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철 기자]
이튿날 ‘신동아’는 14일 서울 광화문에서 진행한 김 전 대표와의 인터뷰 내용을 보도했다(‘김종인 “코로나19 대응 보며 文정부 국가경영 능력 있는지 회의”’ 제하 기사 참조). 이 인터뷰 기사의 다음 뉴스 댓글창에는 2만6000여 개의 댓글이 달렸다. 김 전 대표가 여전히 화제를 몰고 다니는 인물임을 방증하는 수치다.
황 대표는 김 전 대표를 영입해 총선에서 수도권 중도층의 표심을 공략하려 했다. 김 전 대표 역시 선대위원장직에 의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경제에 미칠 후폭풍을 예의주시하고 있었다. 지면사정 상 기사에 싣지 못했지만 그는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꺼냈다.
“코로나19 후폭풍으로 중소기업이 줄도산 할 수 있다. 지금 소상공인‧자영업자는 장사를 못해 소득이 없어 생존에 위험을 겪고 있다. 이들을 시장 원리에 따른답시고 내버려둬야 하나? 모두 끌어안고 가야한다. 나라에는 돈 많은 사람만 있는 게 아니다. 정당이 이런 인식을 갖지 못하면 선거를 치를 수가 없다.”
그러면서도 김 전 대표는 여당발(發) 재난 기본소득 제안과는 다른 방책을 구상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기본소득 50만 원, 100만 원 주는 식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면서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엄격히 파악해 필요한 곳에 돈이 들어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자영업자 등 경제적 취약계층에 대한 ‘핀셋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주장한 셈이다.
만약 김 전 대표가 통합당 선대위원장을 맡았다면 여당과 선명한 정책 대결을 펼쳤을 공산이 크다. 통합당 사정에 밝은 한 정치권 인사는 “김 전 대표 영입은 ‘反문재인’ 프레임을 넘어서는 데 좋은 카드였는데 아쉽다”고 했다. 2016년 20대 총선 당시 민주당은 김 전 대표를 영입해 ‘反박근혜’를 넘어 ‘유능한 경제정당’이라는 프레임을 구축해 지지층 확장을 꾀할 수 있었다.