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찰(察)이다. 남을 관찰(觀察)하고, 나를 성찰(省察)하며, 세상을 통찰(洞察)하는 도구여서다. 찰과 찰이 모여 지식과 교양을 잉태한다. 덕분에 찰나의 ‘책 수다’가 묘한 지적 쾌감을 제공한다. 정작 살다 보면 이 쾌감을 충족하기가 녹록지 않다. 검증된 지식 커뮤니티가 우리 사회에 드물어서다. 이에 창간 88주년을 맞는 국내 최고 권위의 시사 종합지 ‘신동아’가 ‘지식커뮤니티 Book치고’를 만들었다. 회원들은 한 시즌(4개월)간 월 1회씩 책 한 권을 고재석 ‘신동아’ 기자와 함께 읽는다. 5월 28일 동아일보 충정로 사옥에서 Book치고 세 번째 모임이 열렸다. 함께 읽고 토론한 책은 이정동 청와대 경제과학특별보좌관(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의 저서 ‘축적의 길’과 공저서 ‘축적의 시간’이다. 멤버들이 정성스레 써온 서평 중 일부를 골라 소개한다.
[편집자 주]
책의 저자인 이정동 청와대 경제과학특별보좌관. [이상윤 객원기자]
아찔한 실수를 반복할수록 운전 실력도 향상된 것 같다. 운전 실력은 강사나 교과서에 의존하는 게 아니었다. 핸들을 잡고 마주하는 길 위에서 단련됐다. 반복된 시행착오 덕에 얻은 깨달음이다.
‘축적의 길’이 말하는 바도 마찬가지다. 개념설계 역량을 얻으려면 도전적 시행착오 경험을 꾸준히 축적해야 한다. 개념설계란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제품의 개념을 최초로 정의하는 밑그림 상태”다.
우리나라는 산업 발전 초기부터 현재까지 ‘실행 역량’을 키우는 데 집중해왔다. 그 결과 압축적으로 고도의 경제성장을 달성했다. 문제는 그 뒤다. 한국은 시행착오를 통해 지식과 경험을 축적하는 길을 걷지 못했다.
우리는 어릴 때부터 실패하지 않는 법을 배우는 것이야말로 성공에 이르는 삶이라고 교육받았다. 안정적인 결과가 담보된 선택에 집중하고 실패하거든 포기하고 적당히 하자며 마음을 다잡는다.
하지만 “매 작품마다 전설을 써온 픽사의 창의성은 사실 그 어떤 애니메이션 회사보다 많은 아이디어를 시도했다는 것에 그 비밀이 있다. 창의적인 것에서 시작한 것이 아니라 창의적인 것을 만날 때까지 많이 시도한 것이다.”(106쪽)
픽사의 영화 한편 한편은 이 분야의 새로운 ‘개념설계’급 작품으로 인정받는다. 이면에는 제작과정 각 단계에서 끊임없이 수정하고 삭제하며 미완성 작품의 탄생을 감수하는 노력이 있었다. 고통스러운 시행착오의 축적 과정이 내재해 있었던 것이다.
우리 사회는 20대에게 도전의식이 부족하다고 몰아세운다. 하지만 묻고 싶다. 한국에는 개념설계 역량을 자유롭게 발산할 문화가 조성돼 있는가? 마음껏 실패하고도 재차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인가?
기술선진국은 별게 아니다. 타인과 세상의 눈치를 안 보고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서 경험을 축적해나가는 데서 시작된다. 그곳에서 혁신이 발흥한다. 우리 사회는 혁신을 위한 시행착오부터 품을 노력을 해야 한다. 길은 가까이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