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는 또 일제가 우리나라를 강점한 후 정기를 끊어버리려는 속셈으로 경복궁 바로 앞에다 총독부 청사를 건설하고, 일본인 총독 관저는 경복궁 뒤쪽 경무대에 세웠다는 역사도 싣고 있다. 경복궁보다 지대가 높은 경무대 자리에 총독 관저를 지으면 남쪽의 총독부 건물과 함께 조선왕조의 상징인 경복궁을 완벽히 제압할 수 있을 것이라는 풍수적 계산에서 나온 건축이었다는 것이다. 즉 청와대가 속한 옛 조선의 궁궐 자리가 명당이기에 일본이 조선의 기운을 꺾으려고 풍수적 침략까지 자행했다는 뜻이다.
필자는 서울의 터가 고려왕조 때부터 왕이 임시로 머무는 이궁(離宮)을 세울 정도로 중요시한 곳이었고, 특히 조선의 한양도성(서울)은 재물 기운과 함께 권력 기운이 강한 곳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신동아’ 10월호 참조). 청와대 터는 크게 보았을 때 이 기운의 테두리 안에 포함될 수밖에 없다. 입지적으로 청와대 터자체는 사람이 못 살 정도의 흉지로 볼 이유는 없는 것이다.
풍수지리학자 이몽일 박사는 청와대 일대에 있던 고려 궁궐은 고려왕조 시절 계획적으로 세워진 곳이라고 말한다. 풍수사상이 국가의 지배 이데올로기였던 고려 숙종 9년(1104) 왕업(王業) 연장을 위한 길지로 이곳을 지목했고, 주변의 인왕산과 남산의 높이를 고려한 풍수적 설계에 의해 ‘연흥전’이라는 소궁궐을 건설했다는 것. 조선왕조 개국 때도 원래는 연흥전 터에 본궁을 건설하려 했지만 장소가 협소해 그 아래쪽으로 내려와 경복궁을 조성했다는 것이다. 즉 청와대 터는 고려와 조선왕조가 각별히 공을 들인 명당자리라는 얘기다.
국운과 ‘주인’들의 운명
이 박사는 특히 청와대 흉당론과 관련해 “새 대통령이 나오면 얼풍수들이 으레 그 사람의 조상 묘 터는 말할 것도 없고 생가 터를 이 세상의 둘도 없는 대명당으로 미화하다가 퇴임 시 정쟁이나 비리로 대통령의 위상이 추락하면 그것을 오로지 ‘청와대 터’ 탓으로 돌린다. 사람의 일을 탓하지 않고 땅을 탓할 때 풍수는 미신이 되고 만다”며 맹목적인 지리발복론을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청와대 터와 대통령들의 풍수적 상관관계는 사실 우리나라 국운의 흐름에서 거시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 개인의 운 흐름은 대개 60년을 주기로 호운(好運)과 불운(不運)의 순환을 밟지만, 국가나 글로벌 기업의 경우는 보다 더 큰 흐름인 360년(60년이 6회를 반복하는 주기)을 기준으로 상승운과 하강운의 순환 과정을 겪게 된다. 크게는 전반 180년은 양(陽)의 시대로, 후반 180년은 음(陰)의 시대로 분류할 수 있다.
실제 360년 대순환 주기는 어떤 나라의 운세를 살필 때 키워드 노릇을 한다. 우리나라 전쟁사를 예로 들어보자. 1231년 제1차 여몽전쟁을 시작으로 고려는 몽골과의 지루한 전쟁을 겪었고, 그 후인 1592년엔 일본의 침략으로 조일전쟁(朝日戰爭·임진왜란)을 겪었으며, 1950년엔 6·25전쟁이라는 민족상잔의 비극을 겪었다. 이 3개 연도 사이엔 모두 360년의 시차가 존재한다.
60갑자 이론으로 세계 각국의 국운 흐름을 연구하는 명리학자 김태규 씨는 음양오행상 갑목(甲木)에 해당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60년마다 한 번씩 찾아오는 갑진(甲辰)의 해가 국운 분기점이 된다고 한다. 이에 따르면, 현 시점을 기준으로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360년 단위의 국운은 모두 6단계의 마디(60년)로 진행되는데, 1904년(甲辰) 시작된 제1단계 순환 마디는 1963년에 마쳤고, 지금은 1964년(甲辰)부터 시작된 제2단계 순환 마디에 해당한다는 것.
이를 청와대 터와 연관지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제1단계(1904~1963) 시기는 계절로 치면 춥고 배고픈 이른 봄철에 해당하며 어느 나라든 고난과 시련의 시기라고 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1905년 일제에 의해 외교권을 뺏기고 1910년 국권까지 뺏기는 수모를 겪었다. 일제가 경복궁에 조선총독부를 건설하고 청와대 터에 총독관저를 지은 것(1939년)도 이 시기다.
새로 지은 관저에서는 모두 3명의 일본인 조선총독이 거쳐 갔다. 1945년 광복 이후엔 미군정의 하지 장관과 우리나라의 이승만, 윤보선, 박정희 전 대통령이 집무실 겸 주거지로 사용하면서 6·25전쟁과 남북분단, 5·16군사정변 등 굵직한 역사적 사건들을 겪었다.

백악관 전체는 권력형 지기가 감싸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