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갤러리 산책

바리케이드 앞에 선 저널리스트

퓰리처상 사진전 슈팅 더 퓰리처

  • 글 박해윤 기자 land6@donga.com 사진제공 The Pulitzer Prizes, 동아DB

바리케이드 앞에 선 저널리스트

1917년 미국의 언론인 조지프 퓰리처의 유언에 따라 퓰리처상이 제정됐다. 퓰리처가 세상을 떠난 지 6년 만의 일이었다. 1942년 보도사진 부문이 신설됐고, 금세 ‘포토저널리즘의 노벨상’으로 자리매김했다. 세기의 현장을 렌즈에 담은 포토저널리스트가 퓰리처상의 영예를 안았다. 오는 10월 18일까지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역대 퓰리처상 사진 134점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슈팅 더 퓰리처’가 열린다. 슈팅(Shooting)에는 사격, 총사냥뿐 아니라 사진 촬영이라는 의미도 담겨 있다. 사진 촬영은 그만큼 강렬한 경험이자, 위험을 감내해야 하는 작업이다. 인간의 희로애락을 담은 사진 한 장은 그 어떤 ‘시의 언어’보다 깊고 진한 울림을 안겨준다. 약자에게 어떤 특별한 얼굴이 그려지는 건 바리케이드 앞에 선 저널리스트의 용기 때문이다.

일시 : 2020년 7월 1일~10월 18일까지
장소 :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2007 바리케이드를 사수하며/오뎃 밸릴티’ [박해윤 기자]

‘2007 바리케이드를 사수하며/오뎃 밸릴티’ [박해윤 기자]

이스라엘 군인의 팔레스타인 가옥 철거에 여성 정착민이 맞서고 있다. 그녀는 이내 곤봉을 맞고 쓰러졌다.부서진 벽돌 사이에 우뚝 선 사진은 날것 그대로의 현장과 함께한 퓰리처 정신을 상징한다.

 ‘1989 생명을 불어넣다/론 올슈웽거’

‘1989 생명을 불어넣다/론 올슈웽거’

퓰리처상 사진전 포스터. 불타는 아파트에서 백인 아기를 구한 흑인 소방관이 급하게 인공호흡을 하고 있다. 아기는 결국 숨졌다.


‘1951 한국전쟁/맥스 데스포’

‘1951 한국전쟁/맥스 데스포’

중공군의 침략으로 무너진 대동강 철교를 건너는 피난민 행렬.



‘2014 보스턴 마라톤 폭탄테러/조쉬 해너’

‘2014 보스턴 마라톤 폭탄테러/조쉬 해너’

여자 친구를 응원하기 위해 마라톤 결승점에서 기다리던 제프 바우먼은 갑작스러운 밥솥 폭탄테러로 두 다리를 잃었다. 그의 이야기는 2017년 영화 ‘스트롱거’로 제작됐다.

‘2017 총 앞의 아이들/E.제이슨 웜스강’

‘2017 총 앞의 아이들/E.제이슨 웜스강’

총기 관련 사건으로 상처를 입은 미국 아동의 모습.

[박해윤 기자]

[박해윤 기자]

아이를 업은 관람객이 전시를 찾아 바다 건너 또 다른 아이의 슬픈 표정을 지켜본다.

‘1973 베트남-전쟁의 테러/닉 우트’

‘1973 베트남-전쟁의 테러/닉 우트’

미군이 투하한 네이팜탄 폭발에 울부짖는 아이들. 베트남전의 실상을 드러낸 이 사진은 반전운동의 도화선이 됐다.

‘2019 장벽에 막히다/김경훈’(중앙대 사진학과 졸업, 로이터통신 소속)

‘2019 장벽에 막히다/김경훈’(중앙대 사진학과 졸업, 로이터통신 소속)

한국 국적 사진기자 최초의 수상작. 미국 국경수비대가 쏜 최루탄을 피해 도망가는 온두라스 출신 이주민 마리아 메자와 그의 아이들. 보도 후, 메자의 가족은 미국에 정착해 살고 있다.

제공=퓰리처상사진전

제공=퓰리처상사진전

김경훈 기자와 마리아 메자 가족이 함께 촬영한 사진.



신동아 2020년 8월호

글 박해윤 기자 land6@donga.com 사진제공 The Pulitzer Prizes, 동아DB
목록 닫기

바리케이드 앞에 선 저널리스트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