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9월호

성북동에 역대급 현대미술 기증작 다 모인다

삼성 등 재계 이어 미술계까지 미술품 기증 나서

  • 이광표 서원대 교양대학 교수 kpleedonga@hanmail.net

    입력2021-09-15 10:00:02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이건희 컬렉션으로 관심 커진 미술품 기증

    • ‘세한도’포함 305점 작품 기증한 손창근

    • 타계하며 자신 작품 기증한 서세옥·최만린

    • 각계각층 기증으로 풍요로워진 한국 미술 문화

    서울 성북구 정릉동에 위치한 ‘성북구립 최만린미술관’. [이광표 제공]

    서울 성북구 정릉동에 위치한 ‘성북구립 최만린미술관’. [이광표 제공]

    최근 문화계의 화제는 이건희 컬렉션 기증이다. 정선의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김홍도의 ‘추성부도(秋聲賦圖)’, 고려불화, 이중섭의 ‘황소’와 ‘흰소’, 김환기의 ‘여인들과 항아리’ 등 기증작 2만6000여 점은 그 양과 질에서 압도적이다. 기증받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대구미술관, 양구군립박수근미술관 등은 기념 특별전을 열고 있으며 전시장엔 연일 관람객이 몰린다. 관람객들은 기증작 자체의 미학이나 작품성을 음미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기증의 감동을 경험하고 싶어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80년대 들어 문화재와 미술품 기증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이후 더욱 활성화하면서 하나의 문화로 정착되었다. 기증은 감동을 주고 감동은 그 작품의 스토리가 되어 작품의 가치를 높여준다. 문화재·미술품 기증이 확산하면서 기증의 형식과 관련 스토리도 무척 다양해졌다.

    “그럼, 세한도는요?”

    2018년 11월, 한 원로 컬렉터가 문화재 304점을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했다. 최초의 한글 서적인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초간본(1447), 17세기 명필 조문수와 오준의 글씨, 정선·심사정·김득신·김정희·전기·김수철·허련·남계우·장승업·안중식 등 한국 미술사에 길이 빛나는 작가들의 그림…. 특히 김정희의 그림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와 글씨 ‘잔서완석루(殘書頑石樓)’가 세상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기증자는 기업인 손창근(孫昌根). 올해 나이 92세인 그는 국내의 내로라하는 문화재 컬렉터 가운데 한 명이다. 2018년 당시 세상 사람들은 손 선생이 내놓은 기증작의 면면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최고 수준의 컬렉션이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김정희의 ‘세한도(歲寒圖)’는 기증에서 제외됐다는 얘기도 언론을 통해 전해졌다.

    당시 어느 미술계 인사가 내게 이렇게 물었다.“이제 손창근 선생에게 세한도만 남게 됐군요. 그런데 세한도도 과연 기증될 수 있을까요?” 나는 이렇게 대답했다. “제가 손창근 선생의 내력을 좀 아는데, 몇 년 기다리면 틀림없이 기증하실 겁니다. 99.9% 확신합니다!” 그때, 그 사람은 내게 왜 이런 질문을 했고 나는 왜 그렇게 단정적으로 대답했을까.



    손창근 선생의 기증품을 두고 ‘손세기·손창근 컬렉션’(이하 손·손 컬렉션)이라 한다. 아버지 손세기(孫世基·1903~1983)로부터 물려받은 컬렉션과 아들 손 선생이 직접 수집한 컬렉션이 한데 어우러져 있기 때문이다.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국보 제180호)도 손·손 컬렉션이다. ‘세한도’는 손 선생이 아버지 손세기로부터 물려받은 것으로, 손·손 컬렉션 중에서도 가장 상징적이다.

    그렇기에 2018년 304점을 기증하기로 흔쾌히 결정하면서도 ‘세한도’만큼은 남겨놓았다. ‘불이선란도’ ‘잔서완석루’와 같은 걸작들을 내놓았음에도 “그럼 세한도는?”이라는 질문이 나온 것이 바로 이런 까닭에서다. 그때 ‘손 선생이 머지않아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할 것’이라고 나 나름대로 확신할 수 있었던 것은 그동안 드러난 손 선생의 이력 덕분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를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4월까지 공개 전시했다. [이광표 제공]

    국립중앙박물관은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를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4월까지 공개 전시했다. [이광표 제공]

    代를 이어온 기증의 역사

    손 선생은 2005년과 2010년 두 차례에 걸쳐 국립중앙박물관에 컬렉션을 기탁한 바 있다. ‘세한도’는 2010년에 기탁했다. 소유권을 완전히 넘기는 것이 기증이라면 기탁은 소유권은 갖고 있되 작품의 관리권을 넘기는 것이다. 따라서 기탁받은 기관은 그 작품을 보관하면서 전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소유권만 소장자가 갖고 있을 뿐, 다른 권한을 모두 넘겨주는 것이다. 어찌 보면 기증의 전(前)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손 선생은 2008년 국립중앙박물관에 연구 기금으로 1억 원을 쾌척했다. 2012년엔 경기 용인시의 임야 662ha(약 200만 평)를 산림청에 기부하기도 했다. 당시 산림청의 추산에 따르면, 그 시가가 1000억 원대였다고 한다.

    이어 2017년엔 50억 원대의 부동산과 현금 1억 원을 KAIST에 연구용으로 기부했다. 이뿐이 아니다. 아버지 손세기는 생전인 1973년과 1974년 서강대 박물관에 고서화 200여 점을 기증했다. 그런 손세기·손창근 부자였기에, 게다가 ‘세한도’를 이미 국립중앙박물관에 기탁해 놓은 상황이었기에, 손 선생이 ‘세한도’를 기증할 것으로 충분히 예측할 수 있었다.

    손창근 선생이 2018년 기증 목록에서 ‘세한도’를 제외한 것은 그 작품을 끝까지 자신의 재산으로 삼겠다는 것이 아니었다. 워낙 대단하고 상징적인 작품이기에 잠시만 더 소유권을 유지하면서 ‘세한도’와의 인연을 정리하려는 마음이었을 것이다. 결국 2020년 1월, 손 선생은 자신의 마지막 컬렉션 ‘세한도’를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했다. 단일 작품으로 보면, 우리나라 기증 문화재·미술품 가운데 단연 최고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세상은 그에게 경의를 표했다. 정부는 문화훈장 가운데 최고의 영예인 금관문화훈장을 수여했고, 문재인 대통령은 2020년 12월 손 선생을 청와대로 초대해 감사와 존경의 뜻을 전했다.

    작품 전부 성북구에 기증한 서세옥

    2020년 11월 17일 조각가 최만린(崔滿麟·1935년생)이 세상을 떠났다. 85세의 고령이었지만 비교적 건강한 편이었기에 그의 부고는 갑작스러웠다. 최만린은 1950년대 말~1960년대 초 가난하던 시절 2년 정도 아나운서로 잠시 일하기도 했지만 이를 제외하면 평생을 조각과 함께 살아왔다. 전통 서예의 필법과 동양적 정신세계를 조각으로 구현했으며, 추상 조각을 통해 한국 현대조각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했다. 조각과 함께한 그의 삶은 늘 열정적이면서 반듯했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이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한 달 뒤인 2020년 12월 초 한국화가 서세옥(徐世鈺·1929년생)의 부고가 전해졌다. 유족들은 “코로나19 방역 차원에서 가족장으로 장례를 마친 후 별세 사실을 알리게 됐다”고 밝혔다. 알고 보니, 서세옥은 11월 29일에 세상을 떠난 것이었다. 시서화(詩書畵)에 두루 능했던 서세옥은 한국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그런 그의 죽음을 장례식이 끝난 뒤에서야 알게 되다니, 미술계는 참으로 황망했다. 최만린이 세상을 떠난 지 며칠 지나지 않은 상황이었기에 더더욱 그랬다.

    한국 현대미술의 두 거장은 그렇게 앞서거니 뒤서거니 생을 마쳤다. 그러곤 몇 개월이 지났다. 이건희 컬렉션 기증으로 세상이 떠들썩하던 올해 5월, 놀라운 소식이 전해졌다. 서세옥의 작품과 그의 수집품(컬렉션)을 유족들이 서울 성북구(성북구립미술관)에 기증한다는 소식이었다.

    성북구에 미술관 남긴 최만린

    서세옥이 평생 그린 작품 2300여 점과 서세옥이 수집한 문화재와 미술품 990여 점. 기증작은 서세옥의 미술을 총망라한다. 특히 인간 군상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그래서 수묵추상이라는 이름을 얻게 된 ‘사람들’ 시리즈도 적지 않았다. 여기에 드로잉과 전각, 그의 시고(詩稿)까지 포함해 서세옥의 삶과 미술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창작품들이다.

    그가 수집한 작품 990여 점도 흥미롭다. 한국의 근현대기 서양화, 조선시대 수묵화, 중국회화, 전각과 각종 문화재 등 서세옥의 취향과 안목을 드러내는 컬렉션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정약용(丁若鏞)과 김정희의 것으로 추정되는 인장이 다수 들어 있다. 매우 흥미로운 연구 자료가 아닐 수 없다.

    서세옥 작품과 서세옥 컬렉션의 기증은 이건희 컬렉션의 기증과는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작가가 혼신의 힘을 다해 평생 창작한 작품을, 그것도 한두 점이 아니라 엄청난 양을 기증한 것이기 때문이다. 작가 혹은 작가의 유족이 이렇게 많은 양의 창작품을 공공기관에 기증한 것은 유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서세옥의 유족들은 성북구에 기증하는 것 이외에 대구미술관에 작품 90점을, 국립현대미술관에 작품 22점을 기증했다. 대구는 서세옥의 고향이다. 이에 앞서 서세옥은 2014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개관에 맞춰 대표작 100점을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하기도 했다.

    서세옥 작품 기증 소식이 알려지고 한 달 뒤인 2021년 6월, 최만린 작품 기증 소식이 들려왔다. 유족들이 최만린의 조각과 드로잉 등 작품 443점과 자료 2095건을 성북구에 기증한 것이다. 계속 이어지는 기증. 사람들은 “또 성북구!” 하며 놀라움을 표했다. 사실 최만린은 이에 앞서 2018년에 자신의 주요 작품 126점을 성북구에 기증한 바 있다.

    성북구는 기증을 계기로 성북구 정릉동 북한산 초입 주택가에 위치한 최만린의 자택을 매입해 미술관으로 리모델링했다. 바로, 2020년 8월 개관한 ‘성북구립 최만린미술관’이다. 최만린 유족들은 2021년 5월 대구미술관에도 작품 50여 점을 기증했다.

    성북동과 정릉동서 활동해 온 서세옥·최만린

    최만린과 서세옥의 삶과 미술에는 흥미로운 공통점이 있다. 모두 서울 성북구(성북구립미술관)에 작품과 컬렉션을 기증했다는 사실이다. 두 사람은 서로 인연이 깊고 공통점도 많다. 동시대를 풍미한 미술계의 유명 인사였으며, 서울대 미대에서 교수 생활을 함께 했다. 두 사람 모두 오랜 세월 성북구에 살면서 창작 활동을 했다. 이들은 노년에 성북구립미술관 설립에 기여했고, 미술관 운영에도 열정적으로 참여했다. 성북구의 문화예술 전통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했고, 그 예술의 전통과 풍취 속에서 열정적으로 창작을 했다.

    두 사람에게 성북구는 단순한 생활공간 이상이었다. 서세옥은 60여 년 성북구 성북동에 살았다. 한용운, 오세창, 김용준, 김환기, 이태준, 조지훈, 김광섭, 전형필, 최순우 등 쟁쟁한 시인 묵객과 예인들이 사유와 창작 활동을 펼친 곳이다. 서세옥은 1970년대 성북동 언덕에 무송재(撫松齋)라는 한옥을 지어 그들의 예술혼을 이어가고자 했다. 그러곤 끝내 이곳에서 생을 마감했고 자신의 작품을 모두 성북 지역 사람들에게 내놓았다. 이 지역에 대한 서세옥의 사랑은 예술 창작에만 그치지 않았다. 그는 1978년 성북 지역 미술인들과 함께 성북장학회를 만들었다. 작품을 판매한 수익금으로 기금을 마련해 지역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기 위해서였다. 이 장학회는 지금도 운영되고 있다.

    최만린도 성북구 정릉동에서 50년 넘게 살았다. 정릉동은 이중섭, 한묵, 박경리, 차범석이 예술 활동을 펼쳤던 곳. 정릉동의 최만린 자택은 이제 최만린미술관으로 바뀌었다. 말년에 그 변화 과정을 지켜본 최만린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한편으론 감격스러웠을 것이고 한편으로는 아쉬웠을 것이다. 자신이 살던 집이 자신의 이름이 들어간 미술관으로 바뀌고 거기 자신이 기증한 작품들이 보관 전시되고….

    그런데 최만린미술관이 개관하고 불과 3개월 만에 최만린은 세상을 떠났다. 지난해 11월 최만린 빈소에서 배우 최불암 씨를 만난 적이 있다. 최불암 씨는 최만린의 손아래 동서다. 그때 그는 이런 말을 했다.“형님은 최만린미술관 개관을 매우 열망하셨지요. 그 과정에서 모든 기(氣)를 쏟아붓는 것 같았습니다.” 감동적이면서도 참 아련한 느낌이 들었다.

    최만린의 대표작 중 하나인 조각 ‘이브 58-1’. 현재는 성북구 최만린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 [성북구립미술관 제공]

    최만린의 대표작 중 하나인 조각 ‘이브 58-1’. 현재는 성북구 최만린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 [성북구립미술관 제공]

    기증 통해 직접 관객 만나는 거장의 작품들

    최근 우리 문화예술계는 기증을 통해 특별한 경험을 하고 있다. 그동안 지속적으로 문화재·미술품의 기증이 있어왔지만 이렇게 굵직한 기증이 동시다발로 이뤄진 경우도 흔치 않다. ‘세한도’ ‘불이선란’ ‘인왕제색도’ ‘황소’ ‘여인들과 항아리’ 등. 이미 명작으로 평가받아 온 작품이지만 기증을 계기로 더 많은 사람과 감동적으로 만날 수 있게 됐다.

    최만린과 서세옥의 작품도 마찬가지다. 두 작가의 작품은 이미 그 자체로 한국 현대미술의 대표작들이지만 최근의 기증은 그 작품의 의미와 가치를 더욱 높여주었다. 최만린의 ‘이브’ ‘천(天)’ ‘지(地)’ ‘현(玄)’ ‘아(雅)’ ‘태(胎)’…. 전통에 뿌리를 두면서도 점점 추상의 세계로 진입한 최만린의 조각들. 언뜻 단순해 보이지만 그건 생명의 근원과 본질에 대한 깊은 탐구였다. 오랜 고민과 깊은 성찰을 토대로 삶의 여러 측면을 간결하게 추상화함으로써 한국 현대 조각의 새로운 세계를 구축한 것이다. 그래서 더욱 치열해 보인다.

    성북구립미술관에 기증된 서세옥의 수묵화 ‘잠자는 새’. [성북구립 미술관 제공]

    성북구립미술관에 기증된 서세옥의 수묵화 ‘잠자는 새’. [성북구립 미술관 제공]

    서세옥의 ‘구름이 이어지는 공간’ ‘잠자는 새’ ‘기다리는 사람들’ ‘춤추는 사람들’ ‘사람’…. 전통 수묵화의 세계를 자신만의 독특한 추상적 조형언어로 새롭게 표현한 작품들이다. 수묵과 추상의 만남은 그 자체로 신선한 충격이었다. 그건 서세옥만의 용기와 성찰과 고뇌의 결과였다. 묵선과 여백으로 만들어낸 인간 군상 시리즈가 서세옥 미술의 상징이 되고 현대 수묵화의 대표 아이콘으로 자리 잡은 것도 이 때문이다.

    두 사람의 예술은 시종 치열하고 고뇌 가득한 것이었지만 그 마지막은 단순 명료했다. 기증을 통한 공유! 나의 조각과 수묵은 내 것이 아니라 우리 시대의 것이라는 인식이다. 최만린과 서세옥의 작품들은 이제 작가와 유족의 손을 떠나 모든 이의 것이 됐다. 특히 자신이 살면서 작업한 작품을 지역사회에 기증했다는 것이 더욱 인상적이고 감동적이다. 그들의 길었던 미술 인생에서 2020년, 2021년은 어쩌면 가장 중요한 순간이 될지 모른다.

    문화재·미술품 기증은 그것을 더 많은 사람과 공유하는 것이다. 최만린과 유족들의 기증 덕분에, 우리는 최만린의 공간에서 최만린의 미술을 맘껏 만날 수 있게 됐다. 최만린의 추상 조각은 국립현대미술관, 모란미술관 등 곳곳에 소장돼 있다. 모두 중요하지만 그의 예술적 열정과 고뇌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그의 삶의 공간에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는 것 자체로 감동이 아닐 수 없다.

    최만린미술관에서는 9월부터 ‘최만린 1주기전’이 열린다. 성북구립미술관은 현재 서세옥 기증품을 정리 연구하느라 분주하다. 이 작업이 어느 정도 마무리돼야 전시가 가능할 텐데, 워낙 그 양이 방대하다 보니 시간이 꽤 걸릴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올해 12월 서세옥 1주기 때엔 학술행사를 먼저 마련할 계획이다. 성북구와 성북구립미술관은 성북동에 서세옥미술관 건립도 추진한다. 미술관이 건립되면 서세옥 미술의 전모를 한곳에서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모두 기증 덕분이다. 2021년 한국의 미술 문화가 더욱 풍요로워지고 있다.

    #성북구 #최만린 #세한도 #신동아


    이광표
    ● 1965년 충남 예산 출생
    ●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졸업
    ● 고려대 대학원 문화유산학협동과정 졸업(박사)
    ● 전 동아일보 논설위원
    ● 저서 : ‘그림에 나를 담다’ ‘손 안의 박물관’ ‘한국의 국보’ 外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