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선엽은 한국보다 미국에서 더 인정받는 전쟁 영웅이었다. 로버트 에이브럼스 현 주한미군 사령관은 “진심으로 그리워질 영웅이자 국가의 보물”이라고 했다. 버웰 벨 전 주한미군사령관은 미국 독립전쟁을 이끈 조지 워싱턴에 비유했으며, 존 틸럴리 전 주한미군사령관은 “나의 스승이었다”고 회고했다.
백선엽은 생전에 “자유와 평화는 절대 공짜가 없다” “평화를 위해 전쟁을 기억하라”고 말하곤 했다. 죽음을 앞두고 병석에서도 대한민국의 안보를 우려하면서 “중국은 믿을 수 없다, 미국과 함께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선엽은 6·25전쟁 때 국군이 착용한 전투복을 수의로 입고 영면에 들었다.
![1950년 10월 19일 평양 점령 직후 밀번 미1군단장과 전황을 살피는 백선엽 장군. [동아DB]](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5f/0d/70/77/5f0d70771d9ad2738276.jpg)
1950년 10월 19일 평양 점령 직후 밀번 미1군단장과 전황을 살피는 백선엽 장군. [동아DB]
![1950년 10월 20일 평양 진격 때 대동강 인근 선교리에서 미군 공군연락장교와 함께 미1기병사단의 위치를 파악하는 백선엽 장군. [동아 DB]](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5f/0d/70/8a/5f0d708a03efd2738276.jpg)
1950년 10월 20일 평양 진격 때 대동강 인근 선교리에서 미군 공군연락장교와 함께 미1기병사단의 위치를 파악하는 백선엽 장군. [동아 DB]
![1950년 9월 16일 대구 동촌에서 인천상륙작전 소식을 들은 백선엽 장군. [동아DB]](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5f/0d/70/99/5f0d70992648d2738276.jpg)
1950년 9월 16일 대구 동촌에서 인천상륙작전 소식을 들은 백선엽 장군. [동아DB]
![1950년 8월 23일 낙동강 최전선 다부동에서 신성모 국방부장관을 안내하는 백선엽 장군. [동아DB]](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5f/0d/70/e5/5f0d70e51d86d2738276.jpg)
1950년 8월 23일 낙동강 최전선 다부동에서 신성모 국방부장관을 안내하는 백선엽 장군. [동아DB]
![1951년 1월 28일 수원비행장에 도착한 맥아더 원수가 마중 나온 백선엽 장군과 반갑게 악수하고 있다. [동아DB]](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5f/0d/70/f8/5f0d70f80f52d2738276.jpg)
1951년 1월 28일 수원비행장에 도착한 맥아더 원수가 마중 나온 백선엽 장군과 반갑게 악수하고 있다. [동아DB]
![1951년 2월, 리지웨이 유엔군 사령관에게 서울 재탈환 작전 계획을 보고하는 백선엽 장군. [동아DB]](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5f/0d/71/0a/5f0d710a1be1d2738276.jpg)
1951년 2월, 리지웨이 유엔군 사령관에게 서울 재탈환 작전 계획을 보고하는 백선엽 장군. [동아DB]
![1951년 7월 16일 휴전회담에서 휴식을 취하는 UN측 대표단. 왼쪽부터 크레이기 소장, 백선엽 장군, 조이 제독, 호디스 소장, 버크 제독. [동아DB]](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5f/0d/71/1e/5f0d711e1b8cd2738276.jpg)
1951년 7월 16일 휴전회담에서 휴식을 취하는 UN측 대표단. 왼쪽부터 크레이기 소장, 백선엽 장군, 조이 제독, 호디스 소장, 버크 제독. [동아DB]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가 2018년 11월 21일 백선엽 장군의 생일 축하연에서 무릎을 꿇고 손을 맞잡으며 축하하고 있다. [해리 해리스 트위터]](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5f/0d/70/c2/5f0d70c212ddd2738276.jpg)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가 2018년 11월 21일 백선엽 장군의 생일 축하연에서 무릎을 꿇고 손을 맞잡으며 축하하고 있다. [해리 해리스 트위터]
![로버트 에이브럼스(왼쪽) 주한미군사령관과 마이클 빌스(오른쪽) 미8군사령관이 백선엽 장군의 서울 용산구 사무실을 찾아가 100세 생일(지난해 11월 23일)을 축하하며 셀카를 찍는 모습. [주한미군 페이스북]](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5f/0d/70/d3/5f0d70d30c04d2738276.jpg)
로버트 에이브럼스(왼쪽) 주한미군사령관과 마이클 빌스(오른쪽) 미8군사령관이 백선엽 장군의 서울 용산구 사무실을 찾아가 100세 생일(지난해 11월 23일)을 축하하며 셀카를 찍는 모습. [주한미군 페이스북]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는 12일 “백선엽 장군 같은 영웅 때문에 한국은 번영한 민주공화국이 됐다”고 애도 성명을 냈다. 백악관 NSC가 현직도 아닌 전역한 외국 장성의 죽음에 별도 성명을 낸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사진은 NSC가 애도 성명과 함께 올린 백선엽의 저서 영문판 ‘From Busan to Panmunjeom(부산에서 판문점까지·1992). [백악관 NSC 트위터 캡처]](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5f/0d/72/0e/5f0d720e1f9cd2738276.jpg)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는 12일 “백선엽 장군 같은 영웅 때문에 한국은 번영한 민주공화국이 됐다”고 애도 성명을 냈다. 백악관 NSC가 현직도 아닌 전역한 외국 장성의 죽음에 별도 성명을 낸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사진은 NSC가 애도 성명과 함께 올린 백선엽의 저서 영문판 ‘From Busan to Panmunjeom(부산에서 판문점까지·1992). [백악관 NSC 트위터 캡처]
![7월 10일 별세한 백선엽 장군의 국민장 시민 분향소가 마련된 서울 광화문광장. [박해윤 기자]](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5f/0d/70/ad/5f0d70ad0981d2738276.jpg)
7월 10일 별세한 백선엽 장군의 국민장 시민 분향소가 마련된 서울 광화문광장. [박해윤 기자]
![7월 10일 별세한 백선엽 장군의 국민장 시민 분향소가 마련된 서울 광화문광장. [박해윤 기자]](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5f/0d/70/af/5f0d70af1066d2738276.jpg)
7월 10일 별세한 백선엽 장군의 국민장 시민 분향소가 마련된 서울 광화문광장. [박해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