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동아’는 역사교과서 논란의 중심에 있는 교학사 교과서 공동집필자인 권희영(57)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를 만나 의견을 들었다. 그는 인터뷰 내내 진보 역사학계의 역사관을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권 교수는 기존 역사교과서를 집필한 역사학자나 이를 옹호하는 학계를 ‘좌파, 좌익’이라고 표현했다.
▼ 일부 진보진영의 공격이 대단한데요.
“공격은 괜찮아요. 왜곡하고 거짓말하는 게 더 문제죠.”
▼ 교학사 교과서에 298개의 오류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팩트(사실) 틀린 건 일부 있습니다. 한 20% 정도. 그건 고쳐야죠. 하지만 그 외의 것은 단 하나도 받아들일 게 없어요.”
▼ 논조나 집필 방향 말씀인가요.
“좌파들은 ‘공산주의를 인정하는 방식으로 교과서를 바꾸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건 안 되죠. 헌법정신에도 안 맞고.”
“좌파들이 역사학계 장악”
▼ 헌법정신에 안 맞는다는 건 무슨 말씀인지.
“하나만 예로 들게요. 우리나라 헌법은 ‘대한민국은 한반도에서 유일한 합법정부’라고 밝히고 있어요. 교과서 집필 기준에도 ‘대한민국 정부는 유엔으로부터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받은 사실에 유의한다’고 돼 있고요. 그런데 좌파들은 이걸 부인하는 내용의 교과서를 버젓이 써왔어요. 대부분 ‘선거가 가능했던 38선 이남지역에서 유일한 합법정부’라고 되어 있어요. 남한에서만 합법정부다 이거죠. 이런 교과서가 버젓이 검정을 통과하고 있단 말입니다.”
▼ 집필 기준을 어긴 교과서가 어떻게 나올 수 있다는 겁니까.
“교육과정을 만든 사람도 좌파, 집필 기준을 만든 사람도 좌파, 집필자도 좌파, 검정을 맡은 사람도 좌파니까 그렇죠. 그들이 역사학계를 다 장악하고 있으니까. 그 사람들은 광복 이후 현대사의 정통성이 공산주의운동에 있다고 믿거든요.”
▼ 현대사 부분이 주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진보진영의 핵심 논리는 뭔가요.
“남한과 북한이 동등하게 합법성을 가진 정부라는 논리죠. 오히려 공산주의 운동에 정통성이 있다고 주장해요. 그들은 자유민주주의는 참된 민주주의가 아니라고 합니다. 인민민주주의를 포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거죠. 북한식 민주주의, 북한식 통일운동을 긍정적으로 기술할 수 있어야 제대로 된 역사라는 겁니다. 그런 주장을 노골적으로 해요.”
▼ 자유민주주의와 인민민주주의는 어떻게 다릅니까.
“자유민주주의는 자유, 인권, 시장경제를 가장 핵심적인 가치로 합니다. 인민민주주의는 노동자, 농민이 이 사회의 주도세력이고 자본가는 적대세력이라는 식으로 개념을 구분하는 논리죠. 자유민주주의는 대한민국의 헌법정신입니다. 우리 헌법에는 분명히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라는 구절이 들어 있어요. 그러나 좌파들은 자유민주주의를 ‘자유롭고 민주적인 질서’로 해석합니다. 그래서 인민민주주의가 포함되는 개념이라고 강조하죠.”
권 교수는 진보 역사학계의 역사관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증거로 한국역사연구회의 창립취지문을 제시했다. 한국역사연구회는 700명이 넘는 회원을 가진, 국내 최대 규모의 역사단체다. 취지문에는 이런 내용이 있다.
“사회의 변혁과 진보를 실현시켜 나가는 주체가 민중임을 자각하고 민중의 의지와 세계관에 들어맞는 역사학을 추구해야 하겠습니다. 또한 우리 스스로 변혁주체임을 확신하고 이 사회가 안고 있는 모순을 극복하기 위한 실천운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가야 하겠습니다. (…) 역사학의 과학성은 사회적 실천을 통해서만 검증된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입니다.”
권 교수는 “이건 완전히 북한식 역사관이자 마르크스 역사관이다. 친공, 친소, 친북, 반미 정신이 녹아 있다. 1970~80년대부터 이어져온 민중사관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