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노래가 있는 풍경

서울 간 ‘오빠’가 감옥 갇힌 ‘임’으로

박태준 ‘오빠 생각’

  • 글·김동률 | 서강대 MOT대학원 교수 yule@empas.com 사진·권태균 | 사진작가·신구대 교수 photocivic@naver.com

서울 간 ‘오빠’가 감옥 갇힌 ‘임’으로

1/3
  • 열두 살 최순애는 서울 가서 소식 없는 오빠를 그리워하며 지은 시 ‘오빠 생각’을 어린이 잡지에 투고했다. 이 시에 감동받은 이원수가 최순애에게 편지를 보냈다. 10년간의 연애편지 교환 끝에 두 사람이 처음 만나기로 한 날, 이원수는 일본 고등계 형사에게 체포돼 1년간 옥살이를 했다. 석방과 동시에 두 사람은 결혼했다. ‘오빠 생각’을 작곡한 박태준은 생전에 최순애와 한번도 만난 적이 없다.
서울 간 ‘오빠’가 감옥 갇힌 ‘임’으로

만년의 최순애와 이원수 부부. 최순애는 ‘오빠 생각’을, 이원수는 ‘고향의 봄’이란 국민노래를 탄생시켰다.

늦가을, 쓸쓸해진 사람들의 가슴을 사로잡는 노래가 있다. “가을에는 편지를 하겠어요. 누구라도 그대가 되어 받아주세요”로 시작하는 노래가 우선 떠오른다. 고은의 시에다 김민기가 멜로디를 붙인 ‘가을편지’다. ‘낙엽이 쌓이는 날에는 외로운 여자가 아름답다’는 노랫말에 먹먹해지지 않을 사람이 몇이나 되겠는가. 젊은 사람에게는 “세상에 아름다운 것들이 얼마나 오래 남을까”라며 윤도현이 부른 ‘가을 우체국 앞에서’란 노래도 있다. 또 누구는 이문세의 ‘가을이 오면’을 떠올리겠다. 좀 고상하거나 고상한 척하는 사람은 이브 몽탕의 샹송 ‘고엽’이나 슈베르트의 ‘아르페지오네 소나타’를 떠올릴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 모든 노래를 뛰어넘는, 이른바 한국인의 가을 노래가 있다. ‘오빠 생각’이다. “뜸북뜸북 뜸북새 논에서 울고”로 시작하는 이 노래보다 한국인의 가을을 절절하게 읊은 노래가 있을까. 딱 잘라 말해 없다고 봐야 한다. 노래는 ‘비단구두’ ‘말 타고 서울 가시고’ ‘뜸부기’ 등 토속적인 말과 더불어 우리 민족 서러움의 감성을 ‘오빠’라는 아늑한 이미지로 대변한다. 그래서 반세기가 넘도록 많은 사람이 애창했다.

“우리 순애 고운 댕기 사줄게”

10대 소녀들이 대중스타에게 무조건 갖다 붙이는 ‘오빠’와는 전혀 다른 이 노래 속의 ‘오빠’는 누구일까. 가장 한국적인 비애와 그리움의 표상이 오빠가 된다. 그래서 노래는 동요로 출발했지만 조용필, 송창식, 이선희, 구준엽을 비롯해 소프라노 조수미 등 수많은 쟁쟁한 가수가 저마다 자신만의 목소리로 불렀다. 이는 ‘오빠 생각’이 곧 이 땅의 기성세대에게 ‘애국가’나 ‘고향의 봄’ 못지않게 대중적인 인지도와 호소력을 가졌음을 뜻한다.

그런데 노래 속의 오빠는 과연 무엇 때문에 서울로 갔을까. 일제에 논밭을 빼앗긴 농촌의 젊은이가 어린 누이동생을 두고 돈 벌러 갔을까, 아니면 공부하러 갔던 것일까, 또는 독립 투쟁하러 만주로 떠났을까. 돌아올 기약 없는 오빠의 말을 믿고 기다리는 이의 가슴속에 ‘나뭇잎만 우수수 떨어지는’ 이 노래는 도대체 어떤 연유로 이렇듯 슬프게 작곡됐을까.



그러나 노래의 풍경은 상상은 가지만 구체적으로 그려내기는 어렵다. 특히 1925년이라는 작사 연도가 나타내듯 이 노래의 연원을 찾기는 쉽지 않다. 기록으로 보면 가사는 아동문학가 최순애 선생이 만들었고 멜로디는 박태준 선생이 붙였다. 1990년대 말 타계한 최순애 선생은 ‘고향의 봄’으로 유명한 아동문학가 고(故) 이원수 선생의 부인이다. 1925년 늦가을, 최순애는 열두 살의 어린 나이로 당시 방정환 선생이 펴내던 잡지 ‘어린이’에 한 편의 동시를 투고했다. 생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그는 시작(詩作) 동기를 아래와 같이 밝혔다.

“당시 나에게는 오빠 한 분이 있었다. 딸만 다섯에 아들 하나뿐인 우리 집에서 오빠는 참으로 귀한 존재였다. 오빠는 동경으로 유학 갔다가 관동대지진 직후 일어난 조선인 학살 사태를 피해 가까스로 돌아왔다. 그날 이후 일본 순사들이 늘 요시찰 인물로 보고 따라다녔다. 오빠는 고향인 수원에서 소년운동을 하다가 서울로 옮겨 방정환 선생 밑에서 소년운동과 독립운동을 열심히 했다. 집에는 한 달에 한 번 정도밖에 오질 않았다. 오빠가 집에 올 때면 늘 선물을 사 왔는데 한번은 ‘다음에 올 땐 우리 순애 고운 댕기 사줄게’라고 말하고 서울로 떠났다. 그러나 서울 간 오빠는 소식조차 없었다. 그런 오빠를 그리며 과수원 밭둑에서 서울 하늘을 보면서 울다가 돌아왔다. 그래서 쓴 시가 바로 ‘오빠 생각’이었다.”

서울 간 ‘오빠’가 감옥 갇힌 ‘임’으로

동시 ‘오빠 생각’을 지은 최순애가 살던 수원 장안문 근처. 수원성 복원사업으로 옛집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1/3
글·김동률 | 서강대 MOT대학원 교수 yule@empas.com 사진·권태균 | 사진작가·신구대 교수 photocivic@naver.com
목록 닫기

서울 간 ‘오빠’가 감옥 갇힌 ‘임’으로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