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4일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가 서울 광화문 대한발전전략연구원에서 ‘신동아’와 인터뷰하고 있다. [조영철 기자]
김 전 대표는 이날 서울 광화문 대한발전전략연구원에서 가진 ‘신동아’ 단독 인터뷰에서 통합당의 경제정책과 관련해 “통합당은 맹목적으로 시장경제만 따른다”면서 “시장원리만 갖고는 경제가 운용될 수 없다”고 했다.
또한 통합당의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에 대해선 “통합당과 별개의 정당”이라면서 “비례위성정당 만든다고 비례대표 지지를 다 얻으리라는 건 희망사항”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김 전 대표와의 일문일답이다.
-총선에서 통합당은 안철수 국민의당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나?
“그 사람은 그 사람대로 자기 노선을 계속 가겠다고 천명했는데 무슨 얘기를 하나. 내가 2016년 민주당 비대위 대표할 적에도 여러 사람이 안철수와 연합공천 해야 한다고 했지만 내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각자 자기 정당의 슬로건을 내걸고 선거운동에 들어가서 결과를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안철수계가 미래통합당 공천에서 약진했는데.
“안철수계 상당수가 현역 의원이고, 통합당 공관위가 보기에는 해당 지역에 (통합당 안에서) 마땅한 사람도 없으니까 후보자로 낙점한 거지.”
-배려가 있었다고 보진 않나?
“특별하게 안철수계를 배려했다기보다는, 통합 과정에서 명분이 있어야 할 것 아닌가. 한국당과 새로운보수당만 합당하면 2016년 새누리당 형태로 복원하는 것처럼 보인다. 모양 자체가 우습지 않나. 그리고 원래 통합의 골자는 지역을 나눠먹는 것이다. 이언주 의원 측 사람도 몇 명 공천된 것 같던데….”
-현재 미래통합당은 옛 새누리당과는 다른 형태라고 보나?
“옛날 새누리당 사람들이 생각하던 이른바 ‘보수의 순수성’은 많이 없어졌다고 봐야지. 요새 흔히 가짜보수 진짜보수 말하는데, 시대변화를 쫓아가지 않는 보수는 성공하지 못한다. 독일에서 드러나듯 보수가 변하면 소위 사민당 같은 사민주의 정당도 무너진다. 보수정당이 사회변화에 따라 바뀌니 (반대편) 사민당의 존재 가치가 줄어들고 퇴색할 수밖에 없다.”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는 3월 14일 “맹목적 시장경제론으로는 경제를 운용할 수 없다”고 했다. [조영철 기자]
“(통합당과 미래한국당은) 별개의 정당이다. 나중에 어찌될지 모르지만 통합당은 비례대표 안 낸다는 것 아닌가. 통합당 지지자는 그 쪽(미래한국당) 찍겠지. 그런데 각 정당이 생각한 것처럼 비례위성정당 만든다고 비례대표 지지를 다 먹지는 못할 것이다. 그건 희망사항이다. 나는 솔직히 그런 것에 관심 없다.”
-미래한국당 공관위원장인 공병호 소장은 아는가?
“이름만 알지. 그 분도 시장경제에 심취한 사람 아닌가.”
-경제민주화의 상징으로 꼽힌다. 통합당과 경제정책의 색깔이 다른 것 아닌가?
“통합당은 맹목적으로 시장경제만 따른다. (하지만) 시장원리만 갖고는 경제가 운영될 수 없다. 발달된 자본주의의 역사가 그렇다. 아직 통합당 정강정책을 검토 안 해봐서 잘 모른다. 내가 2012년에 새누리당 정강정책을 만들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 당한 뒤 그 정강정책을 바꿨다더라. 내가 이유를 물었더니 그 때 만든 정강정책이 보수정당에 맞지 않는다고 해서 바꿨다고 했다. 그게 아주 단순하고 잘못된 사고방식이다. 나라는 그렇게 끌고 갈 수가 없다.”
-통합당은 지난해 민부론을 발표하면서 2030년까지 1인당 국민소득 5만 달러에 도달하겠다고 주장했다.
“그건 예전에 이명박 대통령 때 747하고 같은 것 아닌가. 어느 사람들이 모여서 그런 걸(민부론) 만들었는지 모르겠지만, 지금 현실에서 앞으로 10년 내내 성장률을 얼마나 기록해야 5만 불에 다다르나. 그건 불가능한 얘기다. 그런 허황된 얘기하면 안 된다.”
-통합당이 총선에서 중도를 공략해야 하나?
“중도니 보수니 진보니 떠나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지금 단계에서 무엇을 할 것인지 얘기해야 한다. 나는 진영논리에 관심이 없다. 세상이 바뀌는데 무슨 보수‧진보를 따지나.”
-보수를 어떻게 정의하나?
“보수는 문자 그대로 하면 ‘지키는 것’이다. (하지만) 세상이 변하는데 옛날식으로 지키기만 해서 되겠나. 경제가 발전하면 사회구조도 변화하고, 그것이 인간 행태에까지 영향 미친다. 변화한 걸 따라가는 게 정치다.”
-야당이 경제위기 해소를 위해 정부에 시급하게 요구해야 할 건 무엇이라고 보나?
“현재 경제문제를 해결하려면 재정을 많이 투입해야할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지금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얘기하듯 기본소득 50만원, 100만원 주는 식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어디에 실질적으로 문제가 있는지 엄격히 파악해 필요한 곳에 돈이 들어가도록 해야 한다.”
-대북 및 외교안보 정책은 어떻게 펴야 하나?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북정책이 일반 유권자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다. 외교‧안보정책의 경우 지금 정부가 성공하지 못했다는 것을 국민이 다 아는 거 아닌가. 선거에서 중요한 것은 국민들의 생활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땅덩어리가 큰 미국에서도 대통령‧국회의원 선거에서 외교안보정책의 영향이 크지 않다.”
-현 정부는 복지정책에 있어 성과를 냈다고 한다.
“소위 ‘소주성’을 했으니 그런 주장을 펴는 건데, 소득주도는 몰라도 성장은 하나도 안 됐다. 성장이 안 되면 복지가 늘어날 수 없다. 성장과 복지 간 조화를 맞추는 게 중요하다.”
<인터뷰 전문은 3월 18일 발매 예정인 ‘신동아’ 4월호에 실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