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찰(察)이다. 남을 관찰(觀察)하고, 나를 성찰(省察)하며, 세상을 통찰(洞察)하는 도구여서다. 찰과 찰이 모여 지식과 교양을 잉태한다. 덕분에 찰나의 ‘책 수다’가 묘한 지적 쾌감을 제공한다. 정작 살다 보면 이 쾌감을 충족하기가 녹록지 않다. 검증된 지식 커뮤니티가 우리 사회에 드물어서다. 이에 창간 88주년을 맞는 국내 최고 권위의 시사 종합지 ‘신동아’가 ‘지식커뮤니티 Book치고’를 만들었다. 회원들은 한 시즌(4개월)간 월 1회씩 책 한 권을 고재석 ‘신동아’ 기자와 함께 읽는다. 5월 28일 동아일보 충정로 사옥에서 Book치고 세 번째 모임이 열렸다. 함께 읽고 토론한 책은 이정동 청와대 경제과학특별보좌관(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의 저서 ‘축적의 길’과 공저서 ‘축적의 시간’이다. 멤버들이 정성스레 써온 서평 중 일부를 골라 소개한다.
[편집자 주]
책의 저자인 이정동 청와대 경제과학특별보좌관. [이상윤 객원기자]
한 친구의 전공은 로봇이었다. 초등학교 때 ‘9시 뉴스’에 로봇 영재로 등장할 만큼 수재였다. 정작 본인은 탄탄대로의 영재교육만 받고 자란 사람이 아니라고 고백했다. 그는 로봇과 같은 특수한 것을 학교에서 배우고 싶었지만 ‘과학고’다운 배움은 싫었다고 말했다. 매일 수학과 물리 문제를 풀고 맞히는 공부가 아닌, 직접 설계하고 조립하고 실행해보는 공부를 하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이에 로봇 특성화고로 전학을 택했다고 했다.
저자는 한국의 식어가는 성장 엔진을 다시 데우려면 ‘축적’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실행역량을 믿고 있기보다 ‘개념설계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축적을 바탕으로 이룰 수 있다. 그러려면 시행착오를 받아들일 사회, 시행착오를 할 현장, 시행착오의 결과를 키울 전략이 있어야 한다. 앞선 친구는 시행착오를 위해 어린 나이에 전학을 택한 셈이다.
‘축적의 길’을 읽다 보니 고민은 한 갈래로 모아졌다. ‘교육을 바꾸면 되지 않을까?’ 특히 공교육은 문화 변화를 자극할 만큼 영향력이 크다. 고로 청소년기부터 ‘시행착오’를 귀한 경험으로 인식하는 문화 속에서 살아야 한다. 공부할 때 ‘학습된 무력감’을 경험하지 않고 자신 있게 실패하는 데서 한국 산업을 바꿀 잠재적 고수가 태어날 수 있다.
친구 이야기로 돌아가보자. 큰 꿈을 안고 로봇특성화고에 다니기 시작한 그는 선배들과 다양한 실험을 하는 상상도 하고, 선생님들과 유의미한 토론을 하며 로봇을 만들 설렘에 부풀어 있었단다.
로망은 한 달 만에 무너졌다. 그 학교에는 로봇은커녕 공부 자체에 흥미를 잃은 아이들이 가득했다. 이름을 바꾸기 직전까지 ‘공고’였기 때문이라는 게 친구가 내린 해석이다. 선생님들은 오래전부터 로봇 같은 특별한 공부를 흥미를 잃은 아이들과 함께 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친구가 전학을 갔을 때는 이미 학교 전체가 무기력한 분위기로 가득 차 있었단다.
그는 다행히 좋은 선생님을 만나 창고처럼 방치됐던 로봇 실험실을 다시 열어 공모전에 도전하고 상도 받아 잠재적 고수로 클 수 있었다. 친구는 운이 좋았다. 반면 시행착오의 경험을 겪지 못하고 고수가 되는 길을 포기한 아이들이 우리 사회에 얼마나 많을까. 그래서 시급히 필요한 것은 축적을 뒷받침할 사회 시스템이다. 시스템 구축의 첫걸음은 ‘공교육’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