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궁궐에서 왕이 먹던 궁중음식과 주방은 어떤 모습일까. 여러 궁중음식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전시가 11월 20일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렸다. (재)궁중음식문화재단이 고궁박물관에서 개막한 ‘궁중음식, 공경과 나눔의 밥상’ 특별전에는 조선시대 궁중음식 문화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다. 궁중음식은 ‘조선왕조 궁중음식’이란 이름으로 국가무형유산이기도 하다. 왕실 부엌에서 쓰던 조리도구부터 조리법까지, 궁중음식에 관한 모든 정보를 한데 모은 이번 전시는 내년 2월까지 개최돼 관람객을 맞이한다.
![조선 고종과 순종의 12첩 수라상(대원반). 오전과 오후 두 번의 수라상과 세 번의 간단한 음식을 포함해 총 5번의 식사를 했다.](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67/45/75/1f/6745751f21a7d2738276.jpg)
조선 고종과 순종의 12첩 수라상(대원반). 오전과 오후 두 번의 수라상과 세 번의 간단한 음식을 포함해 총 5번의 식사를 했다.
![왕과 함께 왕비가 먹던 곁반(소원상)](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67/45/75/22/67457522253fd2738276.jpg)
왕과 함께 왕비가 먹던 곁반(소원상)
![왕과 함께 왕비가 먹던 곁반(소원상)](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67/45/75/25/67457525080cd2738276.jpg)
왕과 함께 왕비가 먹던 곁반(소원상)
![각종 수저와 수저집. 식사용은 넓고 제례용은 좁다.](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67/45/75/28/674575280d01d2738276.jpg)
각종 수저와 수저집. 식사용은 넓고 제례용은 좁다.
![궁중 소반. 호랑이 다리무늬의 호반과 붉은 옻칠은 왕실에서만 사용 가능했다.](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67/45/75/2b/6745752b0ae6d2738276.jpg)
궁중 소반. 호랑이 다리무늬의 호반과 붉은 옻칠은 왕실에서만 사용 가능했다.
![은제 식기](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67/45/75/41/674575410fe7d2738276.jpg)
은제 식기
![화려한 색채의 법랑 식기](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67/45/75/48/674575481a37d2738276.jpg)
화려한 색채의 법랑 식기
![백자는 은제품보다 저렴해서 다양한 식기들이 제작되었다.](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67/45/75/4c/6745754c1eaad2738276.jpg)
백자는 은제품보다 저렴해서 다양한 식기들이 제작되었다.
![황동 신선로. 단순하고 실용적으로 제작되었다.](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67/45/75/4f/6745754f03cbd2738276.jpg)
황동 신선로. 단순하고 실용적으로 제작되었다.
![국자와 뜰채. 지금 사용하는 것과 거의 유사한 모습이다.](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67/45/75/51/67457551156dd2738276.jpg)
국자와 뜰채. 지금 사용하는 것과 거의 유사한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