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진낙농축협의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왼쪽)과 섬유질배합사료(TMR) 공장.
‘농업이 가진 홍수 조절, 토양 보전 등 공익적 기능을 최대한 살리고, 화학비료와 농약 사용을 최소화해 농산물을 생산하며, 환경을 보존하면서 소비자에겐 건전한 식품을 공급하고 생산자인 농업인에겐 소득을 보장하는 방법으로 종업인과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게 하는 농업’.
다소 장황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친환경농업엔 그 개념만큼이나 다양한 유형이 있다. 예컨대 오리나 우렁이를 논에 풀어 잡초를 먹게 하고 그 뿌리까지 제거하거나, 참게나 지렁이를 길러 이들이 흙속을 파고들어가 농작물의 생육을 돕게 하는 등 동물을 이용한 농법, 일반 농약 대신 유기농약을 만들어 뿌리거나 천적을 활용해 병충해를 없애고 토양 및 수질 오염을 막는 등 그 방법은 각자 처한 농업환경에 걸맞게 다채롭다.
식량 증산이 절체절명의 과제였던 1960~70년대 이후, 병충해를 막기 위한 화학비료와 농약 사용은 한동안 ‘필요악’이었다. 당장은 좋았다. 하지만 세월이 흐를수록 논밭은 산성으로 변해갔다. 농작물은 잘 자라지 못했다. 농약과 화학비료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해 유익한 미생물이 살 만한 토양 조건을 잃었다. 토양을 사람에 빗대자면, 미네랄 성분이 부족한 화학비료는 각종 영양소가 결핍된 인스턴트 식품만 섭취하는 결과를 불러온다. 자연히 면역력이 약해지고 병에 걸리기 쉽다. 그런 토양에서 생육된 농작물을 먹은 가축 또한 건강할 리 만무하다.
이에 대안으로 떠오른 게 유기농업이다. 화학비료와 농약, 제초제, 생장조정제 등 합성 화학물질을 일절 사용치 않고 유기물이나 미생물 등 자연적인 자재만을 이용하는 농업을 일컫는다.
분뇨의 재발견
유기농업에서 그 중요성이 특히 두드러지는 건 퇴비다. 풀이나 볏짚, 가축 배설물을 썩힌 거름인 퇴비엔 질소, 칼륨, 인 등의 성분이 포함돼 농작물이 튼튼하게 자라도록 하고 토양도 지켜준다. 생태계 보전 의식이 향상되고 ‘참살이(웰빙)’ 열풍으로 양보다 질을 따져 건강한 먹을거리를 찾는 사람이 늘면서 퇴비의 가치는 더욱 높아졌다.
퇴비의 주된 원료 중 하나는 가축분뇨. 축산농가 처지에선 끊임없이 배출되는 가축분뇨 처리가 큰 고민거리다. 쇠똥이 땔감이나 거름으로 쓰였던 과거엔 가축분뇨도 훌륭한 자원이었다. 하지만 화학비료가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가축 사육 규모가 확대된 이후론 처치 곤란한 상황이 됐다.
이런 골칫덩이를 복덩이로 탈바꿈시킨 곳이 있다. 충남 당진낙농축협(조합장 이경용, 이하 당진낙협)이다. 당진시 당진읍 원당리에 위치한 당진낙협은 당진시 송산면 가곡리 일원에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이하 자원화시설)과 섬유질배합사료(TMR) 공장을 각기 지난해 10월과 12월 준공해 축산농가에서 수거한 가축분뇨를 유기질이 풍부한 퇴비와 액비(液肥·물거름)로 생산하고 있다. 또한 자체 조사료(粗飼料·섬유질이 풍부한 거친 사료로, 소와 같은 초식동물이 먹는 풀사료를 뜻한다) 재배단지에서 수확한 사료작물로 TMR 제품을 생산해 낙농가에 공급한다. TMR은 젖소에게 하루에 필요한 조사료, 농후사료, 무기물, 비타민, 기타 미량 요소 등 모든 영양소가 고루 함유되도록 여러 종류의 사료를 혼합한 것.
당진낙협 자회사인 ‘당진자연세계영농조합’으로 운영되는 이 지역 중심 자원순환농업 시스템은 가축분뇨를 자원화해 지속가능한 농축산업 발전을 이끄는 국내 최고의 자원순환 비즈니스 모델로 평가받는다. ‘자연세계’라는 명칭을 붙인 이유도 ‘자연의 이치를 거스르지 말자’는 속뜻을 담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