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립자 솔로몬 구겐하임(1861~1949)은 대재벌의 아들로 열렬한 미술품 수집가였다. 미술관을 세우기 전엔 맨해튼 플라자 호텔에 있는 자기 아파트에 수집 작품들을 전시했다. 그는 1937년 현대미술을 후원하기 위해 구겐하임 재단(Solomon R. Guggenheim Foundation)을 만들었고, 1939년에는 맨해튼 54번가에 ‘비구상화 미술관’(Museum of Non-Objective Painting)을 열었다. 이것이 구겐하임 미술관의 출발이다(1952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칭). 미술관은 재단이 설립된 1937년을 공식 설립연도로 잡는다.
새하얀 소라 껍데기

구겐하임 미술관을 설립한 솔로몬 R 구겐하임.
수집품은 계속 늘어갔고 전시 공간은 턱없이 부족했다. 1943년 이들은 독립 미술관을 짓기로 결정하고 미국 역사상 최고의 건축가로 불리는 프랭크 라이트(Frank Lloyd Wright·1867~1959)에게 설계를 의뢰했다. 하지만 어떤 이유에서였는지 미술관 신축은 12년이나 지난 1955년에야 시작돼 1959년 완공됐다. 이 건물이 바로 89번가에 있는 소라 껍데기 모양 건물이다.
라이트는 책도 많이 쓰고 강연도 많이 하는 지식인 예술가였다. 1000채 이상의 건물을 설계했는데, 그중 500여 채가 실제로 지어졌다고 한다. 하지만 자신의 최고 걸작 중 하나로 꼽히는 구겐하임 미술관을 직접 보진 못했다. 완공하기 반년 전 타계했기 때문이다. 솔로몬 역시 새 미술관 건물이 완공되기 10년 전인 1949년에 세상을 떠나 이 기념비적인 건물을 보지 못했다.
구겐하임 미술관은 맨해튼 빌딩숲 속에서 유난히 눈에 띈다. 전통 양식의 빌딩이 즐비한 가운데 초현대식 건물이 들어서 있다. 안팎이 모두 눈처럼 새하얀 소라 껍데기 모양의 나선형으로 내부의 중앙은 꼭대기까지 툭 트였다. 벽을 따라 나선형 복도를 오르내리면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라이트는 관람객이 엘리베이터를 타고 맨 위층으로 올라간 후 나선형 복도를 따라 내려오면서 그림을 감상하도록 설계했다고 한다. 그러나 미술관은 걸어 올라가면서 감상하도록 작품을 전시한다. 이유는 모르겠으나 사람들이 올라가면서 감상하면 미술관도 거기에 따를 수밖에 없지 않았을까.
내가 미술관을 방문한 날엔 비가 내렸다. 그래서 그런지 주위 빌딩들과 썩 잘 어울려 보이진 않았다. 기와집 마을에 시멘트 건물이 들어선 느낌이랄까. 이 건물에 대해서는 찬사도 많았지만 비판도 많았다. 모가 나면 그런 법이다.
구겐하임 미술관은 주로 현대미술 작품, 그중에서도 주로 인상파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아방가르드 작품들을 소장했다. 설립 당시 미술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비구상화를 중심으로 아방가르드 작품들을 수집해왔다. 소장품은 많지만, 상설 전시하는 작품은 적은 편이다. 어떤 미술관이든 직접 가본다고 소장품을 많이 볼 수 있는 건 아니다. 상설전시보다 특별전을 많이 기획하는 것이 구겐하임 미술관의 특징이다.
구겐하임 재단은 뉴욕 외에도 세계 여러 곳에 미술관을 뒀다. 이탈리아 베니스, 독일 베를린에도 구겐하임 미술관이 있다. 1997년 스페인의 소도시 빌바오에 구겐하임 미술관을 열었고, 2013년에는 아부다비에도 구겐하임 미술관이 들어섰다.

프랭크 라이트가 설계한 구겐하임 미술관은 나선형 복도를 따라 오르내리며 관람하도록 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