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강남구 역삼동 에스콰이아 본사.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우리 깔창을 납품받은 회사 하나가 이번 일로 야반도주하면서 물건값 대신 구두 500켤레를 보내왔어요. 자재업체 등에 10억 원 정도 대금 치를 게 있는데 이번 일로 돈줄이 막히자 도망간 거죠.”
‘이번 일’이란 에스콰이아(법인명 EFC)가 만기 도래한 외상매출채권을 갚지 않아 협력업체들이 피해를 본 사태를 말한다.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이하 외담대)은 구매기업(대기업)과 판매기업(하도급업체) 간 대금 결제수단으로 흔히 쓰이는 것 중 하나다(2013년 말 현재 외담대 규모는 잔액 기준 12조 원). 구매기업이 발행한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판매기업이 거래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고, 만기일에 구매기업이 대출금을 상환하는 금융상품이다. 구매기업은 납품대금을 통상 6개월 후에 결제하면 되고 판매기업은 외상매출채권을 즉각 할인해 현금화할 수 있어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금융상품처럼 보인다(오른쪽 그림 참조).
그런데 문제는 은행이 옵션으로 내거는 상환청구권에 있다. 만기일에 구매기업이 대출금을 상환하지 않으면 판매기업이 대신 갚아야 한다. 지난 3월 워크아웃에 들어간 에스콰이아는 5월 초부터 만기가 돌아온 외담대를 갚지 않았다. 현재까지 파악된 미결제로 인한 피해금액은 4개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에 걸쳐 300억 원이 넘고 피해업체는 160여 곳이다. 업체당 적게는 몇 천만 원에서 많게는 10억 원 넘는 피해를 보았다.
은행의 상환 청구에 응하지 않으면 피해업체들은 금융전산망에 연체기업으로 등록돼 각종 불이익을 받는다. 한마디로 ‘돈줄’이 죄다 막힌다. 기존 대출 조기 상환 요청이 들어오고 신규 대출이 막힌다. 그래서 상당수 에스콰이아 협력업체는 폐업이나 휴업 신고를 한 상태다. 에스콰이아에 남성구두 완제품을 납품하다 피해를 본 한 업체 대표는 “심지어 법인카드까지 중지돼 영업차량 기름값이나 외근직원 식사비도 현금을 써야 한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2008년 신성건설 부도를 계기로 이 같은 외담대 허점이 드러나자 건설업계에서는 상환청구권 제도 개선과 보완을 줄기차게 요구해왔다. 그 과정에서 건설 분야 종사자들은 상환청구권의 존재와 위험을 인지하게 됐다. 그러나 제조업계에선 외담대를 여전히 ‘어음과 유사한데 인터넷뱅킹으로 편리하게 현금화할 수 있는 것’으로 여긴 정황이 이번 에스콰이아 사태를 계기로 확인됐다. 박씨는 “2011년 말 에스콰이아가 외담대로 결제수단을 바꾸자 다들 마우스 클릭만으로 어음을 할인받을 수 있게 됐다고 좋아했다”며 “외담대란 말도 일이 터진 후에야 알았다”고 털어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