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지검장이 이름을 널리 알린 건 2016년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 때다. 당시 특수1부는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 비리, 자원 외교 수사 등 정부 차원의 사정 수사를 맡아 대검 중수부 폐지 후 검찰의 가장 ‘잘 벼린 칼’로 여겨졌다.
2017년 5월 윤 당선인이 서울중앙지검장 겸 박근혜 정권 비리 특수수사본부 본부장을 겸하자 이 지검장은 윤 당선인의 ‘잘 벼린 칼’이 됐다. 박근혜 전 대통령을 대면 수사하고, 재판에 직접 출석해 박 전 대통령 변호인 측과 날 선 공방을 벌였다.
2017년 5월 23일 박 전 대통령의 첫 정식 재판에서 박 전 대통령 측 유영하 변호사가 “박 전 대통령 뇌물죄에 대한 상당수 증거가 대부분 언론 기사로 돼 있다. 언제부터 대한민국 검찰이 언론 기사를 형사사건 증거로 제출했나”라며 공세를 펼치자 이 지검장은 “검찰은 법과 원칙, 증거에 따라 사실관계를 판단하고 기소했다. 전직 대통령인 피고인이 수사할 땐 현직이었는데 여론과 언론 기사로 기소할 수 있겠느냐”고 일갈했다.
2019년 7월 윤 당선인이 검찰총장에 오르자 대검 기획조정부장(검사장급)으로 승진해 지근거리에서 보좌했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의 ‘윤석열 사단’ 인사 조치로 2020년 1월 수원고검 차장으로 좌천성 인사 조치됐다. 지난해 6월 제주지검장으로 옮겼다. 검찰 인사에서 요직에 배치될 것으로 전망된다.
● 1969년 전남 보성
● 중동고, 서울대 정치학과
*263명 대해부 전체 기사는 오프라인 ‘신동아’ 4월호와 교보문고·예스24·알라딘·밀리의 서재 등의 전자책(eBook) ‘윤석열 파워 엘리트 263人’에서 읽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