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의 등장과 더불어 비롯된 노예제는 유럽 열강의 식민지 침략 루트를 따라 전파된 커피로 인해 참극을 더했다. 세계 각지로 뻗어간 커피 밭은 곧 그들에 대한 착취의 결과물이었다.
노예는 자유와 권리를 빼앗기고 다른 사람의 소유가 되는 자 또는 계층을 말한다. 그 뿌리는 인류 최초의 국가가 형성된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 문명에까지 닿는다. 고대 이집트는 거대한 피라미드를 지을 노예를 확보하려 전쟁까지 치렀다. 고대 그리스 시대엔 아테네 인구의 40%가 노예였다는 기록도 있다. 기원전 4세기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방인을 그리스인의 태생적 노예로 규정했다. 그는 특히 “그리스인들은 다른 민족을 지배할 사명을 받았다”며 노예제도에 철학적 정당성을 부여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최초의 인종차별적 사상가라는 오명을 입기도 하는데, 이러한 주장이 인류사에 얼마나 끔찍한 일을 초래할지를 상상조차 못했을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망언
로마에 이르러서는 노예가 제도로 굳어졌다. 공화정 시대의 로마가 세력을 확장하면서 지배한 지역의 민족들이 노예로서 로마에 대량 공급됐다. 노예와 그 소유주인 시민 간 계급관계는 이 시대를 규정하는 하나의 지표라고 할 만하다. 제정시대 로마에만 노예가 40만 명이 넘었던 것으로 전한다. 로마 건국부터 쇠퇴기까지 거의 1000년 동안 노예로 팔리거나 잡힌 사람이 최소 1억 명에 달했다는 견해도 있다.커피의 무역상품화
5 세기 로마제국이 몰락하면서 싹트기 시작한 중세 국가들은 왕과 영주 간 계약에 의해 이뤄진 봉건사회였다. 하층계급인 ‘농노’는 사실상 노예의 다른 이름이었을 뿐이다. 이 시기 노예의 역사는 무슬림과 기독교 간 전쟁으로 인한 포로의 역사이기도 하다. 중세 초기 노예 공급처는 그리스도교와 이슬람교가 맞닥뜨린 중부 유럽과 동유럽이었다. 셀주크 튀르크족이 차지한 예루살렘을 두고 1096년부터 1270년까지 170여 년간 지속된 십자군전쟁은, 한편으로는 양 진영이 주거니 받거니 한 노예의 참혹사이기도 했다. 십자군전쟁 초기, 잉글랜드 인구의 약 10%가 노예였다는 기록은 그 처참함을 웅변하는 듯하다.로마 가톨릭교회는 노예제를 금지하면서 최소한 기독교도 노예를 비기독교 지역으로 수출하는 행위만은 강력히 막았다. 그러나 부를 안겨주는 노예는 그들에게 결코 떨칠 수 없는 유혹이었다. 카를 마르크스가 규정한 노예제 사회(고대)-봉건제 사회(중세)-자본주의 사회(근대) 등 역사발전 단계를 관통하는 공통된 키워드가 노예다.
십자군전쟁을 치르는 동안 이슬람의 음료인 커피가 유럽의 기독교 국가들로 전해졌다는 일각의 주장은, 기록은 차치하더라도 정황 증거조차 부족한 소리다. 커피가 유럽에 전해진 건 십자군전쟁이 끝나고도 350년쯤 더 지난 17세기 초였기 때문이다.
유럽의 전쟁사에서 커피는 오스만제국 전성기에 등장한다. 수니파 이슬람 왕조인 셀주크 튀르크는 십자군전쟁 이후 세력이 약해지고 내부 혼란을 겪게 된다. 이 틈을 타서 셀주크의 지배를 받던 오스만 튀르크가 1299년 터키를 중심으로 제국을 수립한다. 오스만제국은 터키공화국 수립을 앞둔 1922년까지 623년간 세력을 떨치면서 에스파냐와 합스부르크 왕가의 영토를 비롯한 상당 부분의 유럽 땅과 아라비아 반도, 북아프리카를 지배하기도 했다.
오스만제국은 1453년엔 비잔티움제국을 정복하면서 콘스탄티노플을 이스탄불로 고쳐 수도로 삼았다. 이스탄불은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지정학적 위치 덕분에 양측 간 무역이 왕성했던 곳이다. 이 시기쯤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된 커피가 예멘을 거쳐 이스탄불에 도착했다. 오스만제국이 예멘을 지배한 16세기부터 커피가 대량 이스탄불에 들어오면서 터키 사람들이 즐기는 방식이라는 의미의 ‘터키시 커피(Turkish coffee)’가 주변 국가에까지 퍼져 크게 유행한다.
더 풍부한 회원 전용 기사와 기능을 만나보세요.
삼각무역의 한 축
노예무역이 부를 약속하는 아이템이 된 것은 삼각무역(Triangular Trade) 때문이기도 했다. 유럽은 면직물이나 총, 화약을 싣고 아프리카 서해안에 이르러 흑인 노예와 교환했다. 다시 그 배를 타고 아메리카 대륙으로 건너가서는 노동력이 필요한 농장에 노예를 팔고 빈 배에 설탕, 커피, 담배, 면화를 싣고 돌아왔다. 한 번의 항해에서 3개 품목을 대량 거래하는 삼각무역 기법은 최고 500%의 엄청난 이익을 안겨줬다. 노예무역이 가장 심했던 시기가 계몽주의의 싹이 터 프랑스혁명과 미국 독립운동의 기운이 충만했던 18세기라는 사실 또한 역사적 아이러니다. 이 시기에 아메리카 대륙으로 끌려간 아프리카 원주민은 한 해 8만 명에 달했던 것으로 전한다.노 예 노동이 필요한 사탕수수 농사가 사탕무에서 설탕을 추출하는 기술 개발로 그 기세가 잦아질 수 있는 기회가 찾아왔다.
1805년 스페인 남부 트라팔가 해전에서 영국의 넬슨함대에 패한 나폴레옹은 대륙 봉쇄령을 내려 영국을 고립시키려 했다. 이로 인해 영국의 선박이 묶이면서 오히려 프랑스를 비롯한 대륙 국가들이 여러 가지 곤란을 겪게 된다. 배편이 부족해 서인도제도에서 싣고 오던 설탕 유입이 차단된 것도 그중 하나다. 이때 나폴레옹이 사탕무로 설탕을 만들도록 한 것이 결과적으로 사탕수수를 둘러싸고 벌어진 치열한 무역경쟁을 차분하게 만든 계기가 됐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노예의 수난사는 멈추지 않았다. 커피가 사탕수수를 대신해 유럽 국가들에 부를 안겨주는 새로운 상품으로 급부상했기 때문이다. 아프리카에선 이제 커피 밭에 보내기 위한 흑인 사냥이 예전보다 더 참혹하게 진행됐다.
무역상품으로서 커피의 존재감은 빠르게 커졌다. 베니스 상인들이 1615년 커피를 처음 유럽으로 들여갈 때는 터키를 통한 간접무역 방식이었다. 중동 상인들이 터키에 전한 커피를 받아오는 형식이었다. 그러나 이후 반세기 만에 네덜란드 상인들이 예멘의 모카 항에서 정기선을 띄워 커피를 직접 수입하게 된다. 런던(1652년), 파리, 빈(1683년), 프라하, 뉘른베르크(1686년), 함부르크(1687년), 라이프치히(1694년) 등 도시마다 최초의 카페들이 문을 열면서 유럽인은 커피에 빠져들었다. 수요량이 폭증하는 상황에서도 커피 공급원은 여전히 예멘뿐이었다.
유럽 각국은 커피가 한때의 유행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이 서자 아예 식민지에 커피나무를 심게 된다. 네덜란드가 1658년 실론에 커피나무를 옮겨 심은 것을 신호로 유럽 강국들의 커피 재배 경쟁이 시작됐다. 1680년부터 인도네시아 자바에서 커피를 재배한 네덜란드는 1712년 처음으로 커피 400kg가량을 자국으로 들여온다. 아라비아 상인을 통하지 않고 자급자족한 이른바 ‘식민지 커피’가 탄생한 순간이었다. 그러나 15년 뒤 자바커피 유입량은 700t, 1855년엔 7만7000t에 달했다. 자바 주민이 식량난을 겪을 정도로 현지는 온통 커피 밭으로 바뀌었다. 프랑스는 네덜란드에서 커피 묘목을 받아 1723년 서인도제도의 마르티니크 섬에서 재배를 시작한다. 여기서 자란 나무가 브라질로 옮겨지고 연이어 퍼져나가면서 사실상 아메리카 대륙에 퍼지는 커피의 원조가 된다.
16~19세기 노예선에 실려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 대륙의 농장으로 끌려간 흑인은 4000만 명에 달했다. 이들을 착취해 서유럽과 미국은 큰돈을 벌었다.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의 동력은 삼각무역에서 조달됐고, 삼각무역은 아프리카 흑인들에겐 인권유린과 참혹함의 상징이었다.
노 예 이야기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끝나지 않는다. 19세기 영국과 독일이 아프리카 개척에 나서면서 케냐, 우간다, 탄자니아 등지에서 커피 밭을 일군다. 아프리카 본토에서도 그곳 흑인들의 처참한 아픔이 새겨진다. 아프리카 노예는 인류가 만들어낸 최악의 참상이었다.
박 영 순
● 충북대 미생물학과 졸업, 고려대 언론대학원 석사
● 세계일보 기자, 메트로신문사 취재부장, 포커스신문사 편집국장
● 現 인터넷신문 커피데일리 발행인, 커피비평가협회장, 경민대 호텔외식조리학과 겸임교수, 경민대 평생대학원 바리스타과정 전담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