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민정음은 세종 25년(1443년)에 완성돼 3년의 시험기간을 거쳐 세상에 나왔다. 탁월한 지도자의 주도 아래 창의적으로 만들어낸 정교한 문자 체계다. 그 과학성과 합리성은 문자 역사상 유례를 찾기 어렵다. 1991년 기념일로 바뀐 한글날이 22년 만인 올해 다시 법정공휴일로 지정됐다. 생일을 맞은 한글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되새기는 다채로운 행사들이 펼쳐졌다.


2 광화문광장에 전시된 ‘훈민정음 언해본’.

4 한글을 주제로 한 현대미술 작가 7인전에 출품된 한글의자 작품.

2 ‘캘리그래피로 표현되는 아름다운 한글 이름 써주기’ 행사에 인파가 몰렸다.


5 ‘내가 그린 예쁜 비행기’대회 수상작을 활용한 대한항공 래핑 항공기 운항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