연으로 도망가다

그는 자기 이름으로 책을 내고도 그 소식조차 가족에게 전하지 않았다고 했다. 며느리가 어디선가 소식을 듣고 찾아와 지인에게 시아버지의 책을 선물하고 싶다며 사인을 받아갔으니 어쩌면 소식을 영 전하지 않은 건 아닐 수도 있겠다.

“난 언론 매체에 칼럼도 연재하고, e메일로 자체 소식지도 발송하니 굳이 따로 소식을 전하지 않아도 서로가 잘 살아간다는 것 정도는 알 수 있잖아요.”

그는 자신과 가족의 관계를 ‘실험가정’이라 불렀다. 서로의 삶에 대해 어떠한 간섭도 하지 않고 100% 각자의 생활을 보장하는 방식이 삶을 얼마나 풍요롭고 행복하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나름의 확신에서 시작한 일이란다.

1/4
김지은 │객원기자 likepoolggot@empal.com
목록 닫기

“놀 줄 모르는 한국인, 유전자를 바꿔주마”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